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역사

1 개요

YONSEI, Leading the Way to the Future

존중하고 존경받는 대학

1885년 미국인 선교사 알렌이 설립한 광혜원(세브란스병원의 전신)과 역시 미국인 선교사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의 1885년 광혜원에서의 물리, 영어 교육, 1886년 구세학당에 이어 1915년 구세학당의 후신인 경신학교 대학부을 시초로 그가 설립한 조선기독교학교가 이 학교의 시초이며 1917년 조선기독교학교는 연희전문학교로 이름을 고쳤다. 해방 후 연희전문학교는 대학 인가를 받아 연희대학교로 개교했으며,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가 합쳐지면서, 두 학교의 머리글자를 따서 연세대학교가 되었다.[1]

2 광혜원 ~ 세브란스 의과대학

2.1 갑신정변과 광혜원(제중원)

세브란스 의과대학의 효시는 1884년 조선 말기 갑신정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등의 급진 개화파가 일으킨 갑신정변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명성황후의 조카이자 최측근 민영익은 정변 중 개화파 자객에게 피습당해 13번이나 칼에 찔려 중태에 빠졌다. 고종 황제는 독일 외교관 묄렌도르프의 추천으로 조선에서 의사, 선교사로 활동하던 알렌에게 치료를 맡겼다. 알렌은 민영익의 상처를 서양 의술로 치료하고 민영익을 소생시켰다. 이에 감복한 고종은 알렌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비단 옷과 부채, 도자기 등을 선물하였는데, 이 때 알렌은 고종에게 병원 설립을 제의했다. 그래서 1885년 4월 10일 최초의 서양식 병원 '광혜원'이 설립되었다. 고종은 설립 12일 뒤 이 병원에 '제중원'이라는 이름을 내렸다. 제중원은 '중생을 구제하는 집'이라는 뜻이다. 알렌에 이어 헤론, 엘러스, 빈튼 등의 의료 선교사들이 제중원에서 의료 활동을 폈다.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윌리엄 스크랜튼[2]도 제중원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진료 활동을 통해 서양 의학의 우수성이 널리 퍼졌다. 제중원은 조선 정부가 건물, 운영비, 병원 업무를 보조하는 주사 등의 하드웨어를, 미국 북장로회가 의사, 간호사, 일부 운영비 등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일종의 합작 병원의 형태로 운영됐다. 그리고 1886년 3월 29일에는 16명의 학생으로 '제중원의학교'가 문을 열어 한국 최초의 서양의학 교육이 시작됐다.

2.2 세브란스

그 후 제중원은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였던 에비슨 박사가 인계 받아 1899년 미국 클리블랜드시의 세브란스씨로부터 기증받았던 기금으로 1904년 병원을 신축하고 의학 교육기관을 확정하였다. 1909년에는 세브란스의학교로 교명을 개칭하였다.

2.3 교명 변화

  • 1886년 : 제중원의학교
  • 1909년 : 사립 세브란스의학교
  • 1913년 : 사립 세브란스연합의학교
  • 1917년 :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1942년 : 아사히의학전문학교(일제의 강요로 변경하였다.)
  • 1947년 : 세브란스 의과대학
  • 1957년 : 연세대학교로 통합

3 조선기독교학교 ~ 연희대학교

3.1 개요

1885년 조선에 입국한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조선의 교육 발전의 일환으로 미션스쿨인 '조선기독교대학'을 설립하였다.(언더우드에 관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 당시 학과는 문과, 수물과, 상과, 농과, 신과 5가지였다. 안타깝게도 1916년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사망했지만, 1917년 그의 형제인 존 언더우드의 기부금으로 현재 신촌의 교지를 구입하였고, '연희전문학교'로 이름을 바꿨다. 설립 당시부터 종합대학을 계획했지만 경성제국대학을 제외하고 일체의 대학 설립 허가를 해주지 않았던 일제의 방침 때문에 대학교로 인가받지 못하고 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훗날 국학이라는 이름으로 계승되는 민족의식 교육의 산실이던 문과와 당대 사회과학 트렌드에 따라 유물론적 방법론을 도입하던 상과 교수진 등이 학풍을 주도하던 연희전문학교는 일제의 가혹한 사상적인 탄압 대상이 되었다. 특히 1938년 4월부터는 일본어, 일본사교육을 강요당하기도 했다. 1944년 4월에는 본 대학교를 적산이라는 명목으로 몰수하고 총독부의 관리하에서 한국인 간부와 교수진을 추방하였으며, 교명을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라'고 고쳐서 1945년 8.15 광복까지 이르렀다. 해방과 함께 미군정이 실시되자 접수위원(백낙준, 유억겸, 이춘호, 김윤경, 이묘묵, 조의설, 김성권)은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의 재산과 운영권을 미군정청으로부터 인수받아, 교명을 연희전문학교로 회복하였으며 유억겸 씨가 교장으로 있다가 1945년 12월 18일 백낙준 박사가 후임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1946년 8월 15일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어 '연희대학교'라는 이름으로 인가되었다.

1946년 연희대학교는 해방 후 최초로 남녀공학제를 실시하는 기록을 갖게 된다. #

3.2 교명 변화

  • 1915년 : 조선기독교학교
  • 1917년 : 사립 연희전문학교
  • 1923년 : 연희전문학교(일제의 신교육령에 의해 개칭)
  • 1944년 :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일제에게 몰수 후 총독부에서 관리)
  • 1945년 : 연희전문학교
  • 1946년 : 연희대학교
  • 1957년 : 연세대학교로 통합

4 연세대학교로의 통합

학교 초기의 역사와 관련된 선교사들의 다수가 두 학교의 설립에 모두 관여했고 두 학교에서 동시에 강의하는 경우가 많았다. 양 학교는 일제하의 암울한 시기에 전 조선인의 기대를 받으며 성장, 발전하였으며, 사실상의 운영이 차츰 한국인의 손으로 이관되었다.

1926년 연희전문학교 및 세브란스 의전 교수와 이사간에 양교 합동안 제안이 있었으나 당시 일제의 지나친 간섭하에 성취되지 못했다. 일제강점기가 끝날 때까지 양교의 합동 논의는 더이상 진전을 보지 못했다.

8.15 광복 이후 양교의 통합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1949년에는 두 학교의 통합을 전제로 세브란스 의과대학의 예과를 연희대학교에 두었다. 그러나 통합 추진은 6.25 전쟁으로 다시 좌절되고 말았다. 휴전 이후 연희대학과 세브란스 의과대학 통합 위원회가 한국 전쟁 이후 처음으로 개최되어 합동안을 제정했다. 이 과정에서 이화여대의 합류 가능성에 대해서도 타진하기도 했지만 불발되었다. 두 학교는 통합에 뜻을 같이 했지만 통합된 학교의 교명에 대한 이견 때문에 오랫동안 통합이 지연되었다. 연희대학교 측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연희대학교 의과대학으로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세브란스 의과대학 측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결국 연희와 세브란스이 앞글자를 따 붙여서 연세대학교라는 새로운 교명을 만드는 것에[3] 양측이 합의하여 1957년 5월 11일 초대 총장을 백낙준으로 하는 연세대학교로 통합이 이루어졌다. 이후 5월 둘째주 토요일(...)을 창립기념일로 정하여 기념하게 되었다.개교기념일 휴강을 없애버리신 어르신들

5 4.19 혁명6월 항쟁

연세대학교의 구성원 들은 정치 및 사회의 모순 및 불합리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며 사회참여를 해왔고, 4.19 당시의 최정규 군(의예·59)을 비롯, 6월 항쟁 당시의 이한열 군(경영·86), 1996년 노수석 군(법학·95) 등의 안타까운 희생자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1. 당시 세브란스의 통합 반대가 매우 강했기 때문에 이를 무마하려고인지 부총장급 직위인 세브란스 의료원장 등은 지금도 의대 교수들이 선거로 직접 뽑는데, 이를 2014년 연세대 이사회와 정갑영 총장이 손보려고 하기도 했다. 어쨌든 이런 역사성 때문에 연세대 의대는 타 연세대 학과들과 따로 노는 경향이 있다. 건물도 캠퍼스가 아니라 의료원 내에 있다.
  2. 1886년 이화학당을 설립한 메리 스크랜튼 부인의 아들. 어머니와 함께 선교를 하러 한국에 왔다.
  3. 단순히 이름만 붙인게 아니라 세상을(世) 이끄는(延) 인재를 기르는 대학이 되겠다는 의미까지 끼워맞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