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중가요 노래패들을 찾아오셨다면 우리나라(노래패) 참조.
목차
1 일반적인 의미
우리-나라「명사」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스스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1.1 개요
오해해선 안 되는 것이 이 낱말은 보편적인 세계인에 대해서 조국이나 모국을 뜻하는 말이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고유 명사의 성격을 가진 낱말이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한반도이며 오직 한민족이 한반도를 스스로 가리킬 때만 쓸 수 있는 낱말이 된다. 이건 같은 사전에 있는 조국과도 말의 정의가 다르다. 그래서 '우리 (띄고) 나라'는 외국인도 쓸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외국인, 한민족이 아닌 한국인은 쓸 수 없다.
하지만 원칙적으로나 그렇다는 거지, 이렇게 되면 회화나 통역에 문제가 생기고[1] 자칫 폐쇄적인 인상을 심어줄 수 있기에 외국인의 사용에 딴지거는 일은 없고 그냥 모국을 뜻하는 토박이말로서 쓰이고 있다.[2] 이하 서술할 내용도 이런 의미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1.2 우리나라와 내 나라
'우리들의 나라'라는 개념은 주로 전체주의적인 의식이 강한 나라들에서만 사용하는 유형의 말이라고 하는데, 모두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무비판, 무검증 상태에서 주장할 경우 자칫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수 있다. 가까운 예로 전체주의의 극을 달리는 북한에선 오하려 "내 나라", "내 조국"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자국 문명에 대한 우월감과 전체주의적 성격이 강한 중국의 경우, "워꾸어(我国)"라 하는데 여기서 "워"는 중국어에서 "나"라는 뜻이다. 개인주의적 사고가 강한[3] 영국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내 나라(My Nation)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굳이 우리 나라(Our Nation)라고 하는 경우는 선거철 '상대와 나의 국가적인 차원의 공감대'를 이끌어 내기 위한 특수한 용법이다. (자국 내에서 자기 나라를 가리킬 때는 this country라 하기도 한다)
이런 용법이 한국어에만 있는 건 아니다. 일본에서도 와가쿠니(我が国)라는 표현이 있고[4], 영국에서도 은근히 아우어 컨츄리(our country)란 표현이 많이 들린다(예를 들면 BBC 라디오 방송 대담 프로그램에서라든지…). 또 각국 국가의 가사에서도 볼 수 있다(예: Namibia, our country…) 또 서구 문화권이면서도 공동체주의가 많이 남아있는 그리스나, 같은 발칸 문화권의 터키 등의 나라들에서는 우리나라라는 호칭이 정말 흔하게 쓰인다. 그리스어로는 "η χώρα μας"라고 하고 터키어로는 "ülkemiz"라고 하는데, 방송에서조차 자국을 언급할 때 우리나라라고 언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러시아에서도 '우리 나라'라는 의미의 나샤 스트라나(наша страна)를 굉장히 많이 쓴다. 여느 나라와 마찬가지로 러시아 연방 국가에서도 나타나며, 일상적으로도 꽤 쓰인다. 물론 моя страна도 쓰이기는 한다.[5]
참고로 방송에 나온 어느 외국인은 한국 여자들이 사용하는 "우리 남편"이라는 표현이 매우 특이하다고 말한 바 있다. 자칫 "일부다처제"인 것처럼 들린다는 것. 과연 "우리 남편"이라는 표현을 쓰는 아줌마들가운데 진짜로 자기 남편이 "우리 모두의, 전체의 남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일까? 이러한 비근한 예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가 반드시 전체주의적 속성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보는 것은 옳지 않다. 일부 그런 속성이 있을 수도 있으나, 그냥 특별한 뜻 없이 사용하는 관용어로 볼 수도 있다.
전세계적으로 본다면 '우리나라'가 '조국'의 일반대명사인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고 한다. 사실 한국의 '우리나라' 역시 20세기에 들어서야 저항적 민족주의의 일환으로 널리 쓰여진 용어로 보인다. 다만 용례 자체는 훈민정음 언해본 서문의 '중국은 황제 계신 나라이니 우리나라의 상담(속된 말)으로 강남이라 한다'고 서술된 부분이 그 시초.
1.3 위키에서의 '우리나라'
'우리'라는 개념은 위키백과[6]에서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객관성의 문제가 아니라 위키백과가 민족과 국가가 아닌 언어로 구분되어있다는 특성 때문이기 때문에 공정성과 형평성에 문제가 생기는게 이유이다. (오해하기 쉽지만 한국어 위키백과는 남한(대한민국) 전용이 아니다.)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우리나라"는 조국으로 넘겨주기가 된다.
리그베다 위키는
1. 구독자의 절대 다수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대한민국 국민이며
2. 서버가 대한민국에 위치하여 대한민국의 법률을 최우선 적용받는 사이트이므로
이 표현은 금지 대상으로 두지 않는다고 결정했었다. 즉 관습적으로나 법적으로나 대한민국의 사이트가 맞으며 리그베다 위키에서 '우리나라'라고 하면 명시적으로 대한민국을 의미한다.
나무위키는
1.구독자의 절대 다수는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대한민국 국민으로 의제될 수 있으나
2.나무위키의 본사는 2016년 8월 현재 파라과이 아순시온에 있으며,
3.나무위키는 본사가 속한 파라과이 법을 따른다고 주장하고 있으니
- 리그베다 위키 시절의 합의는 존속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나 '국산' 등의 표현은 금지되지는 않으나, 권장되지도 않는다.
1.4 한국인의 우리와 나의 개념
위와 같이 한국 현대 표준어에서는 '내 나라'보다 '우리나라'를 권장한다. 그 이유는, 한국어의 많은 용례에서 일인칭 소유격(나의)를 일인칭 복수형 소유격(우리)으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예로 '우리 마누라'가 있다. 한국이 일처다부제 국가가 아님에도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한마디로 소속감의 차이. 그래서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외국인 및 이민자들이 고독감을 느끼게 하는 말이라고 한다.
이러한 문화적인 이유로 한국인인 화자가 대한민국을 '우리나라'가 아닌 '한국', '대한민국'으로 표현한다면 외국인이냐며 핀잔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크게 잘못된 생각인 게, 대한민국의 공식 명칭에는 분명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대한민국과 한국도 포함돼 있다. 명칭을 바르게만 부른다면, 어떻게 부를지는 자기 마음인 것이다. 대한민국은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나라이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이면 우리나라를 우리나라라고 불러야지!"라는 생각은 전체주의적인 사상이며, 해석에 따라 비뚤어진 애국심의 사례로도 볼 수 있다.
1.5 저희 나라
저희 나라라는 말은 틀린 것이다.라는 주장이 있다. 왜냐하면 '저희'는 첫째로 '자신을 낮추는 말'이고 둘째로 '듣는 사람이 그 안에 포함되지 않는 말'이기 때문이다라는 것이다. 원래 한국어의 높임법에서 '저희' 등의 대명사를 쓰는 것은 자신을 낮춤으로써 '상대방을 존중하는 뜻을 보이기 위함'이므로, 상대방을 포함하는 의미의 '우리'를 이야기할 때 그것에 대해서 '저희'라는 대명사를 써 버리면 자신을 낮추면서 상대방 역시 같이 끌고 내려가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인이 외국인에게 '저희 나라'라고 하면 대한민국을 낮추는 것이 되고[7], 한국인이 같은 한국인에게 '저희 나라'라고 하면 상대방은 한국인이 아니라는 뜻이 된다. 후자의 경우 거래처 상대방에게는 '저희 회사'라고 해도[8] 같은 회사 사람에게는 '우리 회사'라고 하는 걸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옛날에야 종주국이니 속국이니 황제국이니 제후국이니 하는 식으로 구분했지만, 지금은 어쨌든 명목상이라도 모든 나라는 동등하고 높낮이가 없기 때문에 "저희 나라"라는 표현이 어색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존댓말이 존재하는 한국에서 '우리'를 겸손하게 표현하는 형태로서 '저희'라는 말이 존재하기 때문에 습관상 간혹 저희 나라란 말을 쓰는 사람들이 있으나 우리나라란 말의 사용빈도에 비해 상당히는 아니며, 소수 나올 때가 있다. 일단 저희 나라 라는 말은 무조건 틀린 것이라 생각하고 주의해서 쓰도록 하자.
1.6 '우리나라'와 '우리 나라'
띄어 쓰지 않는 게 올바른 표기이다. 단, 실제 "우리나라"의 뜻으로 쓰는 경우에 한해서이다.
원래대로라면 '우리 나라'라는 표현은 '우리의 나라'에서 관형격 조사 '의'가 생략된 형태이며, '우리'와 '나라'가 서로 다른 단어이므로 '단어 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에 근거하여 띄어 써야 한다. 즉 '우리 나라'도 문법상 하자가 없는 표현이다.
하지만 '우리 나라'에서 의미가 한 단계 더 발전하여 특히 한민족의 모국을 뜻하게 되고, '의미가 합쳐진 말은 붙여 쓴다'라는 조항에 근거해서 이 의미로 쓴 '우리 나라'는 '우리'와 '나라'가 합성된 새로운 단어로 취급되어 붙여 쓴다. 현재 붙여 쓴 '우리나라'의 사전상 정의는 "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스스로 이르는 말"로, '우리나라 = 한국'이 성립한다.
따라서 한국인이 한국을 가리킬 때는 '우리나라'를 쓰고, 외국인이 자기 출신 국가를 가리키는 것을 표현할 때는 '우리 나라'를 써야 한다.
한국 사람 A : 우리나라(한국) 음식은 입에 맞니?베트남 사람 B : 생각보다 맛있네. 깔끔하고.
한국 사람 A : 그런데 너희 나라에서 가장 대중적인 음식은 뭐니?
베트남 사람 B : 우리 나라(베트남)에선 쌀국수가 가장 대중적이야.
이와 관련된 예문. 자신의 나라를 가리키는 표현을 한국 사람의 대사에서는 '우리나라', 베트남 사람의 대사에서는 '우리 나라'로 표현하였다.
한편, 북한의 표준어인 문화어에서는 두 경우 모두 구분 없이 우리 나라라고 띄어쓰기를 한다. 전반적으로 문화어가 띄어쓰기를 적게 하는 경향이 있다는걸 생각하면 이례적인 사례.
1.7 여담
"한민족"(한(韓)민족, 한(1)민족의 중의적 표현으로), "신토불이"와 함께 한국인 특유의 매우 강조된 민족성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단어인데도 정부나 아나운서나 너도나도 너무 자연스럽게 쓰다 보니 이 단어가 민족성이 매우 많이 강조된 단어라는 것을 체감하지 못하는 단어이다. 사실상 단어, "한국, 남한"을 대체하는 단어로 사용될 정도가 되었다. 오히려 반대로 한국인이 다른 한국인에게 한국인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 "우리나라 사람이..." 대신 "한국 사람이..."라는 식의 서술이나 발언을 하면 어색하게 여겨지는 단계까지 왔다. 정식 국호인 "대한민국", "한국"을 쓰는 것이 아무 문제가 없는데도 말이다.
우리은행에서 우리나라 우리은행이라 홍보질한다.
2 핀란드의 국가
핀란드의 국가. 1848년 스웨덴계 핀란드인인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Johan Ludvig Runeberg)가 작사하고, 독일인인 프레드릭 파시우스(Fredrik Pacius)가 작곡하였다. 원래 가사는 스웨덴어로 쓰여져 있었으며 11절까지 있었으나 실제로는 첫번째와 마지막 절만 부른다.
에스토니아의 국가 'Mu isamaa, mu õnn ja rõõm'과 선율이 같다. 다만 가사는 핀란드 국가가 먼저 쓰였다.
핀란드어 버전.
스웨덴어 버전.
3 룩셈부르크의 국가
룩셈부르크어: Ons Hémécht- ↑ 단, 번역에는 띄어쓰기 하나만 넣으면 되니 별 문제가 없다.
- ↑ 한 가지 예로, 남한 사람과 북한 사람이 지칭하는 우리나라(내나라)는 같은 뜻이면서도 다른 뜻이다.
- ↑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의 유교문화에 비해 기독교문명의 구미권이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것은 사실이나 완벽하게 전체를 일반화시키기는 어려우며, 이러한 것도 사실 다양한 검증이 필요하다.
- ↑ 다만 일상에서도 사용되는 한국의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에서 와가쿠니는 정치적, 애국적인 어감이 강하다. 일상적으론 그냥 "니혼/닛뽄(日本)"이라 한다. 좀 더 민족성을 강조하면 와레라닛폰(我ら日本, 우리 일본) 정도.
- ↑ 사실 러시아는 한국 만큼 '우리'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데, '너와 나'를 쓸 때는 я и ты라고는 거의 안 쓰고 99% мы с тобой, 즉 '너와 우리'라는 표현을 쓴다. 다시 말해 '너'라는 존재를 '우리' 안에 끼워넣는 것.
- ↑ 위키위키 전체가 아니다.
- ↑ 이것은 나라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데에서 생긴 '착각'일 수도 있다. '저희 학교', '저희 집', '저희 할아버지', '저희 회사' 등등등에 대해서 수식어를 낮추는 표현을 피수식어를 낮추는 표현으로 착각하는 것. 거꾸로 상대를 낮출 때 쓰는 '너희 학교', '너희 집', '너희 할아버지', '너희 회사' 역시 학교, 집, 회사, 할어버지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말 듣는 사람을 낮추는 것이다.
- ↑ 이 경우 자신의 회사를 낮춤으로써 상대방을 높이는 뜻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