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회의

Empty Congress
Congress of Vienna

m.3214_congress-of-vienna.jpg
빈 회의 참석자들을 묘사한 기록화. 가운데에 앉아있는 인물이 의장을 맡은 오스트리아 재상 메테르니히다.

1 개요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의 수도 (비엔나)에서 열린 회의.

CongressOfVienna.jpg

나폴레옹 전쟁의 전후 처리와 유럽의 세력 재편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열린 회의로 오스트리아 수상 겸 외상인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가 의장을 맡아 회의를 주도했다. 회의를 주도한 유럽의 다섯 열강들은 각각 영국,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와 패전국 프랑스.

2 내용

빈 회의 목표는 모든 것을 프랑스 혁명 이전 상태로 되돌리자가 핵심이었다. 그래서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으로 일어난 자유주의적 개혁을 청산하는 분명한 반동주의가 빈 회의의 분위기였다. 하지만 현실적인 목표도 있었는데 유럽의 초강대국 프랑스가 몰락하고나서 전리품 분배와 이로인한 유럽내 세력균형의 분배가 핵심..

이에 따른 빈 회의의 목적은 메테르니히가 제시한 다섯개 원칙이 있었는데 자세한건 필요 없고 한마디로 정통주의로의 복귀였다. 나폴레옹에 의해 끌어내려진 기존의 유럽 군주들을 왕좌에 다시 앉혀놓고 혁명으로 오염된 체제를 다시 세우는 것이며, 혁명이전의 체제로 복귀하며 국경선과 세력권을 조정하여 유럽의 평화와 안정을 추구하는것... 인데 명분은 어디까지나 명분일 뿐 이고, 소국의 권리는 철저하게 무시 당했고 나폴레옹에 빌붙어서 영토를 확장한 나라들은 대부분 기득권을 인정받았다....[1]

실제 회의는 각국의 이해관계 때문에 회의에 진척이 무척 더뎌져 계획대로라면 4주 동안만 진행되었을 회의가 8달동안이나 지속되게 된다. 이는 빈회의 이전 1814년 프랑스 전역에서의 회담서도 마찬가지였는데 4개국(영국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의 이해관계가 서로 다르다보니 이럴바엔 빈에서 제대로 판을 벌이자해서 메테르니히가 친히 조정 역할을 자임했고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벌어진것이다.

살펴보면 대부분의 이해관계 문제가 결국은 영토문제였다. 프랑스를 어느정도 축소 시킬 지는 4개국이 파리에서 어느정도 합의를 해 놓았으나 그에 따른 전리품 분배를 가지고 너 죽고 나 살자며 개판이 벌어진것...[2] 특히 메테르니히는 회의가 오스트리아에 불리하게 진행되면, 광고듣고, 아니 춤 한번 땡기고 오겠습니다 회의를 중단하고 파티를 거행했기에 "저 회의는 진행되는게 아니라 춤추고 있는 중이다"라는 소리까지 나왔을 정도였다. 이 때문에 각국의 군주들이 손잡고 춤춰대는 풍자화가 당대에 나왔을 정도였다.

hoechle-redoute_pare.png
빈 회의 기간의 실제 무도회를 기록한 그림
satirical-cartoon-depicting-the-key-protagonists-in-a-dance-at-the-congress-of-vienna-in-1815.jpg
이 그림은 실제 춤이 아닌 질질 끄는 회의를 춤으로 묘사한 풍자화

십수년간 전쟁으로 재정이 파탄난 오스트리아에선 회의 비용으로 하루 5만 굴덴[3]씩 펑펑 써대고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는 40일 연속 파티를 하는 진기록(?)을 세웠으며... 눈치없이 나폴레옹을 너무 오래 편들어서 약간 왕따 취급을 받던 덴마크왕[4]도 연신 화끈하게 놀아댄걸로 소문이 났었다..

이렇게 탱자 탱자 논거 같지만 실제로는 실무진들이 발바닥에 땀나게 만나고 있었으나 유럽 높으신 어른들이 제 주장만 주장해서 전혀 진척이 없었다..

더디던 회의를 한방에 해결하게 한것은 바로 나폴레옹엘바 섬에서 탈출했다는 소식이었다.[5] 나폴레옹의 탈출과 황제 복위 소식에 경악한 회의 참가국들은 위기감에 상호간에 타협하여 1815년 6월 9일 빈 의정서를 체결하게 되었다. 그리고 열흘 뒤, 나폴레옹이 워털루 전투에서 패하면서 싱겁게 마무리.

이 회의의 마지막 날 부기록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여담으로 자허토르테 초콜렛 케이크가 여기서 등장했다는 설이 있다.

3 회의 결과

빈 회의의 결과로 형성된 유럽의 체제를 빈 체제라 부른다. 그리스이탈리아 등의 주변부에서의 소요에도 불구하고, 빈 체제는 프로이센, 러시아 그리고 오스트리아의 신성 동맹을 중심으로 유럽 협조 체계 개념(The Concert of Europe)에 바탕하여 40여 년간 유지되었다. 이후 정치적으로는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과 메테르니히의 실각, 외교적으로는 1854년 시작된 크림 전쟁을 기점으로 붕괴되었다.

다시 평화가 복원된 것은 1840~60년대 이탈리아 통일전쟁보오전쟁, 보불전쟁을 거친 1871년이었고, 이것은 "비스마르크 체제"라고 불린다. 이렇게 다시 40년간 평화가 지속되다가 빈 회의부터 정확히 100년만인 1914년 모든 열강의 대 전쟁인 제1차 세계대전이 벌어지면서, 빈 체제가 고안한 오랜 평화는 마지막으로 산산조각이 났다. 보수주의의 등장이란 점에서도 빈 체제는 나름의 의미를 가진다.

의외로 프랑스는 패전국 처지인데도 불구하고 결과만 보면 전범취급은 당했지만 아주 큰 손해는 보지 않은 편이었다. 이건 프랑스 혁명 이전으로 돌아가자는 명분 때문에 프랑스 자체가 쪼개지지도 않았고[6], 무엇보다 프랑스를 패전국이라고 아주 개발살을 내버리면 세력의 균형은 커녕 다른 국가들이 제 2의 프랑스가 되어 또다시 유럽의 패권을 거머쥐거나, 프랑스에 지나치게 가혹한 강화조약을 할 경우엔 프랑스인들이 정부를 인정하지 않을테고 그러자면 외국군대를 계속 주둔시켜야했고, 주둔 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진압하는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이었다.

러시아와 프로이센, 그리고 오스트리아가 분할 문제로 갈등이 심화되는 동안 당시 프랑스의 외교관이었던 샤를 모리스 탈레랑이 이 갈등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이득을 보았다. 정확히는 메테르니히가 주도했고 탈레랑이 여기에 제대로 결탁한 것이었지만. 메테르니히는 영국의 캐슬레이와 짜고 탈레랑을 승전 4국(러·오·영·보(프로이센))의 비밀회담을 방청할 수 있게 하면서 군사 동맹까지 맺어 러시아와 프로이센의 팽창을 위협하였다. 하지만 메테르니히는 스스로 나서서 조정자 역할을 자임하고 정통주의와 복고주의 드립을 친 덕 때문에 오스트리아의 협상력은 떨어질수 밖에 없어서 영토적 국익은 많이 챙기지 못했다. 앞서 프로이센과 러시아에 맞서 러시아와 프로이센이 노리는 바르샤바 대공국(폴란드)와 작센 병합 문제를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가 대단히 경계했기 때문인데 결과적으론 프로이센과 러시아가 밀착해서 동유럽에서 오스트리아의 운신폭이 좁아졌고 장기적으론 프로이센은 작센 대신 라인란트 지방을 발판으로 경제력이 일취월장해서 독일 관세 동맹을 구성하는등 독일내 영향력이 후진적 농업국인 오스트리아 보다 강해지며 통일 주도하는 발판을 조공으로 바친셈이 되었다. 프랑스가 빈회의에 참석한건 부르봉 왕가 복귀의 영향도 있지만[7] 유럽 강대국인 프랑스를 제쳐놓고 유럽평화를 논하기 어려웠기 때문...

단순 메테르니히가 대단해서냐는둥 탈레랑이 먼치킨이라서가 아니다. 프로이센의 경우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가 무능해서 이용당했다는 소리가 나오는데 사실무근인게. 프로이센의 대표자는 물론 국왕이었으나 실제 실무는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 수상이 일임했기 때문에 호구 잡힐일은 없었다. 그리고 다른 나라 외교관들이 장님들만 있는것도 아니었고 실무진들도 있었기 때문에 한 두사람의 무능으로 결과가 바뀌고 뒤집힐 일은 아니었다. 4개 승전국중 영국 러시아의 발언력과 대립이 컸고 프로이센은 러시아에 붙고 오스트리아는 심판보는척하면서 영국에 동조하는 입장이었고 결국 백일천하가 겹치고 바등에 불이 떨어지자 가장 큰 목표였던 세력균형과 유럽평화를 위해서 각국이 양보를 하면서 협상이 타결 되었다.

이 국면에서 메테르니히의 여러 활약상은 헨리 키신저가 『회복된 세계(A World Restored: Metternich, Castlereagh and the Problems of Peace, 1812-1822)』에서 대가다운 필치로 정리해놓았다.

4 회의에 따른 각국의 손익

파일:Attachment/Map-1810 and 1817-After Congress of Vienna.jpg
바르샤바 대공국은 Grand Duchy of Warsaw다.

이는 빈회의만의 독자적인 결과가 아니라 이전 프랑스와 나폴레옹 전쟁때의 합의된 국경선도 참조했다. 신성로마제국이 붕괴하면서 교회령은 몰수 제국도시는 몇개만 제국기사령과 듣보잡 소국들은 소멸되었어도 복구되지 않았다. 나폴레옹에 빌붙어서 영토를 확장한 중소규모의 영방들의 기득권도 인정 되었다.

  • 프랑스: 1790년 이전 국경으로 돌아갔다.[8] 니스와 사보이 지방을 제외하고 현재의 국경과 거의 비슷. 루이 18세의 복위를 통한 부르봉 왕조로의 왕정복고, 영국이 점령한 대다수의 얼마 남은 것도 없지만 식민지의 반환(재획득). 세네갈 획득. 입헌군주제 등장. 다만 전범국으로 찍혀서 영토내 주요 요새를 외국군대에 점령 당해야 했으며 3~5년간 외국군대 50만명의 체류비와 7억프랑의 전쟁 보상금을 지급하고 각국이 프랑스를 감시하기로 한다. 영토면에선 관대했지만 외교적으로는 꽤나 가혹한 조치였다. 부르봉 왕조가 복귀하고나서도 전범으로 찍혀 유럽서 꽤나 눈치를 봐야할 정도..
  • 오스트리아: 롬바르디아베네치아 획득. 대신에 부유하지만 지리적으로 너무 멀리있던 벨기에는 네덜란드에 넘겼다. 기존 독일연방(신성로마제국) 역내의 포어데어-오스트리아[10]들이 싹 양보하고 이탈리아에서 실리를 챙겼다. 이탈리아 중북부의 토스카나와 모데나등 합스부르크의 방계집안이 북이탈리아 지역에 다시 복귀하여 위성국이 되었으므로 사실상 북이탈리아 지역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향권이 되었다.
  • 러시아: 러시아 황제가 대공을 겸하는 핀란드 대공국 승인,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베사라비아 획득, 러시아의 폴란드 지배 인정(러시아 황제가 폴란드 왕을 겸함). 즉 핀란드, 폴란드와 몰도바 동부를 획득. 핀란드는 나폴레옹이 스웨덴 견제용으로 1809년 알렉산드르 1세에 선물(?)로 한 셈이라 실제로 큰 이득을 본 것은 없다. 오스만 제국령도 나폴레옹 전쟁때 틈틈이 털어서 자력으로 획득한것이고 폴란드는 애초에 폴란드 분할후 러시아 영역이 가장 컸으니.... 프로이센에 바르샤바등을 양보받았기 때문에 프로이센 편을 들게 된다.
폴란드 지역은 러시아에 양보하고 대가로 애초에 작센의 완전한 합병을 요구했으나 오스트리아를 비롯한 타국의 견제로 무산되었다. 이때문에 오스트리아와 전쟁 직전(?)까지 갔다...[11] 동프리슬란드는 하노버에 남독일의 바이로이트와 안스바흐는 바이에른에 양도 하는대신에하는식으로 자잘한 영토들은 양보했으나, 프랑스 지배하에 있던 라인란트 지방과 베스트팔렌의 커다란 영토를 할양받았는데 프로이센의 입장에서 라인란트의 병합은 나폴레옹 치하에 너무 오래 있어서 혁명으로 오염된 지역 에다가 본토랑 지리적으로도 연결도 안되어서 탐탁지 않았지만 유럽 내에서 프랑스를 견제할 역할 '완장'으로서 획득하게된다. 결과적으로 이지역은 철과 석탄이 풍부하고 공업이 발달해서 프로이센이 통일 독일로 주역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메테르니히 입장에선 프로이센이 커지면 오스트리아의 독일 개입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었으므로 별로 내키는 결정은 아니었지만, 작센을 공국으로 분립시키는 정도로 합의를 보았다.
라이프치히 전투 때까지 정신 못 차리고 나폴레옹을 편 든 덴마크 왕과 열심히 뒷통수 친 스웨덴 왕세자 덕에 노르웨이가 스웨덴의 전리품으로 넘어간다. 덴마크는 대신에 하노버선제후와 동군연합이던 라우엔부르크 공작령을 획득하고 북부독일에서 영토를 늘린다.
  • 네덜란드: 오스트리아에게서 남부 네덜란드(오늘날의 벨기에)를 획득하며, 오라녜-나사우 가문이 정식으로 왕위에 올라서 네덜란드의 국왕이 룩셈부르크 대공을 겸한다. 이 결과 네덜란드 왕이 룩셈베르크 대공 자격으로 독일연방의 회원이 된다.[12]
  • 사르데냐: 사보이 피에몬테 지역과 제노바 획득. 그리고 이를 발판으로 이탈리아 통일을 시작한다.
  • 스위스: 프랑스혁명 이전 처럼 독립국으로 인정 받았다. 프랑스와 독일 영방등으로 부터 자잘한 영토를 할양받았다.
  • 스페인나폴리 왕국: 부르봉 왕조로 왕정복고. 물론 이 왕가는 스페인 왕위계승전쟁 때부터 프랑스의 부르봉 왕가와 겸임할 수 없었다. 다만 스페인의 경우 비준을 1817년까지 거부했는데 예전 나폴레옹이 스페인을 털러가면서 영토할양을 했고 이탈리아에 방계왕족의 영지를 확보해준다는 조건을 강대국들이 무시해서... 결국엔 스페인 왕가 방계인 부르봉-파르마 가문이 루카를 받는것으로 합의함.
  • 작센: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가 덴마크처럼 정신 못차리고[13] 끝까지 나폴레옹 편든 대가로 국토의 60%가 프로이센에 합병 당한다. 작센은 전범취급을 당해서 공식 초청도 안되었고 사절을 보내서 간접적으로 청취만 해야했다....하지만 완전 병합은 영불오 삼국동맹의 견제로 못하게 되고 "독일 영방의 작센 공국"으로 존속하게 된다. 프랑켄 지역의 듣보잡 소국에게도 영토를 할양함.
  • 나머지 독일지역 : 라인 동맹에 속했던 나머지 독일 지역은 나폴레옹 시대 이전으로 돌리기인 너무나 듣보르잡 소국들이 많아서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 라인강 유역의 3개 대주교구(마인츠·트리어·쾰른)은 소멸되었고, 나머지 교회령이나 제국 직속도시 제국기사령, 기타 영방소국들은 오스트리아나 기타 나머지 독일국가에 합병되었다.[14] 하노버 뷔르템베르크 바이에른은 왕국으로 격상했다. 앞서 몰수한 교회령은 각국이 합병한것을 그대로 인정 받았는데[15] 유서 깊은 제국도시들 레겐스부르크나 뉘른베르크라든지 하는 영토도 모조리 합병되고 프랑크푸르트 와 뤼벡 브레멘 함부르크 4개만 독립을 인정 받았다.안습...

이런 듣보르잡 소국들을 나눠 먹은 최대 수혜자는 바덴 대공국으로, 혁명 이전보다 영토가 5배(!)나 증가 할 정도 였다고[16]한다.

1648년 이후 300여개 넘는 독일내 독립 영방들은 이미 나폴레옹 덕에(?) 많이 정리되었고, 1806년 해체된 신성로마제국을 대체하는 독일 연방이 1815년 결성 될 때는 35여개 국가(+ 4개의 자유시)로 정리돼서 나름 독일통일을 앞당겼다고 할 수 있다.

  1. 프랑스를 제외하면 약탈 문화재까지 소유권을 인정받았다.. 애초에 프랑스도 포함이었지만 백일천하 때문에 프랑스만 반환해야 했다.
  2. 프랑스 국경은 메테르니히가 관대하게 1792~1797년 사이의 국경으로 복구한다는데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가 너무 관대하다며 강력하게 반발했지만 그선에서 타협하고 1792년 1월 1일 국경으로 정해졌다.
  3. 1870년 화폐기준으로 35만유로에 해당한다는데 1814~5년이니 물가 상승 고려하면 더 높았을 것이다.
  4. 대륙봉쇄령에 적극 동참했고 그 대가로 프랑스에 스웨덴 견제용으로 특권을 받았다. 애초에 일찍 뒷통수치고 빠진 바이에른 뷔르템베르크는 물론이고 오스트리아고 프로이센 러시아도 한때는 나폴레옹에 쳐발려서 강제동맹 신세였기에 그닥 문제는 안되었다. 작센처럼 정신 못차리고 라이프치히에서 개박살이 났는데도 끝까지 충성을 바치는 미련한 경우만 빼고...
  5. 흔히 빈 회의가 열린 것을 나폴레옹이 완전히 몰락한 워털루 전투 이후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나폴레옹을 엘바 섬에 유배 보낸 뒤, 유럽 각국이 이제 나폴레옹은 끝났다고 생각하고 전후처리 문제를 논하기 위해서 시작한 것이었다.
  6. 시도가 없던건 아니다. 1814년 프랑스 전역에서 오스트리아 프란츠 2세의 아우 카를대공을 수반으로 이전 합스부르크령인 알자스 부르군드등을 묶어서 프랑스에 떼내 새로운 군주국을 만들 시도하려고 했으나 프로이센과 러시아등이 가볍게 무시했다.
  7. 백일 천하 때는 동맹국에서 프랑스가 아닌 개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선전포고 했다.
  8. 원래는 1814년 프랑스 전역에서 4개 승전국들이 합의 한대로 1792년 1월 1일 국경선이었으나 백일천하 사건후에 조금 더 가혹해져서 자를란트등을 프로이센 사보이는 사르데냐에 기타 스위스 네덜란드 등에 추가로 영토를 할양해야 했다.
  9. 하노버왕가는 원래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가문인데 수도를 이전하고 선제후 가문이 되고나선 하노버 가문으로 불렸다.
  10. 본토와 연결 되지 않은 고립영토
  11. 단순히 메테르니히와 탈레랑이 프로이센을 견제(?)한다는 단순한 셈법이 아니라 실은 러시아 때문이었다. 영국에서 러시아가 지나치게 서유럽에 팽창하는것을 두드러기 내면서 결사 반대하면서... 러시아 알렉산드르 1세가 양보하여 폴란드 전역을 합병하지 않고 프로이센과 나누는 선에서 타협하며 실마리가 풀렸다.
  12. 그러나 15년 후 벨기에는 종교적 문제와 겹쳐서 독립전쟁으로 인해 분리되고, 50여 년 후에는 살리카법으로 인해 룩셈부르크도 분리된다.
  13. 프로이센 견제 역할로 프랑스에서 받은 많은 이권을 누리긴했다. 바르샤바 대공국 대공도 겸임함. 라이프치히 전투 후에 포로로 잡히고 왕위 복귀가 유보 되었으나 복위는 승인 받는다.
  14. 합병돼서 없어진 소국의 왕가들은 이전과 똑같은 결혼에서의 특권이 주어졌다. 즉 귀천상혼에서 제외되어 다른 왕가와 혼인이 계속 가능했다.
  15. 교황청에서 성직제후령의 복귀를 강하게 주장했으나 아무도 세겨 듣지 않았다.
  16. 바덴대공국은 앞서 나폴레옹에 줄을 잘서서 받은 영토 기득권을 그대로 인정받았는데 라인강 이서 지역을 프랑스에 조공으로 바치는 대신 라인강 동편에 8배에 달하는 대토보상(?)을 받았다. 여기엔 오스트리아 영토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