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아이 간 빼먹기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고! 이 문서는 충격을 유발하는 내용 혹은 표현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사용자에 따라 불쾌감, 혐오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는 내용, 이미지, 외부 링크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열람에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문서를 열람하여 발생한 피해는 바다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읽고 싶지 않으시면 즉시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전세계적으로 실제로 벌어졌고 지금도 벌어지는 사건들.

1 개요

한센병(문둥병) 환자들이 문둥병에 특효약이라는 어린아이 을 먹기 위해 보리밭이나 수풀, 골목 등에 숨어있다가 혼자 다니는 어린애들을 납치하고 다닌다는 괴소문이다. 80~90년대에 크게 유행했던 이야기이자 실제 사건이다.

2 연혁

2.1 조선

근데 사실 이 도시전설은 조선시대부터 존재했다. 전설 수준이 아니라 실제로 사례가 있었으며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어 실록에 실릴 정도였다. 실록 상의 기록을 보면 그 정도가 매우 심하다. 다만 시작이 한센병(나병, 천포창)이 아닌 성병으로서, 아래 기록된 음창은 악성 매독이다. 근데 왜 하필이면 거기다가 한센병 환자들을 팔아먹었는지는 의문이다. 아무래도 한센 환자들이 흉하게 생겼다는 이유인 듯 하다.

다음은 당시 실록의 기록이다.

이때에 경중에는 사람을 죽여 그 쓸개를 취하는 자가 자못 많았는데 혹 잡혀서 죄를 받은 자도 있었다. 이때 사서(士庶)들이 주색(酒色)을 좋아하다가 음창(淫瘡)에 걸린 자가 많았다. 한 의관이 이르기를 '사람의 쓸개를 가져 치료하면 그 병이 즉시 낫는다' 하므로 많은 재물로 사람을 사서 사람을 죽이고 그 쓸개를 취하곤 하였다.[1] 이보다 앞서 경중의 동활인서(東活人署)·보제원(普濟院)·홍제원(弘濟院) 및 종루(鐘樓) 등처에 걸인들이 많이 모여 떨어진 옷을 입고 바가지를 들고 가두에 걸식하는 자가 누누이 있었는데 4∼5년 이래 노중(路中)에 한 명의 걸인도 없었다. 이는 대개 쓸개를 취하는 자에게 죄다 살해되어서이니 걸인들을 살해하기는 매우 쉬웠기 때문이다. 그들이 다 없어지자 다시 평민에게 손을 뻗쳤기 때문에 여염 사이에 아이를 잃은 자가 자못 많았다.

- 명종 32권, 21년(1566 병인 / 명 가정(嘉靖) 45년) 2월 29일(신묘) 1번째기사.

"배를 갈라 사람을 죽인 자를 체포하는 일을 해조로 하여금 공사로 만들게 하라" 하였는데 이는 경연관의 아룀에 의한 것이다. 이때 경외의 사람들이 인육(人肉)과 사람의 간담(肝膽)을 창질(瘡疾)을 치료하는 약으로 쓰기 때문에 흉악한 무리들이 소아(小兒)를 사람이 없는 곳으로 유괴함은 물론이고 비록 장성한 남녀라도 혼자 길을 가는 경우에는 겁략하여 모두 배를 가르고 쓸개를 꺼내었는데 이는 그 쓸개를 팔면 많은 값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나무에 묶여 배를 갈리운 자가 산골짝에 잇달아 있으므로 나무꾼들이 나무를 하러 갈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법을 만들어 현상금을 걸고 체포하게 한 것이다.

- 선조 10권, 9년(1576 병자 / 명 만력(萬曆) 4년) 6월 26일(정해) 1번째기사

걸인들이 몰살되고 산에 나무를 하러 갈 수 없었다는 수준을 보면 그 정도가 짐작이 가지 않는다.

원래 한센병 환자들은 역사적으로 꾸준히 경멸과 혐오의 대상이 되어왔으니 이런 소문이 그때부터 존재했다고 해도 별로 이상할 건 없다.

그리고 정작 이 때문에 한센병 환자들은 아무 짓도 안 하는데 한센병 환자의 가족들이 이 이야기를 믿고 진짜로 어린아이를 납치, 살해한 사례도 있다. 실로 도시전설이 사람 잡았다고 볼 수 있겠다.

2.2 현대

경고. 이것은 대한민국에서 불법입니다.

본 문서가 다루고 있는 내용은 본인이나 타인의 신체적·정신적·재산적 피해를 야기하며 대한민국에서 범죄의 구성요건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정당한 사유없이 행할 시 민·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외에서도 불법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며, 이와 같은 행위로 인해 외국에서 현지의 유사한 법령으로 처벌 받거나, 설령 외국에서 합법이라도 대한민국에 귀국 후 속인주의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문서에 고의적으로 모방범죄를 부추기는 서술은 금하며 그럴경우 법률상의 형벌조항에 따라 범죄 교사범 또는 방조범 또는 예비,음모죄로 처벌받을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술에 대해 법적인 모든 책임은 편집자에게 있으며 나무위키가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이 틀은 대한민국의 헌법, 법률, 대통령령, 조례 등의 문서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틀:법률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더불어 위에 나온 대로 단순 괴담이라 할 게 아니다. 실제로 1980년대 한국 시골에서 벌어진 실화이기도 하다. 자세한 병명이나 지역, 연도를 적지 않았지만, 30년 넘게 경찰 국과수에 몸 담은 최상규가 쓴 '범죄의 추억'이라는 책자에서도 실제로 벌어진 사건에 대하여 쓴 바 있다. 10대 초반 여자아이가 행방불명되었다가 시체로 발견되었는데, 시체는 간 및 여러 부위가 도려져 없어진 채였기에 사람들은 소문으로 나돌던 그런 사건이라 하여 말이 많았다는 것이다. 결국 마을에 살던 30대 불치병 환자가 그런 소문을 믿고 벌인 사건임이 드러났다고.

더불어 해외에서도 한센병이 아닌 다른 질병, 불치병 특효약이라고 어린아이를 잡아먹은 실화가 있다. 태국에서도 1950년대에 이런 사건이 실제로 벌어졌는데, 당시 태국 군경은 애꿎은 소수 원주민들이 저지른 짓[2]이라고 여겨 마을로 가서 들쑤셨다가 결국 한참 뒤에야 신고로 잡을 수 있었다. 범인은 정신병원에 갇혔다가 죽었는데 시체를 박제하여 지금도 태국 방콕에 있는 시리랏(Siriraj)종합병원 부속 의학&법의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3]

소설 동의보감에도 작중 인물인 김민세가 한센병 환자에게 아들 길상이를 잃는 내용이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허준(드라마)에서는, 이 장면을 실감나게 묘사하였다. 처음 보면 상당히 무섭지만, 다시 보면 슬픈 이야기라는 느낌도 든다.

간을 빼먹는다는 얘기는 구미호의 이야기와도 통하는 부분이 많이 있다.

북한에서는 한센병은 아니지만 박명식이라는 자가 간경화를 치료하기 위해 점쟁이가 어린이의 간을 먹으면 된다고 하자 무려 10여명이상의 어린이를 신포일대에서 납치하여 장기를척출한 사건이 있다.

어린아이의 간을 빼먹은건 아니지만 유영철의 경우 간을 믹서에 갈아마셨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3 효과?

하지만 치료는 커녕 몸을 망치는 지름길이었을 것이다. 물론 영양분을 축적해서 다른 곳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간은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몇몇 동물의 간은 비타민 A가 과다축적되어 있어서 많이 먹으면 비타민 A과다로 죽는다!! 비타민, 북극곰 참고.

서정주 시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문둥이>가 여기에서 모티브를 따왔으며 이우혁이 쓴 단편 중 하나에서도 등장하는 이야기다. 읽어보면 슬퍼진다[4]
  1. 소설 임꺽정(林巪正)에서는 음창(성병) 걸린 부유층 자제들이 서민의 아이들을 잡아다 죽여 장기를 취해 약으로 쓰고 버린다는 내용이 나와있다. 간이 아니라 쓸개로 정확하게 기술하였다.
  2. 동남아 많은 나라들이 소수 부족을 차별해왔기에 한센병 환자와 같은 편견이 많았다.
  3. 여긴 기이하고 다양한 인체표본이 대량 전시되어 있어서인지 관광지로 매우 유명하다. 이 범인 이름은 Si Quey라는 남자인데 이 박물관에 시체표본이 되어 국제적으로 유명한 전시물이 되었다. 인기인답게 이름으로 검색하면 다수의 이미지를 볼 수 있으나 방부처리로 검게 변한 시체표본 자체가 으시시한 데다가 낡은 박물관에 관리도 엉성하게 되어 있어 더욱 섬뜩하다. 여러 모로 꽤 공포스러우니 검색 전 주의를 요한다.
  4. 미래가 촉망되던 엘리트 의사에게 한센병이 발병하여 처음엔 내 병은 내가 알아서 고칠 수 있다며 자신만만하게 치료법을 연구하기 시작했으나 결국 아이에게 손을 대고 만 의사의 아내 시점에서 쓰여진 단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