西遊降魔篇
주성치의 서유기 시리즈 | ||||
서유기-월광보합 | 서유기-선리기연 | 서유항마편 |
주성치가 출연한 서유기 관련 영화 중 세 번째 작품이다. 앞선 두 작품과는 내용면에서 연관이 없다. 그러나 해당 작품들에서 몇몇 곡들을 차용하였다. 2013년에 제작했으며, 앞의 두 편과는 다르게 주성치는 출연이 아닌 감독을 맡았다. 주연 배우는 서기, 문장, 황보 등이다.
월광보합-선리기연 시리즈가 손오공의 깨달음과 각성에 중점을 두었다면, 서유항마편은 삼장법사 현장이 주인공이다.
승려 현장은 요괴를 올바로 볼 수 있는 능력[1]을 가지고 퇴마 활동을 한다. 하지만 그 퇴마의 수단이란 것이 동요 300수에 있는 동요를 불러서 교화하는 것... 당연히 잘 될리가 없어 맨처음 사오정에게도 쩔쩔맨다. 이 떄 나타난 것이 전문 퇴마사인 단소저[2]이다.
현장에게 첫눈에 반한 단소저는 현장을 도와주면서 대놓고 애정표현을 하나, 불제자인 현장은 요지부동이다. 아무튼 둘은 함께 저팔계와 싸우는데 저팔계를 제압하기엔 힘이 부족하여 도망친다. 이에 현장의 스승[3]은 현장에게 500년전 오지산에 봉인된 손오공을 찾아가라 알려준다. 오지산에 가던 현장은 중간에 다시 단소저와 마주치나, 자신의 애정[4]을 받아주지 않는 모습에 분노한 단소저는 "동요 300수"를 현장의 눈앞에서 찢어버린다.
여하튼 현장은 오지산에 도착하여 손오공을 만나고, 또 뒤를 따라온 단소저의 도움[5][6]으로 저팔계를 손오공의 동굴로 유인하여 손오공이 저팔계를 간단히 제압한다.
하지만 불제자인 현장은 끝까지 자신의 마음을 숨긴채 단소저의 사랑을 받아주지 않았고[7] 단소저는 다시 떠난다. 손오공이 봉인된 동굴 위에서 달을 쳐다보며 공허한 마음을 달래던 현장은 동굴 입구의 연꽃때문에 오랫동안 달을 보지 못했다는 손오공의 말에 연꽃을 꺾어주는데...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사실 손오공 봉인의 매개체는 동굴안에 있던 부적[8]같은 것이 아니라, 바로 그 연꽃이었다! 결국 손오공은 봉인이 풀려 탈출하는데, 이 때 나오는 음악은 중국의 혁명 가극 <소도회(小刀會)>의 서곡(Dagger Group Prelude, 小刀會序曲)이다. 이 음악은 황비홍이나 용문객잔 같은 여러 중국 영화에서 등장한 바 있다. 특히 전작인 선리기연에서 각성한 손오공이 구름 속에서 등장할 때 이 음악을 사용하여, 전작부터 봐온 팬들은 감회가 새로울 수 있는 장면이다.[9]
손오공은 다른 퇴마사들을[10] 관광태우고, 끝까지 부처를 찾는 현장의 머리털을 모두 잡아뜯어버린다. 이 때 단소저가 돌아와 그 꼴을 보고, 분노한 나머지 손오공에게 덤비지만 세 방 만에 죽임을 당한다. 그제서야 현장은 자신의 마음을 깨닫고는 단소저의 시신을 껴안고 오열하지만, 손오공은 그런 단소저의 시신마저 빼앗아 가루로 만들어버린다.
좌절한 현장의 눈앞에 단소저가 남겨둔 책자[11]가 보이는데, 그 제목은 "대일여래진경"... [12] 놀란 손오공은 현장을 죽이려 달려들지만, 현장이 대일여래진경을 이용하러 소환한(...) 여래의 대기권 공격[13]에 바로 제압당한다.
그 덕분인지 손오공은 처음 태어났을 때와 같은 어벙벙한 모습으로 돌아오고, 현장은 단소저가 남긴 고리를 긴고아로 바꿔 손오공의 머리에 씌우며 제자로 삼는다. 그리고 앞서 교화에 성공한 사오정, 저팔계와 함께 서역으로 떠나면서 끝난다.
주성치, 오맹달, 주인, 막문위 등 전작의 배우들은 전혀 등장하지 않고 내용 또한 전혀 연관이 없지만, 전작의 노래와 음악들이 다시 등장하고 현장과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에 대한 파격적인 재해석이 이루어져 나름대로 볼만하다.
중국에선 흥행에 성공하여 개봉 15일이라는 가장 빠른 속도로 10억 위안의 수익을 얻는 등 흥행에 성공하였다. 국내에는 2015년 "서유기, 모험의 시작"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하였으나 흥행에는 실패하였다.[14][15][16]
여담이지만 "부모와 떨어져서 위기의 상황에 빠진 어린아이를 주인공이 영웅적으로 구한다"는 할리우드의 사골 클리셰가 이 영화 초반부에서 처참하게 박살난다. 사오정이 요괴의 형상으로 물가의 마을에 난동을 부릴 때, 다리에 매달려 있는 여자아이를 아이 엄마 앞에서 물고 사라진다![17] 그 이후의 갓난아기는 현장이 구했지만.
주성치 영화답지않은 잔인한 연출들이 몇몇 있다. 상기한 작품 초반에 아버지가 사오정에게 물려서 죽는 장면에서는 마치 수중발레를 하듯이 수면을 따라 움직이다가 물에 빨려들어가면서 피가 강에 흘러넘치며, 저팔계의 식당에서는 사람고기가 공중에 매달려있어서 기괴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마지막에 봉인이 풀린 손오공이 퇴마사와 삼장을 상대하는 장면도 코믹한 분위기이긴 하지만 뼈가 보이거나 잡아뜯긴 상처가 보일 정도. 이런 고어한 연출은 저 당시 손오공, 사오정, 저팔계들이 본능에 따라 움직이는 요괴라는 것을 인상적으로 보여주기 위함이라는 평가도 있다.- ↑ 저팔계전을 보면 평범한 사람에게는 화려한 식당으로 보이는 환영이 현장의 눈에는 학살의 현장 그대로 보인다.
- ↑ 서기 분
- ↑ 거위 다리를 무전취식하는 막장으로 보이나, 현장이 어떤 요괴들을 만나고 어떤 일을 겪을지 전부 예측하고 있는 나름 비범한 인물이다.
- ↑ 자신의 부하들과 자작극을 벌이면서까지 현장의 마음을 사려고 했다.
- ↑ 달밤에 노래와 춤으로 저팔계를 손오공이 봉인된 동굴까지 꼬셔온다. 그리고 이 노래와 춤에 정신을 빼았긴 현장은 자신이 단소저를 사랑하게 됐음을 깨닫는다.
- ↑ 이 때 서기가 부른 노래는 다름아닌 전작의 엔딩곡이었던 노관정의 일생소애의 리메이크 버전이다.
- ↑ 단소저가 자신의 고리를 반지처럼 만들어 현장의 손가락에 끼워주자 빼려고 하다가 안되자 급기야는 손가락을 자르려 했다. 결국 단소저가 반지를 빼주고는 떠났다.
- ↑ 처음 현장이 찾아왔을 때, 저팔계를 처리해주는 대가로 그것을 뗴어달라고 요청했으나 현장은 들어주지 않았고 현장의 고지식함에 분노한 손오공은 동굴을 탈출하다가 봉인에 제압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것이 모두 블러핑이었다.
- ↑ 여담이지만 이 <소도회> 라는 무용극은 1959년에 처음 공연 되었고, 1961년에 영화로도 제작 되었다. 이 가극에 출연한 서교(舒巧) 라는 무용가는 최승희가 한국전쟁 당시 중국에 머물때 중앙희극학원에 개설한 최승희 무용연구소 에서 가르쳤었던 제자였다.
- ↑ 호랑이의 자세를 이용한 권법을 사용하는 자, 천장각이라는 발을 십여 미터로 거대화하는 도술을 쓰는 도인, 어검술을 사용하는 공허 공자
가마를 매고 온 할머니(...)의 말에 따르면 본명은 신부전(...)이다. - ↑ 이전에 자신이 찢어버린 "동요 300수" 조각들을 모아서 다시 붙인 것이다. 하지만 글자를 모르는 단소저는 아무렇게나 글자들을 붙여놨는데...
- ↑ 찢어버린 동화책을 아무렇게나 다시 붙였는데 불경이 된 것이다. 무한한 원숭이에게 무한한 타자기를 주면, 그 중 한 마리는 셰익스피어의 문학을 완성시킬 수 있단 말이 생각나는 부분이지만 동시에 능력적으로 완전하지 못하던 현장이 이 일을 겪으며 전부터 해오던 칠정에 휘둘리지 않고 특히 애정을 멀리하던 수양이 단소저로 인해 철저히 망가지는 것을 뜻하며 동시에 그로 인해 재구성을 함으로써 완전히 각성하는 것을 단적으로 드러낸 메타포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는 주성치의 전작 쿵푸허슬에서도 주인공이 완전히 사지가 으스러졌을 때 문자 그대로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 캡콤의 액션 게임 "아수라의 분노"의 장면과 아주 똑같다.
- ↑ 이미 일년전에 토렌트로 유포되어 볼사람은 다봤을지도 (...)
- ↑ 거기에 정식 개봉판은 광동어가 아니라 보통화 더빙판이었다.
- ↑ 광동어와 보통화 더빙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후반부 대일여래진경이 등장하자 손오공이 "여래!"라 외치고 덤벼드는 장면을 보면 된다. 전자음이 섞인 듯하면서 "우라이~"로 들리면 광동어, 그냥 포효하듯이 "여라이~"로 들리면 보통와 더빙이다.
- ↑ 심지어 그 여자아이는 영화 시작 때 어부인 아버지가 물에서 장난을 치다가 사오정에게 끔살당하는 걸 본 아이였다. 게다가 엄마까지 분노에 미쳐서 사오정을 잡으려고 물에 뛰어들고... 그렇게 일가족이 몰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