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탄데스헤어

1 개요

Standesherr

독일 연방(Deutsche Bund: 1815-66)의 최상급 귀족 가문을 구성하는 특수한 신분층을 지칭하는 말. 신성 로마 제국은 수백 개의 제후국으로 분립된 나라였으나, 나폴레옹신성로마제국을 해체시키고 작은 제후국들을 이웃의 큰 나라들에 합병시켰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자, 대(對)프랑스 동맹국들은 1815년 빈 회의를 열어 그 뒷수습을 했다. 이들을 (이웃 대국에) 합병된 왕가들(Mediatized Houses)이라고도 한다.

칭호는 퓌르스트(Fürst[1]) 또는 프린츠(Prinz)의 칭호를 가진 경우에는 "Durchlaucht", 그라프(백작) 가문의 당주인 백작에게는 "Erlaucht"였다. (Durchlaucht, Erlaucht 모두 "전하"로 번역할 수 있다.)

이 가문 출신의 남자는 병역이 면제되었으나, 직업군인인 경우 보통 소위 계급부터 시작하는 특전이 있었다.

이들은 19세기에도 각자의 영지에 대한 사법권과 행정권을 유지, 사실상 나라 안의 나라 같은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1848년 혁명 이후에는 중앙집권화를 추구한 독일 각 영방국가들에 의해 이런 특권이 소멸되어 갔다. 그러나 이들 가문의 당주는 1918년까지 프로이센 귀족원(Preußisches Herrenhaus)이나 헤센 대공국 회의(Landstände des Großherzogtums Hessen)에 의석을 보유하였고, 영지가 여러 나라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두 나라의 의회에 의석을 가지기도 했다(가령 라이닝겐 공작가 당주는 헤센 대공국과 바덴 대공국 두 나라의 귀족원 의원을 겸함).

2 귀천상혼

슈탄데스헤어 가문들에 대해 결혼 문제에 대해서는 다른 대국의 왕실과 귀천상혼이 아니라 동등한 결혼으로 인정(신분상응 身分相應: 독일어 Ebenbürtigkeit)받았다(법적이 아닌 관습적으로). 따라서, 작위가 백작가라 할지라도 슈탄데스헤어 가문이라면 명목상 귀천상혼이 아니게 된다.

명목상으로 이들 합병된 공실들이 외국 왕가와 동등한 결혼 자격이 있다고는 하지만, 이후 잘 지켜지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프란츠 요제프 황제는 후계자 카를의 신부감으로 호엔로헤 가문의 영애를 맞는 것을 거부했고,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후처인 아우구스테 폰 하라흐(Auguste von Harrach) 여백작은 합병된 공실 출신이었지만 귀천상혼으로 간주되어 '리그니츠 여공이자 호엔촐레른 여백작'의 작위를 받았다[2]. 19세기 말경부터 유럽의 왕가·귀족가문에 대한 저명한 족보인 'Almanach de Gotha'[3]는 "주권국 왕가" "합병된 공가" "귀족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기 시작했다. 일반 귀족가문보다는 격이 높지만 주권국의 왕실보다는 격이 떨어지는 정도로 생각되었던 듯.

3 가문 목록

(취소선은 현재 단절된 공가)

  • 아렌베르크(Arenberg) 공작가
  • 아우에르스페르크(Auersperg) 공작가
  • 벤트하임(Bentheim) 백작가
  • 벤팅크(Bentinck) 백작가 (영국 포클랜드 백작)
  • 카스텔(Castell)
    • 카스텔-카스텔(Castell-Castell) 백작가 (1901년부터 공작가)
    • 카스텔-뤼덴하우젠(Castell-Rüdenhausen) 백작가 (1901년부터 공작가)[4]
  • 콜로레도(Colloredo)
    • 콜로레도-만스펠트(Colloredo-Mansfeld) 공작가
  • 크로이(Croÿ) 공작가
  • 디트리히슈타인(Dietrichstein) 공작가
  • 에르바흐(Erbach)
    • 에르바흐-에르바흐(Erbach-Erbach) 백작가
    • 에르바흐-퓌르스테나우(Erbach-Fürstenau) 백작가
    • 에르바흐-쇤베르크(Erbach-Schönberg) 공작가
  • 에스타르하지(Esterházy)
  • 푸거(Fugger)
    • 푸거-바벤하우젠(Fugger-Babenhausen) 공작가
    • 푸거-글뢰트(Fugger-Glött) 백작가
    • 푸거-키르히베르크-바이센호른(Fugger-Kirchberg-Weissenhorn) 백작가
    • 푸거-키르히하임(Fugger-Kirchheim) 백작가
    • 푸거-노르덴도르프(Fugger-Nordendorf) 백작가
  • 퓌르스텐베르크(Fürstenberg)
    • 퓌르스텐베르크-퓌르글리츠(Fürstenberg-Pürglitz) 공작가
  • 하라흐 추 탄하우젠(Harrach zu Thannhausen) 백작가
  • 호헨로헤(Hohenlohe)
    • 호엔로헤-바르텐슈타인(Hohenlohe-Bartenstein) 공작가
    • 호엔로헤-잉겔핑겐(Hohenlohe-Ingelfingen) 공작가
    • 호엔로헤-야크스트베르크(Hohenlohe-Jagstberg) 공작가
    • 호엔로헤-랑엔부르크(Hohenlohe-Langenburg) 공작가
    • 호엔로헤-실링퓌르스트(Hohenlohe-Schillingsfürst) 공작가
    • 호엔로헤-키르히베르크(Hohenlohe-Kirchberg) 백작가
    • 호엔로헤-발덴부르크-실링퓌르스트(Hohenlohe-Waldenburg-Schillingsfürst) 공작가
    • 호엔로헤-실링퓌르스트(Hohenlohe-Schillingsfürst) 백작가
  • 이젠부르크(Isenburg)
    • 이젠부르크(-비르슈타인)(Isenburg(-Birstein)) 공작가
    • 이젠부르크-뷔딩겐(Isenburg-Büdingen) 백작가 (이후 공작가)
    • 이젠부르크-메르홀츠(Isenburg-Meerholz) 백작가
    • 이젠부르크-베흐테르스바흐(Isenburg-Wächtersbach) 백작가
  • 케벤휠러-메치(Khevenhüller-Metsch) 공작가
  • 쾨니히제그-아울렌도르프(Königsegg-Aulendorf) 백작가
  • 쿠에프슈타인-그라일렌슈타인(Kuefstein-Greillenstein) 백작가
  • 라이닝겐(Leiningen)
    • 라이닝겐(Leiningen) 공작가
    • 라이닝겐-알트-베스터부르크(Leiningen-Alt-Westerburg) 백작가
    • 라이닝겐-빌링하임(Leiningen-Billigheim) 백작가
    • 라이닝겐-노이데나우(Leiningen-Neudenau) 백작가
    • 라이닝겐-노이-베스터부르크(Leiningen-Neu-Westerburg) 백작가
  • 라이엔(Leyen) 공작가[5][6]
  • 로브코비츠(Lobkowicz) 공작가
  • 뢰벤슈타인(Löwenstein)
    • 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프로이덴베르크(Löwenstein-Wertheim-Freudenberg) 백작가
    • 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젠베르크(Löwenstein-Wertheim-Rosenberg) 공작가
  • 로츠 운트 코르스바렘(Looz und Corswarem) 공작가
  • 메테르니히-비네부르크(Metternich-Winneburg) 공작가[7]
  • 네이페르크(Neipperg) 백작가[8]
  • 네셀로데(Nesselrode) 백작가
  • 오르시니 운트 로젠베르크(Orsini und Rosenberg) 공작가
  • 오르텐부르크-노이오르텐부르크(Ortenburg-Neuortenburg) 백작가
  • 오스테인(Ostein) 백작가
  • 외팅겐(Öttingen)
    • 외팅겐-발러슈타인(Öttingen-Wallerstein) 공작가
    • 외팅겐-슈피엘베르크(Öttingen-Spielberg) 공작가
  • 파펜하임(Pappenheim) 공작가
  • 플라텐-할레르문트(Platen-Hallermund) 백작가
  • 플레텐베르크-비템(Plettenberg-Wittem) 백작가
  • 퓌클러 운트 림푸르크(Pückler und Limpurg) 백작가[9]
  • 크바트-이스니(Quadt-Isny) 백작가
  • 레흐베르크 운트 로텐로벤(Rechberg und Rothenlöwen) 백작가
  • 레흐테렌(Rechteren) 백작가
  • 잘름(Salm)
    • 잘름-호르스트마르(Salm-Horstmar) 방백가(이후 공작)
    • 잘름-키르부르크(Salm-Kyrburg) 공작가
    • 잘름-잘름(Salm-Salm) 공작가
    • 잘름-라이페르샤이트-크라우테임(Salm-Reifferscheid-Krautheim) 공작가
    • 잘름-라이페르샤이트-디크(Salm-Reifferscheid-Dyck) 백작가
    • 잘름-라이페르샤이트-하인스바흐(Salm-Reifferscheid-Hainsbach) 백작가
  • 자인-뷔트겐슈타인(Sayn-Wittgenstein)
    • 자인-뷔트겐슈타인-베를레부르크(Sayn-Wittgenstein-Berleburg) 공작가
    • 자인-뷔트겐슈타인-혼슈타인(Sayn-Wittgenstein-Hohnstein) 공작가
    • 자인-뷔트겐슈타인-자인(Sayn-Wittgenstein-Sayn) 백작가
  • 샤에스베르크-탄하임(Schaesberg-Thannheim) 백작가
  • 슐리츠 게난트 폰 괴르츠(Schlitz genannt von Görtz) 백작가
  • 숀보른-비젠테이트(Schönborn-Wiesentheid) 백작가
  • 숀부르크(Schönburg)
    • 숀부르크-글라우샤우(Schönburg-Glauchau) 백작가
    • 숀부르크-발덴부르크(Schönburg-Waldenburg) 공작가
    • 숀부르크-하르덴슈타인(Schönburg-Hardenstein) 공작가
  • 슈바르첸베르크(Schwarzenberg) 공작가
  • 지킹겐(Sickingen) 백작가
  • 진첸도르프(Sinzendorf) 공작가
  • 졸름스(Solms)
    • 졸름스-바루트(Solms-Baruth) 백작가
    • 졸름스-라우바흐(Solms-Laubach) 백작가
    • 졸름스-뢰델하임-아센하임(Solms-Rödelheim-Assenheim) 백작가
    • 졸름스-뢰델하임 운트 아센하임(Solms-Rödelheim und Assenheim) 백작가
    • 졸름스-빌덴펠스(Solms-Wildenfels) 백작가
    • 졸름스-브라운펠스(Solms-Braunfels) 공작가
    • 졸름스-호헨졸름스-리흐(Solms-Hohensolms-Lich) 공작가
  • 슈타디온(Stadion)
    • 슈타디온-탄하우젠(Stadion-Thannhausen) 백작가
    • 슈타디온-바르트하우젠(Stadion-Warthausen) 백작가
  • 슈타르헴베르크(Starhemberg) 공작가
  • 슈테른베르크-만데르샤이트(Sternberg-Manderscheid) 백작가
  • 슈톨베르크(Stolberg)
    • 슈톨베르크-로슬라(Stolberg-Rossla)
    • 슈톨베르크-슈톨베르크(Stolberg-Stolberg)
    •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Stolberg-Wernigerode) 백작가
  • 투른 운트 탁시스(Thurn und Taxis) 공작가
  • 퇴링-예텐바흐(Törring-Jettenbach) 백작가
  • 트라우트만스도르프-바인스베르크(Trauttmansdorff-Weinsberg) 공작가
  • 발트보트 폰 바센하임(Waldbott von Bassenheim) 백작가
  • 발트부르크(Waldburg)
    • 발트부르크-발트제(Waldburg-Waldsee) 공작가
    • 발트부르크-부르차흐(Waldburg-Wurzach) 공작가
    • 발트부르크-차일(Waldburg-Zeil) 공작가
  • 발모덴-김보른(Wallmoden-Gimborn) 백작가
  • 비드(-노이비드)(Wied(-Neuwied)) 공작가
  • 빈트시-그레츠(Windisch-Grätz) 공작가
  • 부름브란트-슈툽파흐(Wurmbrand-Stuppach) 백작가

4 이들 가문 출신의 저명인

  •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 빈 회의를 주도한 오스트리아의 재상.
  • 클로트비히 폰 호헨로헤-실링 - 독일 제국의 재상.
  • 하인리히 프린츠 추 자인 비트겐슈타인 - 자인-뷔트겐슈타인-자인(Sayn-Wittgenstein-Sayn) 백작가 출신, 2차대전 독일 야간전투기 에이스(격추 83기, 독일 야간전투 3위), 본인보다는 성씨가 같은 철학자 아저씨와 본인의 TS 버전이 더 유명하다(...)
  • 필기류 굴지의 명품 기업인 Faber-Castell은 신생 남작 가문이던 파버 가문의 딸이 슈탄데스헤어 가문 중 하나인 카스텔-뤼덴하우젠 가문의 아들과 귀천상혼을 한 결과 탄생한 백작가이다.귀천상혼까지하며 결혼했지만 결국 나중에는 이혼한다. 다만 약간 애매한게 원래부터 카스텔-뤼덴하우젠 가문은 가문의 수장만 퓌르스트 작위를 갖고 나머지 가문의 일원들은 백작 작위만 가지고 있는 가문이었기때문에 파버 가문의 딸과 결혼한 카스텔-뤼덴하우젠 백작은 애초에 백작위만 가지고 있었다.
  1. 본 문서에서는 편의상 공작으로 번역했으나, 후작으로도 번역된다.
  2. 자기의 두 번째 왕비를 만들고 싶지 않았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개인적 소망이 작용하기도 했다.
  3. 현재는 공식 웹사이트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4. 이 가문의 방계가 만년필 회사인 파버카스텔社의 사주 가문이다.
  5. 남계는 1970년 단절.
  6. 원래는 프랑스 귀족이었는데, 프랑스 혁명 이후 프로이센 왕국으로 망명하는데.....보불전쟁에서 프랑스가 대패한 것을 생각하면.....
  7. 남계는 1992년 단절.
  8. 여담이지만 이 집안의 나이페르크 백작에 대해 알고 싶다면 나폴레옹 2세마리 루이즈항목 참고
  9. 프로이센 초기부터 호앤촐레른 왕가를 지지한 군인귀족으로 이 후손들이 프로이센이 치른 전쟁들애서 활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