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

(사제휠에서 넘어옴)

1 Wheel

%EB%B0%94%ED%80%B4-290x290.jpg
회전하는 둥근 물건. (車)에 많이 달려있다.

인류 문명과 함께 했다 해도 과언이 아닌 물건. 중국에서는 황제 헌원이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 자연계에 이미 존재하는 물건을 모방하지 않고 인간이 스스로 만들어 낸 물건.

물리학적으로는 미끄럼마찰을 굴림마찰로 전환하는 매개체이다. 일반적으로는 굴림마찰이 미끄럼마찰에 비해 에너지 손실에 있어 우위에 있다. [1]

바퀴는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발명 중 하나로 꼽힌다.[2] 고고학적 증거들에 따르면 바퀴가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4000년 경으로서, 탈것에 부착된 것이 아니라 도공(陶工)들이 사용하는 물레에 사용되었다. 바퀴달린 탈것을 사용했다는 가장 오랜 기록은 기원전 3500년경 메소포타미아였다. 유사한 시기에 인도와 중국에서도 바퀴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바퀴는 빠른 속도로 북서 유럽으로 전파되었다. 처음에 바퀴달린 탈것은 의식(儀式)이나 행사를 위해 사용되었고, 곧 전쟁이용되었다. 바퀴달린 탈것이 물건을 나르는 데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약 1000년이 지난 후부터였다.

최초의 바퀴는 통나무를 원반 모양으로 잘라내어 다듬은 형태이거나 세 개의 널빤지를 서로 결합시켜 원형으로 깎은 형태였다. 이러한 바퀴는 오래 견디지 못하고 쉽게 부서졌으므로, 이를 강하게 만들기 위해 얇은 나무나 구리로 만든 테를 둘러 사용하였다. 기원전 2000년경에는 바퀴살이 달린 바퀴가 처음으로 나타나 이용되기 시작했다. 종래에는 바퀴의 사용이 불의 사용과 마찬가지로 곧 문명의 발전을 의미한다는 식의 생각이 널리 퍼져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운송 수단으로 바퀴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수준을 보여준 문명권들도 존재했다. 바퀴의 사용은 인류 문명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였다기보다는 특정한 문명권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특수한 요소였던 셈이다.

예를 들어 신대륙 아메리카 문명들(잉카, 아즈텍, 마야 등등)에서는 출토된 어린이 장난감 등에서 바퀴 자체의 흔적은 발견되지만, 정작 콩키스타도르들이 진출하기 시작한 16세기가 되기 전까지 바퀴가 실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이는 아메리카 대륙에는 바퀴를 끌만한 대형 척추동물이 없었기 때문인데, 북미에서 야생말은 기원전 1만 년쯤에 북미 원주민들이 멋모르고 멸종시켜버렸고[3], 아메리카 들소는 성질이 더럽고 길들일 수가 없었다. 남미 대륙은 더 심각해서 애초에 길들일만한 대형 초식동물이 별로 없었다. 길들인 건 낙타과 동물인 과나코비쿠냐 정도였으며[4], 이마저도 덩치가 작은 편이라 수레를 끄는 동물로 쓰기엔 적절하지 못했다.

이후 톱니바퀴로 발전하여 기계의 발전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자동차들이 자기부상열차처럼 떠있는 배경의 SF물에선 바퀴가 없는 경우가 있다. 오래된 자동차에 달린 동그란 물체를 보고 뭔지 몰라하는 전개도 있다.

중세 시대에는 고문용으로 쓰이는 고문 바퀴라는 물건이 있었다.

1.1 자동차 바퀴의 일부분

바퀴 중에서 고무 재질인 타이어의 안쪽을 받쳐 주는 금속제 부품이다.

고급 휠의 경우 멋에 비해 의외로 비싸서 짝퉁 휠을 끼우기도 하는데, 이런 휠은 쉽게 깨져버리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는 내용이 고발 프로그램에 나오기도 했다. 휠 자체는 별 거 아닌 것 같아도 막상 깨져버리면 바퀴를 하나 잃는 것이나 마찬가지라서, 중심을 잃고 전복되는 사고까지 날 수 있다고 한다.

주로 강철 혹은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합금(알로이)를 이용하며 슈퍼카나 레이싱용 차량은 현가장치 하 질량을 줄이기 위해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하기도 한다.

강철을 이용한 휠은 값이 저렴해 택시나 저기형 차량, 보급형 트림에 사용되고 버스나 트럭은 주력으로 사용. 철재휠이라고도 부르나 스틸 휠이나 깡통 휠이라고도 불린다.
세가지 재료중 가장 무거우며 재료의 특성상 디자인의 한계가있어서 모양이 별로 좋지 못하기 때문에 휠캡을 씌우기도한다. 반면 강도가 강하고 탄성이 있어서 휠에 큰 충격이 가해져도 찌그러지기만 할 뿐 깨지지 않는다. 다만 이 탄성으로 인해 로드홀딩 능력이 다소 떨어진다.

합금을 이용한 휠은 알로이휠이라 부르며 같은 강도라면 스틸 휠보다 무게가 가벼워 승차감이 좋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현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스틸 휠과는 반대로 큰 충격이 가해지면 깨져버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5] 최근에는 대형 상용차(트럭이나 버스 등) 에도 연비 향상, 무게 절감을 위해 알루미늄 휠이 채용되는 추세.

마그네슘 휠은 주로 슈퍼카나 레이스용 차량 등에 사용한다. 같은 무게라면 강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그네슘의 경우 알루미늄보다 부식되기 쉽고 취성(깨지는 성질)도 더 크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는 알로이 휠에는 마그네슘 휠이 드물다. 물론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좀처럼 구경하기 힘들기도 하다. 초기에 주조로 만들어지던 휠은 사실 알루미늄보다 마그네슘이 먼저였지만, 단가, 취성과 부식 문제 때문에 현재의 알로이 휠은 알루미늄이 주종이다. 물론 80년대의 거품경제 시절 만들어진 이륜차들은 그딴 거 없고 순정휠이 마그네슘휠

그 외의 재료로 카본이 사용되기도 하나, 카본 휠의 경우에는 금속이 아니다 보니 마그네슘보다 더 다루기 어렵고 취성도 그만큼 더 강하기에 마그네슘 이상의 레어도와 가격을 자랑한다.

알로이 휠이 강철 휠보다 강도가 보통 높은 것은 같은 무게로 만들었을 때 강철보다 많은 부피의 금속이 투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자동차 제작사의 순정 알로이 휠의 경우 사실 스틸 휠에 비해 무게의 이득이 그렇게 많지만은 않다.
(물론 강도나 내구성은 그만큼 몹시 좋은 편이다.)

덧붙이자면 손상 시 알루미늄 휠은 용접으로 살을 메꿔 수리하는 것이 어느 정도 허용되지만, 마그네슘이나 카본의 경우는 얄짤없다.
그러니, 일반적인 로드카용 휠은 무조건 비싼 휠이 좋은 휠만은 아닌 셈이다.

1.1.1 사제휠

이 문단은 사제휠(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사제휠은 자동차 제조사가 지정해 주는 디자인이 아닌, 튜닝 휠 제조 업체에서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한 휠이다. 차량 튜닝 용도로 사용되며, 승용차의 경우 알로이 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트럭이나 버스 등 상용차의 경우 스틸 휠이나 휠캡 형식의 사제휠도 존재한다.

전반적으로 사제 휠의 경우에는 OEM급 휠보다 무게가 가볍지만, 그만큼 휠의 강도가 확보가 되어야 하는데도 실제로는 그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체 브랜드로 휠을 제작하는 곳이 아닌 유명 브랜드의 카피 휠 같은 경우는 더욱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급적 사제휠을 구매할 때는 DOT(미국), JWL/VIA(일본), TUV(독일) 등의 품질 인증을 받은 휠인지를 점검하고 구매하도록 하자.

1.2 자동차의 핸들

핸들콩글리시이며, 정식 명칭은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이다.

1.3 관련 문서

2 바퀴벌레

바퀴벌레를 의미하기도 한다. 둘 다 국립국어원에서 인정한 표준어다.

3 Turn

어떤 둘레를 빙 돌아서 제자리까지 돌아오는 횟수를 세는 단위.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틀리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단위이다. 빙 돌아서 제자리로 돌아와야 1바퀴지만 반만 돌아도 1바퀴로 세는 사람이 많다.

4 스타크래프트 2저그 유닛 바퀴

바퀴(스타크래프트 2) 문서를 참조.
  1. 얼음 위 등 미끄럼이 심한 곳에서는 되려 미끄럼마찰이 유리한 경우도 있긴 하다.
  2. 시사주간지 타임(Time)에서 선정한 100대 발명품 중 바퀴와 동급으로 중요한 발명은 문자, 농경, 인쇄술, 컴퓨터 정도이다.
  3. 현존하는 북미대륙의 야생마인 머스탱은 유럽인들이 진출한 후 그들이 데려온 말들이 야생화한 것이다.
  4. 이것들을 길들여 가축화한 것이 각각 라마알파카이다.
  5. OEM급 휠의 경우에는 살이 두꺼워 스틸 휠만큼은 아니지만 쉽게 깨지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