(타이어: แปลก พิบูลสงคราม, 영어: Plaek Phibunsongkhram)
(1897~1964)
1 개요
2 일생
방콕 인근 논타부리 출생으로 과수원을 경영하던 화교의 아들이다. 이름인 ‘쁠랙’은 ‘이상하다’라는 뜻이며 이는 외양이 독특하게 생겨서 주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포병대에 입관했고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에 군사 연수[1]를 다녀오면서 태국 군부의 유망주 대우를 받았다. 게다가 성씨인 피분 쏭크람의 쏭크람은 전쟁이라는 뜻. 이쯤되면 태생적으로 타고난 군사 독재자의 이름이다.
1932년 인민당(카나라싸던)의 일원으로 무혈혁명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왕당파 측의 반격을 분쇄하면서 라마 7세를 퇴위시켰다. 새로운 국왕으로는 라마 8세를 추대했으나 아직 어린 소년인데다 태국이 아닌 스위스에서 유학 중이었기 때문이 실질적으로는 왕좌가 비어있는 것이나 다름 없는 상황.
1938년 새로운 총리대신으로 취임했으며 자신의 권력기반을 다지기 위해 태국판 문화대혁명을 벌인다. 당시 몇몇 후발주자 국가들이 선호하던 파시즘이나 군국주의의 충실한 신봉자였으며 당연히 피분 정권은 그들의 정책을 충실하게 답습했다. 전국 모든 곳에 사진을 걸고 매일 뉴스 1면을 도배했으며 대형 광고판과 라디오를 통해 자신의 정책을 홍보했다. 이 무렵 피분이 특히 자신의 모델로 삼은 것은 일본 군국주의 정권이었는데 무려 정신력과 도덕 등을 강조하면서 갖은 병크를 저지른다. 예를 들면 시얌으로 부르던 나라 이름을 ‘타이’라고 바꾸고 태국어의 문법 및 단어를 정립시켰으며 손으로 밥을 먹던 식탁에 포크를 비롯한 서구식 식기들을 도입했다. 문제는 이런 과정에서 태국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 소수민족들이 박해 받고 남녀 불문 서양식 구두를 신고 모자를 써야 했으며 식탁에서 포크를 안 쓰면 처벌하는 해괴한 상황도 발생했다는 점.
제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일본을 따라 추축국 세력에 가담했으며 상기한 군국주의식 병크들은 더더욱 강화되는데 자신도 중국계 태국인이면서 모든 중국계들에게 태국식 이름을 가지고 태국어를 사용할 것을 강요했고 더 나아가 굴복하지 않는 중국인들을 독일의 유태인과 비교하면서 탄압하기도 했다. 그리고 일본군을 인도차이나 반도에 상륙시키고 인근의 프랑스 식민지들을 점령하면서 해당 지역에서 일본제국의 대변인 노릇을 하기 시작했다.
1942년에 드디어 영국과 미국에 선전포고를 날렸는데 이 시기 피분의 절대적 라이벌인 쁘리디 파놈용이 등장해 일본군에 대항하는 레지스탕스를 조직했다. 일본군이 밀리면서 슬슬 패전 분위기를 띄는데다 수도를 북부로 옮긴다던가 아니면 초대형 불교의 성도를 짓는다고 발표하는 등 분위기 파악 못하는 행동들을 하면서 군부 및 정부 내에서도 반대파가 생겨나자 결국 전쟁 막바지에 실각했고 전범재판에 회부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국민들 사이에서 피분의 인기가 나쁘지만은 않았는데 우선 그 동안 잘 포장된 이미지가 있었고 그 다음은 당시 일본이 버마와 말레이시아를 침공하면서 얻어먹은 떡고물들이 꽤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당시 공산주의 세력의 확장을 막기 위해 미국 및 서유럽 국가들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든든한 지원군이 필요했기 때문에 태국은 추축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별 타격 없이 지나갔고 그 분위기 속에서 피분도 무죄로 방면되었다. 물론 태국은 파놈용이 일본에게 항거했듯이 저항군을 조직하여 싸운 점도 있었기에 이럴 수 있었다.
1947년 피분은 다시 한번 재기하려 군사정변을 일으킨다. 그러나 1차 시기와는 달리 2차 시기에는 파시즘 대신 미국식 민주주의를 모토로 삼는데 당연히 이는 냉전시기 미국의 원조를 뜯어내기 위한 기믹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전쟁에 파병군을 보내고 냉전의 일원으로서 공산주의자들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계 태국인들에 대한 탄압이 재개되었는데 중국인들의 이민과 입국이 제한되고 경제활동이 금지되었으며 중국인 학교가 문을 닫았다.
1951년 해군 소속의 장교들이 벌인 맨하탄 정변이 실패로 돌아갔다. 미군 함정인 맨해튼 호에서 벌인 미국과의 수교 기념식에서 해군 장교 몇몇이 피분을 납치해 인근의 태국 함선으로 끌고갔으며 그 동안 방콕 시내에서 해군과 육군 사이에 시가전이 벌어졌다. 결국 공군이 나섰는데 우습게도 구출이 아니라 피분이 억류되어 있던 아유타야 호에 폭격을 가해버렸다.과연 실수일까? 배는 침몰했고 노구의 피분은 해안까지 헤엄쳐서 돌아와야 했다.
1957년과 58년 미군의 후원을 받는 일단의 군부 인사들이 정변을 일으켰으며 그 중 유력인사는 피분의 최측근인 사릿 타나랏과 그 친구 타놈 끼띠카쫀이었다. (왠지 극동아시아의 어느 나라에서 많이 본 구도 같다...) 싸릿은 왕당파들과 연대했으며 피분은 국외추방되어 일본으로 건너갔다. 그래도 일본에서야 친일파인 그를 극진히 우대해서 잘 살다가 1964년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