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우영빈

20100706071729%21%ED%95%98%EC%95%BC%EC%8B%9C.jpg
(가운데 인물)



[1]

鮮于永彬(林[2], 1909년 ~ 1978년?)

1 생애

평안남도 대동군 출생. 일본 우익의 원조 도야마 미쓰루에게 발탁되어 겐요샤[3]에 들어가 사무라이가 되어 일본의 대륙침략을 위해 낭인들을 한반도, 만주, 중국 등에 보낼 때 한반도 대표로 다시 조선으로 건너와 메이지초(명동)에서 활동하면서 김두한과 대립했다.

그러나 도야마 같은 일본 제국주의적 성향이 아닌 사무라이를 중시했던 그는 김두한과 대립 당시 부하의 암수를 알게 된 그는 패배를 인정하고 자신의 성씨 선우 종친회에게 지원하는 등에 다른 친일파들과 상반적 활동을 벌인다.

일본이 패망 당시에 그의 부하들만 보내고 그는 조선에 남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당시 1년 6개월을 받았고[4] 자책한 뒤 6.25 전쟁 이후 1953년부터 1963년까지 한국건설업회(대한건설협회 전신) 이사를 지냈고, 1968년부터 서울 지부장을 역임하고,# 1974년 서울 지하철 건설 공로로 철탑산업훈장을 받는 등# 기업인으로 활동하는 한편 독실한 크리스천으로 살았다고 한다. 1978년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임권택 감독의 영화 장군의 아들에도 같은 모티브의 인물이 등장하나 허구에 가깝다.

2 창작물에서

2.1 장군의 아들

해당항목 참조

2.2 야인시대

하야시(야인시대) 항목으로.

2.3 개그공화국 코너 죽거나 힘들거나

image_readtop_2012_328064_1338341121647915.gif
image_readmed_2012_328064_1338341121647919.gif

코미디 프로그램 개그공화국의 코너 죽거나 힘들거나에서 희극인 나상규가 이 캐릭터를 패러디해 하야시 역을 맡았다.
  1. 이동 도야마 미츠루가 아끼던 600년 전에 만들어진 칼은 덴노가 한때 지니고 다녔다고 한다.
  2. 이동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나오는 명판에는 林太郞이라 되어있다.
  3. 이동 을미사변을 주도한 단체이다. 패망 후 연합군에 의해서 강제 해산당한다.
  4. 이동 그러나 반민특위는 이승만의 방해로 와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