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L-7229.gif

항공사고 요약도
발생일1993년 7월 26일
유형CFIT, 기상악화
발생 위치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마산리
탑승인원승객 : 110명
승무원 : 6명
사망자68명
생존자48명
기종Boeing 737-5L9
항공사아시아나 항공
기체 등록번호HL7229
출발지김포 국제공항
도착지목포 공항

1 사고 개요

1993년 7월 26일, 오후 2시 20분 김포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오후 3시 15분 전남 영암군 삼호읍의 목포공항에 도착 예정인 아시아나항공의 OZ733편 737-5L9 여객기(기체 등록번호 : HL7229)가 목포공항 착륙을 위해 접근 중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마산리 화원반도 야산에 추락한 사고다.

당시 뉴스 동영상 링크

2 사고 진행

사고 당시 목포공항에는 강한 가 내리고 있었고 오후 3시 24분 사고기는 첫 번째 착륙 시도를 실패한다.[1] 이어서 4분 후인 3시 28분, 2번째 착륙 시도를 했지만 역시 실패하고 다시 10분 후인 3시 38분, 3번째 착륙 시도 역시 실패로 끝난다.[2] [3]

4번째 착륙 시도를 하기 위해 접근하던 사고기는 3분 후인 3시 41분 목포 공항 관제 레이더에서 사라지면서 통신이 두절된다.

레이더에서 사라지고 9분이 지난 3시 50분, 사고기는 목포공항에서 10km 정도 떨어진 해남군 화원면 마산리 뒷산에 추락한 채 발견되었다.

3 사고 원인

악천후, 공항시설의 부족, 파일럿의 무리한 착륙 시도를 꼽을 수 있다.[4]

특히 목포 공항은 계기착륙 유도장치나 ILS 따윈 찾아볼 수 없는 소규모 공항이였고 활주로 역시 1,500m로 민항 여객기가 취항하기엔 아슬아슬한 길이였다. 이런 상황에서 악천후로 시야까지 제한되고 파일럿들은 계속된 접근 실패에 조바심으로 서둘러 착륙 시도를 했었다. 당시 착륙 허가를 받지 않고 착륙 절차를 수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거듭된 접근 실패로 조바심이 난 기장은 다소 낮은 고도로 접근을 시도했다. 그러나 결국 활주로 접근선상에 있는 산을 뒤늦게 발견한 후[5] 상승하려 했으나 사고기의 속도는 줄어들었고 실속(stall)을 일으키면서 산중턱에 추락하였다.

4 사고 결과

탑승객 110명, 승무원 6명 중 68명이 사망하였다.

당시 악천후로 인한 시야 제한으로 목포공항에서는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고, 사고기 추락 현장에서 생존한 승객 2명이 산 아래 마산리 마을까지 내려와 신고하면서 사고 사실이 알려져 구조 작업에 착수했다고 한다(...).

산중에 추락하는 바람에 구급차가 접근할 수 없어서 목포공항에 전개하고 있던 대한민국 해군알루엣 3 대잠헬기가 긴급 투입되어 부상자를 수송했는데, 문제는 알루엣 3은 경헬기라 기내에 들것을 놓을 자리가 없었고 구조 헬기가 아니라 들것도 없는 상황이어서 부상자들을 그냥 서있는 채로 와이어에 매달아 수송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척추를 다친 부상자들이 하반신 마비 등의 2차 부상까지 입는 일이 발생했다. 또 미니스커트 차림의 젊은 여성 부상자[6]를 와이어로 매달아 올리면서 하의가 노출된 장면을 기자들이 모자이크 없이 그대로 보도해 버리는 흑역사도 있었다. 지금 인터넷에서 포르노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어린 위키러라면 이해 못하겠지만 당시 방송에서 하의가 노출되었다는 것은 시대상에 비추어 보았을 때 매우 충격적인 장면이라 인구에 두고두고 회자 되었다.[7]
이부분은 미니스커트가 아닌 롱원피스였으며 브래지어와 팬티가 헬기의 바람때문에 완전 뒤집혀져 그대로 방송을 탔었다

아시아나항공의 최초 인명손실 항공사고이자, 첫번째 국내선 사고다.

이 사고로 무안 국제 공항이 건설되는 계기가 되었고 건설 이후 목포공항은 폐항된다. 하지만 무안 공항은...

OZ733편은 한동안 결번으로 남아 있었지만 아시아나항공에서 편명 체계를 싹 갈아엎고 현재는 인천하노이행 노선의 편명으로 운행 중이다.

당시 현장 근처에 있던 마천 마을의 주민들이 생존자 구조에 온 힘을 써서 언론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다만 주민들에겐 워낙 충격적인 경험이라서 이후 희생자들을 위로하는 씻김굿을 행했다고 한다.#
당시 마을 주민 한 명이 4살 아이를 구출하고 급하게 해남병원으로 이송하던 중 아이가 사망했는데, 이후 집으로 돌아와 자기 손에서 생명이 사라졌다며 끝도 없이 울었다고 한다. (2011.03.22 히스토리후 방송분)

5 이야기

가수 김경호의 1집 수록곡인 "누명 쓴 아이"는 이 사고로 조카와 이모를 잃은 김경호가 추모하기 위한 노래라 알려져 있다.

구포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93년 3월)에 이은 문민정부 대형 참사 2번째(93년 7월)로 불과 석달뒤에 서해 페리호 침몰사고(93년 10월)가 일어난다.

아빠의 수첩이라는 책에서, 아빠가 이 사고로 죽는다. 그런데 수첩으로 유언을 남겼다는 내용은 일본 항공 123편 추락 사고에서 따온 것이다.

6 관련 항목

6.1 유사사고[8]

6.2 그 외

  1. 착륙 접근 실패 자체는 요즘에도 흔한 일이다.
  2. 요즘은 세 번이나 착륙에 실패하면 착륙을 포기하고 회항한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은 이유는 그 당시는 기상 이변으로 회항하면 기장이 시말서를 써야 하는 규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사고를 계기로 그 규정은 없어졌다. 2007년 이후에는 3번이나 착륙에 실패하고도 회항하지 않으면 감항당국에서 보고서를 요구하도록 되어있다.
  3. 참고로, 항공사고 사상 최악의 인명피해를 냈었던 KLM이라는 네덜란드 항공사는 (시간 지체시) 기장에게 벌금(...)까지 물리는 정신나간 규정이 있었다고 한다. 비행기가 납치를 당해도! 테러범님 저 월급 줄어요 좀 빨리 가요 심지어 해고까지 당할 수 있었다. 뭐요? 납치당하고 구조됐더니 해고인가 이 역시 그 사고(1977년) 이후로 개선되었다고 하는데..
  4. 안전보다는 무리해서라도 목표를 달성하려는 군 출신 조종사들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기도 한다.
  5. 산의 높이는 약 980ft, 원래 이 산 상공에서 1600ft를 유지해야 했으나 블랙박스에 의하면 약 800ft(...)까지 내려간 상태였다.(충돌 직전 기장이 "오케이 800"이라고 말하는 부분이 있다)
  6. 이분도 들것 없이 매달리는 바람에 하반신 마비가 되었다.(...) 하지만 당사자는 이를 원망하지 않았는데 모두가 이 방법이 최선이라고 생각했고 자신도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당시 구출에 참여한 사람들도 방법이 잘못된 것을 몰랐던 자신들의 무지가 안타까웠다고 말했다.-히스토리후 2011.03.22 방송분
  7. 대연각 화재사건때에도 비슷하게 노출 보도가 이루어진 적이 있었다. 때만 이 때에는 TV가 귀했는지라...
  8. 대한민국 조종사들의 전형적인 착륙 고집이나 권위주의(고압적 상하관계)가 영향을 끼친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