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병아리

1 개요

병아리에서 막 벗어나, 털색이 변하고 부리가 굽어지기 시작한 머리의 벼슬이 조금 자란 상태의 병아리

2 개념의 변경

보통 생후 2개월에 들어간 영계를 약병아리로 불러왔지만 큰닭한마리를 잘라 넣는 것이 아니라, 작은 닭한마리를 통으로 넣는 삼계탕이 보급되며 1개월이 약간 지나 뚝배기에 들어가는 것을 약병아리로 부르게 되었다.
쉽게 말해, 한달 조금 지난 수평아리 = 약병아리라고 보면 된다.

3 왜 삼계탕에 특화 되었나

삶아도 살이 잘 흐트러지지 않고, 그릇에 쏙 들어가기 때문에 한그릇을 통으로 먹었다는 만족감을 안겨주기 때문에 선호한다고 알려져있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한마리를 다 먹는 것에 만족감을 느낀다면 반마리만 투입하는 반계탕이란 반마리 넣는 삼계탕이 나올 이유가 없다.

3.1 황금만능시대의 숙명

그리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약병아리는 웅추라고 부르는 수평아리들로 구성된다. 수평아리는 암닭과 달리 키워봐야 식육외엔 용도가 없다. 시계된단 사람들은 산업혁명이전으로 돌아가라

암닭은 두세달만 키우면 달걀을 채집할수 있지만 수닭은 그렇지가 않고 사료는 암닭보다 적게 먹지만 을 상대적으로 많이 소비하고 성질머리가 사나워 성계로 키우는 것도 쉽지 않다. 결국 어릴때 잡아먹기라는 선택을 할수 밖에 없고, 시장에 내놓아도 아슬아슬하게 욕먹지 않을 타협점이 약병아리인 것이다.

3.2 맛과 평가

약병아리의 경우 우려낸 국물은 노계에 못미치지만 수평아리 특유의 단단한 살과 조금 덜자라 지방이 적은 육질로 전체적인 선호도는 높은 편이다. 유명한 삼계탕집은 국물은 노계에서 우리고, 살은 약병아리에서 빼낸다는 말을 할정도.

애초에 삼계탕의 경우 제대로 만들면 갖은 약재와 6년근 인삼을 넣고 오랜시간 고아야 하는데 전문점이라 해도 이렇게 제대로 만드는 경우는 드물고 , 삼과 약재를 넣고 오래 우리게 되면 국물의 색이 약병아리건 노계건 상관없이 탁해진다.

개중엔 비둘기요리의 대처품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다만 이경우 맛의 대처품이라기 보단 비슷한 크기라서 대처품이 되었을 뿐이지 맛이 비슷하진 않다. 비둘기와 비슷한 맛은 메추리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