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정문

한양도성 8대문 및 보신각
창의문
북문
혜화문

서대문
지문
동대문
소의문
남대문
광희문


contents277_1_cmyk.jpg
구한말 숙정문.

1624444.jpg
현재 복원된 숙정문.

1 개요

500px

숙정문(肅靖門) 또는 숙청문(肅淸門). 4대 성문중 하나로, 북쪽 대문이다. 일명 북대문(北大門). 1396년(태조 5년) 9월 도성의 나머지 삼대문과 사소문(四小門)이 준공될 때 함께 세워졌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산(북악산) 2-1번지에 있다. 지금의 문루(門樓)는 1976년에 복원한 것이다.

2 이름의 유래

원래 숙청문이라는 이름으로 쓰였다. 이후 숙정문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바뀐 이유와 정확한 시기는 불분명하다. 1523년(중종 18년) 처음으로 숙정문이라는 표기가 쓰인 후, 혼용되다가 숙정문으로 바뀐것으로 추청된다.

3 특징

일단 4대 성문중 북문이지만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산속에 위치한 탓에, 실질적인 성문의 기능은 하지 않았다. 대신 북소문인 창의문(자하문)과 숙종 대에 만든 홍지문이 북문으로서의 실제 기능을 하였다. 전통적으로 북쪽이 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결정적으로 1413년 풍수지리학자 최양선이 이 문이 지맥을 손상시킨다며 상소를 올려 그 뒤로 소나무로 길을 막아버렸으며, 1504년(연산군 10년)에는 자리까지 옮기게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옮겼는지는 불분명하다.
현재의 현판은 문루 복원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것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적은 한문 가로쓰기이다.

4 이모저모

1963년 1월 21일 이후로 서울성곽에 포함되어 사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 그로부터 5년 뒤 1968년 1월 21일. 1.21사태가 일어나 숙청 봉쇄되었고, 그로부터 38년이 더 지난 2006년 4월이 되어서야 일반인에게 공개됐다.

오늘날에 들어서도 도시 한 가운데에 있는 흥인지문이나 숭례문과는 달리 산자락에 있는 관문이라 이 곳으로 직행하는 대중교통도 없다. 도로는 이 문 밑에 있는 삼청터널로 통과하기 때문에 자동차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굳이 찾아가려면 서울 버스 종로11 종점이나 서울 버스 종로02 종점에서 내려 서울성곽을 따라가야 한다. 그런데 숙정문을 포함하는 부분은 서울 성곽 중에서도 아주 가파른 산길이다. 그나마 가장 편한 루트는 안국역에서 서울 버스 종로02를 타고 와룡공원 앞에 내려서 말바위안내소로 향하는 게 그나마 오르막길을 좀 덜 걷는 루트...이긴 하지만 현재는 성곽으로 가로지르는 길이 폐쇄 되어 약간 돌아가야 한다.

그리고 서울 성곽부분에서 숙정문을 포함하는 부분은 통제구역이라 정해진 시간대에만 출입이 허용된다. 하절기 오후4시, 동절기 오후 3시까지 입장. 오후 6시까지는 무조건 퇴장이다. 1분만 늦게 가도 출입이 허용되지 않고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야하니 방문하려는 사람들은 주의할 것.

존재감이 시망인데 숭례문과 흥인지문이야 그렇다 치고 일제강점기에 허물어서 없어진 돈의문(서대문)조차 서대문형무소, 신문로, 새문안 등의 지명에 남아 사람들의 인식 속에 살아남아 있는 반면 숙정문은 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지. 이 너무 많아서 기피대상이었던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