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책

失策
Error

1 사전상 의미

잘못된 계책.

2 야구용어

야수가 정상적인 플레이였을 때 아웃을 만들거나 진루를 막을 수 있을 주자를 살리거나 진루를 허용할 경우 기록원이 결정하는 기록. 심판이 결정하는게 아니다!

크게 포구실책(Fielding Error)과 송구실책(Throwing Error)으로 구분한다. 포구실책은 공을 놓쳐서 귀중한 아웃카운트를 날려먹거나 주자가 추가 진루를 할 수 있게 해준 경우에 해당하며, 송구실책은 공을 뭣같이 던져서 다른 야수가 포구를 못한 경우에 해당한다.

야구규칙 상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타자의 타격시간을 연장시키거나 타자주자를 포함한 아웃될 주자를 살려주거나 주자에게 1개 베이스 이상 진루를 허용한 미스플레이. 공을 잡다 놓치는 것, 공을 떨어뜨리는 것, 악송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땅볼 타구가 야수의 다리 사이로 빠져나가거나 일반적인 야수의 수비능력이었다면 적절히 아웃으로 처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기록원이 판단한 경우 해당 야수에게는 실책이 기록된다.

이런 기준이 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송구, 포구, 태그에서 벌어진 미스플레이가 아니라 타구가 느리게 와서 주자를 살려주게 된 플레이는 실책으로 기록하지 않는다. 또한 낙구지점 판단 실패나 공이 라이트에 들어간 경우 등 일부 심리적 혼동이나 판단 착오로 인한 비정상 플레이는 실책으로 기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땅볼수비를 많이 하는 내야수 중에서도 3루수와 유격수는 다른 포지션에 비하면 실책을 많이 범하는 편이다.[1][2] 다른 포지션에서 20개 정도의 실책을 범하면 까이지만 3루수나 유격수는 그럴수도 있다면서 넘기는 수준. KBO 역대 시즌 최다실책 선수도 대부분 유격수, 3루수, 2루수 쪽으로 분포하고 있다. 최고의 유격수비로 이름을 날린 박진만도 최다실책에 네번이나 이름을 올렸다. 이종범도 유격수 시절 최다실책에 세번 이름을 올린바 있다.

투수 자신을 포함한 실책으로 인해 출루한 주자가 추후에 득점하더라도 투수의 자책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투 아웃 상황에서 실책이 나왔다면 그 이후에 투수가 내준 점수는 모두 비자책 처리가 된다. 실책이 나오지 않았더라면 이닝이 종료되었을 테니. 그래서 이 이후에 나온 실점은 방어율을 높이지 않는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투수가 교체된 이후, 바뀐 투수가 이미 누상에 있던 주자가 아닌 새로운 타자가 홈을 밟게 한다면 이는 반자책이 된다. 이는 해당 실점을 팀의 비자책점, 바뀐 투수의 자책점으로 처리하는 것인데, 이렇게 되는 이유는 바뀐 투수는 에러와 상관없이 실점을 한 것이므로 실점이 자책점인 것이고, 팀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그 실책이 없었더라면 없는 실점이 되므로 비자책 처리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팀 방어율은 높아지지 않지만, 바뀐 투수의 방어율은 높아지게 된다.

수비를 못하고 에러를 자주 범하는 야수에게는 "돌글러브"란 칭호가 수여된다. 대표적으로 박찬호텍사스 레인저스에서 뛰던 시절의 2루수 알폰소 소리아노. 뉴욕 양키즈에서 뛰던 시절에는 2루수 척 노블락이 갑작스런 블래스 신드롬으로 잦은 송구에러를 범하자 주전으로 기용이 되었는데 지켜보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노블락이 낫다는 소리가 나왔을 정도. 이런 야수들은 주로 지명타자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다.

중요한 것은 위에서 언급했듯 실책에 대한 일정한 기준은 규칙으로 정해져 있지만, 실책의 여부를 결정하는 사람은 어디까지나 기록원이며, 그 주관에 적지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야구규칙 또한 기록원을 비롯한 여러 전문가들의 견해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에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3]

양준혁의 흑역사 가운데 하나가 이 실책 판정과 관련된 것인데, 1995년 자신의 타구가 안타가 아닌 실책으로 기록된 데 대해 불만을 품고 경기 종료 후 기록원실 문을 걷어차 난입하여 50만원의 벌금을 문 적이 있다.

실책은 일반적으로 연속해서 실책을 범하더라도 1개의 실책만 주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기록원 판단에 의해서 한번에 여러 사람에게 각각 주어질 수도 있으며, 심지어 한 사람에게 2개 이상 주어질 수도 있다. 제임스 로니LA 다저스시절, 평범한 1루수앞 땅볼을 놓치고, 급하게 공을 잡아 1루로 던진 다는 것이 악송구가 된 적이 있다. 땅볼을 놓친 것으로 인해 1루 주자를 2루로 진루 허용했다고 보아 실책이 부여 되었고, 악송구로 인해 타자주자가 1루에서 세이프되었으므로 또다시 실책으로 부여되며, 2개의 실책이 기록되었다. 당시 투수는 박찬호. 관련내용 또한 플레이 하나에 3회의 실책을 범할 수도 있다. 토미 존항목 참조.

2.1 실책의 종류

  • 터널
야수가 두 다리 사이로 공을 놓치는 실책. 주로 알까기라 불린다.
  • 펌블
땅볼 타구를 한번에 잡지못하고 다시 떨어뜨리는 실책
  • 머프
플라이(직선) 타구 또는 송구를 받을때 충분히 잡을 수 있는 공을 잡지 못하는 포구 실책. 참고로 머프로 홈런이 나올 수도 있다. 외야 뜬공을 손으로 쳐내서 담장을 넘어가는 경우가 그것.
  • 저글
공을 포구한 후 빼내려고 손을 넣었는데 글러브 안에서 공을 제대로 못잡고 더듬는 실책 [4]
  • 악송구
포구자가 쉽게 포구하기 힘든 방향으로 던진 송구 실책. 정상적인 송구였으면 아웃시킬 수 있었거나 진루를 막을 수 있었던 주자가 악송구로 살거나 정상적인 상황보다 더 많이 진루하게 되었다고 기록원이 판단하였을 경우 송구를 한 야수에게 실책을 기록한다. 단 악송구의 결과 진루한 주자나 베이스가 여럿이라 하더라도 하나의 악송구에는 하나의 실책만 기록한다. 도루를 시도하다 견제에 걸린 주자를 악송구를 통해 진루를 허용할 경우 도루가 아닌 실책이 기록될 수 있다. 아예 빠지는 것이 아니라 그냥 태그하기 어렵게 송구만 해도 실책이 기록될 수 있다.
  • 태그 미스 & 베이스 터치 미스
땅볼을 잡거나 송구를 받아 타자나 주자를 충분히 포스아웃시키거나 태그할만한 시간적 여유가 있었음에도 제대로 베이스 터치나 태그를 하지 못하여 세이프가 되었을때 해당 야수에게 실책을 주어진다.
  • 타격방해
타자가 스윙했는데 배트가 포수의 미트에 맞은 경우 포수의 타격 방해 실책
  • 주루방해
타자가 공을 치고 베이스를 달려가는데 공이 없는 수비수가 타자의 진로를 가로막고 수비를 하는 행위 단, 수비수가 땅볼타구를 잡기위해 달려가다가 주자의 진행방향에 겹쳤을 경우엔 수비수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 파울 플라이 실책
파울지역에서의 플라이볼은 수비수가 펜스와의 충돌 위험이 많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의 플라이볼 실책에 비해 판정이 관대한 편이긴 하지만 펜스와 전혀 무관한 위치에서 야수가 파울 플라이 타구를 놓쳐 떨어뜨리면서 아웃될 타자를 살려준 경우 타구를 놓친 야수에게 실책을 기록한다
  • 기타 송구 실책
야수의 송구가 라이트에 들어갔거나 불규칙 바운드를 일으키거나 베이스, 투수판, 주자, 야수, 또는 심판원에게 공아 맞아서 방향이 바뀌어 포구를 못해서 주자가 살았다면 공을 던진 야수에게 실책이 주어진다.
  • 게으름에 의한 실책(미스플레이)
인플레이 상황에서 야수가 상황을 착각(예: 아웃카운트)하고 루를 비우거나, 송구를 하지않아 주자의 진루를 허용할 경우에도 실책이 기록된다.

[5]

2.2 실책으로 기록하지 않는 경우

  • 투수가 던진 공을 받은 포수가 도루를 저지하기 위해 던진 공이 악송구가 되어 주자의 도루를 허용했을 경우.[6]
  • 야수가 통상적인 수비를 거쳐 송구를 하더라도 주자가 살았을 것이라고 기록원이 판단할 경우, 야수가 악송구를 했더라도 실책은 기록되지 않는다.[7]
  • 야수가 병살타, 삼중살을 하려고 했으나 마지막 아웃카운트를 악송구로 잡지 못했을 경우.[8]
  • 야수가 타구를 놓쳤더라도 공을 다시 잡아 던져서 한 명이라도 주자를 아웃시켰을 경우.
  • 야수가 어려운 공을 잘 잡았으나 몸의 균형을 잃어 악송구를 할 경우, 송구가 좋았더라면 타자 또는 주자를 아웃 시켰을지도 모른다고 생각될 때라도 그 야수에게 실책을 기록하지 않는다[9] 하지만 악송구의 결과로 타자와 주자의 추가 진루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실책이 인정된다.
  • 무사 또는 1사에 주자가 3루에 있는 상황에서 파울 플라이를 잡으면 희생 플라이로 주자가 득점이 가능할 때, 야수가 고의로 파울 타구를 잡지 않을 경우
  • 포일
  • 폭투
  • 고의낙구

2.3 실책이 많이 나왔거나 결정적인 실책이 나온 경기

끝내기 실책으로 끝나거나 결승점이 실책으로 난 경기들

추가바람
  1. 예를 들어 2012년 MLB를 살펴보면 3루수 실책이 614개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유격수로 572개이다. 의외인 건 세 번째가 투수라는 것(412실책).
  2. 수비율은 3루수가 .952로 야수 중에서는 가장 낮고 유격수가 .973, 2루수는 .984. 투수의 수비율은 .951이었다.
  3. 평균자책점에 대한 가장 큰 맹점이 이것으로, 애매한 상황에서 실책과 안타를 결정하는 기준이 기록원 개개인의 주관에 영향을 받아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4. 다만 글러브 채로 던져서 송구해 오히려 호수비가 나오기도 한다. MLB에서도 나온다. (사실 이쪽은 저글이라고 하긴 애매하지만...)
  5. 페어지역에서 잡았음에도 이를 모른 채 관중석에 볼을 던져주는 경우도 해당됨 그리고 이건 사실상 본헤드 플레이다. 항목 참고
  6. 단, 이 악송구로 인해 주자가 당초 목표한 베이스를 초과해 진루하였거나, 원래 뛰지 않았던 다른 주자가 진루하게 되었다면 포수에게 실책이 기록된다.
  7. 이 때도 악송구의 결과 추가적인 진루가 나온다면 악송구를 저지른 야수에게 실책이 기록된다.
  8. 추가 진루가 나올 시 처리는 위와 동일, 반대로 송구가 완벽했으나 공을 잡지 못해 주자가 산 경우라면 해당 야수에게 포구미스로 실책을 기록하고, 송구한 야수에게는 보살을 정상적으로 준다.
  9. 여기서 어려운 공은 정상적 수비로 못잡는 경우를 의미하기 때문에 연속동작으로 악송구가 나오건 아니면 그냥 안타를 만들어주건 결과가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속동작이 아니라 포구가 완전히 끝난 이후 송구가 된 경우는 별개의 플레이로 고려해서 실책이 인정.
  10. 히 드랍 더 볼로 인해 8:7로 지던 뉴욕 양키스가 8:9로 극적 역전승.
  11. 스코어 1:1이던 11회초 1사 2루에서 우익수 정수빈오정복의 타구를 플라이로 잡았는데, 정수빈이 쓰리아웃이 된 것으로 착각해서 관중석을 향해 걸어가다가 2루주자 배영섭이 홈까지 들어와서 스코어 2:1이 되었고, 결국 삼성이 2:1로 승리했다.
  12. 스코어 3:3이던 9회말 1사 1, 2루에서 이승호의 투구를 장기영이 쳐서 병살타성 투수 땅볼이 되었는데, 유격수 양종민이 이승호에게 공을 받아 1루 주자를 2루에서 포스 아웃시킨 후 빠른 발로 1루에 거의 도착했던 타자 주자 장기영을 잡으려 공을 1루에 던지다 공이 빠지고 2루주자였던 정수성이 홈을 밟아서 스코어 3:4로 경기가 끝났다.
  13. 그날 있었던 LG vs 두산 경기에서도 결정적 실책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