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서초13

서울특별시 서초구 마을버스
0102030506070809
1011131415161718, 18-1
202122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서초13번
기점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2동(이수역)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3동(동덕여고)
종점행첫차평일, 토요일 06:00/공휴일 07:00기점행첫차
막차평일, 토요일 23:10/공휴일 22:30막차
평일배차8분주말배차토요일 8분/공휴일 10분/명절 당일 15분
운수사명청진운수인가대수
노선이수역 - 서래마을 - 고속버스터미널 - 서초역 - 방배역 - 동덕여고

2 개요

이수역을 기점으로 하고 동덕여고를 종점으로 하는 서초구의 마을버스.

이수역 - 서래마을 - 고속버스터미널 - 서초역 - 방배역 - 동덕여고로 가는 코스를 이용되며, 속칭 '부르주아 마을버스'(함지박사거리<->서래마을 루트를 타는 대중교통은 이 버스밖에 없다.)[1]

3 역사

2008년도에 요청에 의해서 팔레스호텔 앞(서초14서초21은 예전부터 정차)에 정류장이 생기기도 하였지만... 막상 이용객은 낮다.[2]

4 특징

4.1 상하행선이 겹치는 정류장이 있는 마을버스

(래미안 퍼스티지(고속터미널)역. 이수역방향이냐 서초역방향이냐에 따라서 가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잘못타면 길 많이 꼬여진다. 주로 초행길에 헷갈리기 마련). 다행이도 지금은 정류소에 "서초역방향", "이수역방향" 구분을 해 놓은 상태다.[3]

4.2 가축수송

서초고등학교와 서울고등학교, 상문고등학교, 동덕여고, 방배중학교, 좀 멀지만 이수역 근처의 서문여중여고 등 중/고등학교를 많이 지나기때문에 평일 오후 4시에는 버스를 못탈정도로 사람이 많다.(학기중 한정. 방학때는 버스는 자주다니긴 하지만 사람수는 줄어든다.)
(의외로 야자끝나고나 등교시간에는 가축수송이 되지 않는데, 등교시간은 차를타거나 걸어가고, 여기 고등학생들은 학원을 가야되기 때문에 막상 야자하는 사람들은 그렇게까지 많지 않다고...)

이게 어떤정도냐면, 동덕여고 학생들이 다 내리는가 싶더니 서울고 + 상문고 학생들이 탑승. 그렇게 쭉 가다가 빠지기도 전에 서초고학생들 탑승. 주공2단지역에서 많이 빠지나싶더니 그뒤에 방배중학교 학생들이 탑승. 그렇게 종점도착(..)일 정도이니 4시쯤에는 진정한의미에서 가축수송.
하지만 평소에는 한가하니깐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재수없으면 사람이 많긴 하지만..., 그런데 의외로 많다. 특히 오전 8시반에서 9시 사이에 삼성래미안 혹은 조달청 앞이나 서초역 앞에서 타게 되면 일시적으로 사람들이 몰려 말 그대로 가축수송의 느낌을 얻게 된다. (이 시간대에는 주로 국립중앙도서관 이용자들과 삼성출판사 직원들의 출근 여파로 인해 몰림. 물론 서초고나 서울고 학생들도 눈에 띔)

서래마을을 관통하는 유일한 버스로써, 주말이어도 이쪽 관광객들로 붐빈다.

한국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중 유일하게 프랑스어 정류장 표기와 프랑스어 안내방송이 나오기도 한다. 원인제공자는 물론 서래마을

보기보단막히는 구간을 자주 다니므로 주의하자.[4]

1. 이수역→카페골목 입구까지(정확히는 경문고-의림한방병원부터[5])의 편도구간은 불법주차 등으로 인해 지체되는 일이 잦다. 그래도 이건 애교로 봐 줄 만 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보자.
반대의 경우는, 동작대로 진입 전후로 심히 막힐 수 있으며, 재수없으면 2차로 왕복길이 가~끔 막힌다.

2. 카페골목입구부터 함지박 사거리까지는 주로 출퇴근 시간에 막히거나, 서래마을이나 방배로가 막히면 따라 막힌다. 이것도 그렇다 치자.

3. 함지박 사거리-서래마을 입구까지의 구간은 러시아워와 방배중학교 등하교시간, 서래마을의 프랑스인 학교 등하교시간, 주말 점심시간 등. 언제 막힐지 모른다. 불법주차는 물론, 발레주차를 위해 대기하는 차들, 골목길로 들어가 카페나 음식점 or 집으로 가려는 차량들 등, 툭하면 엉키고 꼬이고 한다. 특히, 매월 마지막 일요일은 방배중학교에서 토익시험을 치르기 때문에,[6] 일요일 12시 조금 지나서 방배중학교 일대에 헬게이트가 열린다. 무슨 토익 시험 치는데 차를 가져나는지....시험 칠 때에는 닥치고 대중교통이 답이다!! 그 대중교통이 얘밖에 없다!! 그리고 주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더 큰 문제는, 의림한방병원-서래마을까지는 왕복 2차로라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가 끝이 아니다.

4. 서래마을을 벗어나니, 이제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고속터미널)로 가야하는데, 이 길 또한 장난 아니다. 팔레스호텔에서 반포대교 방향으로 좌회전 하기까지도 고역, 반포대교 남단 아래쪽에서 고가 유턴하는것도 고역. 게다 유턴지점은 센트럴시티에서 고속 및 시외버스들이 나온다. 또 지하주차장 입구도 있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이용 차량까지 겹치니.....까딱 잘못하면 그야말로 헬게이트. 접촉사고가 자주 일어나는지, 주변에 렉카가 의외로 자주 보이는거 같다...

5. 또한 서울성모병원-서초역 구간 반포로 역시 한 번 막히면 답이 없다. 대신에 서초역 방향은 좀 나은거 같은데, 서래마을 방향은 답이 없다. 한 번 막히면 제대로 작살, 아니 헬게이트급이다.

혹시나, 이수역에서 서초역, 혹은 방배역을 싼 맛에 간다고 이걸 타고 가는 일은 되도록 자제하길 바란다. 다른 좋은 대체재가 많기 때문인데, 이수역에서 방배역을 가기위해서는 서울 버스 서초16을 타는게 훨씬 좋고, 함지박 사거리에서 방배역으로 가려면 이거보다는 서울 버스 142, 서울 버스 406, 서울 버스 서초15가 되려 직통으로 뚫고 가버리니깐 훨씬 빨리 도착한다. (서울 버스 148도 있지만, 방배동 골목을 쑤시므로 조금 돌아가는 편이다.) 서초역에 한번에 가기가 애매하지만, 차라리 길막히는거 감안하면 오히려 위에서 말한 루트대로 방배역에 간 뒤에 지하철을 타고가는게 훨씬 낫다! 물론 시간이 남는다면 말리지는 않겠다만, 러쉬아워에 다 걸린다면 이수역에서 방배역까지 가는데도 서초13 타는것보단 걷는 것이 더 빠를 수 있다. 방배역까지 서초16번 타고 가서 서초역까지 서초13번을 이용하는 것도 괜찮다. 아니면 걍 이수역에서 지하철 타고 사당역에서 2호선 환승하던가.

5 시간표

마을버스 치고는 좀 긴 느낌. 평일, 토요일 첫차는 06:00이며 막차는 23:10이다. 공휴일은 첫차는 07:00이며 막차는 22:30이다.[7] 배차는 평일, 토요일 8분/공휴일 10분/명절 당일 15분이지만 들쭉날쭉하다. 심지어 때로는 다음 차 기다리는데 30분 넘게 소요되기도 하고 두 대가 바로 줄지어 운행될 정도로 배차간격이 꽤나 괴랄한 편이다.

6 연계 철도역

  1. 단, 기점이 같은 서울 버스 서초14나, 서초14번과 일부분 같은 경로를 달리는 서울 버스 142가 서래마을 입구에 세워주니 참고하기 바란다.
  2. 문제는 이게 정거장 기준 서초역방향에만 정류장이 있고, 이수역방향에는 정거장이 없다는것.(...) 이수역 방향은 아무래도 다니는 사람이 매우 적기 때문에(바로 옆에 산책로가 있어서 다들 그 산책로로 지나가기 때문에 찻길로는 잘 다니지 않는다.) 정류장을 아예 안지었을 확률이 높다. 그런데 느낌상 다른 버스 이용객들도 그리 많지만은 않은거 같다.
  3. 참고로, 기사님들이 대체로, 서초역가야되는데 이수역방향 타고 나중에 이수역쪽가니깐 "이거 이수역가나요?" 라고 기사에게 물어보면 기사님들이 십중팔구 짜증낸다. 처음부터 정류소 확인하고, 정 그래도 믿음이 안가면 기사님들께 물어보자. 서래마을 가는 사람들은 이수역방향을 타면 된다.
  4. 물론 안 막히면 이수역에서 서래마을까지 10분도 안 걸려 주파한다. 하지만 한 번 막히면 자칫 30분이 넘어갈 수도 있다.
  5. 그런데 같은 구간을 달리는 서초14번은 그냥 한방병원이라고만 한다.
  6. 그 외 기사 시험도 가끔 보는거 같다.
  7. 첫, 막차는 동시출발이다. 막차는 이수역 출발차는 동덕여고에서 운행종료, 동덕여고 출발차는 이수역에서 운행종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