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종

몽골 제국의 역대 대칸
11대 라기바흐 칸12대 자야야투 투그 칸13대 쿠살라 후트그투 칸
13대 쿠살라 후트그투 칸12대 자야야투 투그 칸(복위)14대 린칠반 칸
원의 역대 황제
7대 천순제 라기바흐8대 문종 투그 테무르9대 명종 쿠살라
9대 명종 쿠살라8대 문종 투그 테무르(복위)10대 영종 린칠반
묘호문종(文宗)
시호성명원효황제(聖明元孝皇帝)
칸호[1]투그테무르 자야아투 칸(ᠲᠥᠪᠲᠡᠮᠦᠷ ᠵᠠᠶᠠᠭᠠᠲᠤ ᠬᠠᠭᠠᠨ)
(圖帖睦爾 札牙篤汗 / 도첩목이 찰아돈한)
보르지긴(ᠪᠣᠷᠵᠢᠭᠢᠨ)
(孛兒只斤 / 패아지근)
투그테무르(ᠲᠥᠪᠲᠡᠮᠦᠷ)
(圖帖睦爾 / 도첩목이)
연호천력(天曆) : 1328년 ~ 1330년
지순(至順) : 1330년 ~ 1332년
생몰기간1304년 2월 16일 ~ 1332년 9월 2일
재위기간1328년 10월 16일 ~ 1329년 4월 3일
1329년 9월 8일 ~ 1332년 9월 2일


몽골 제국의 제12대 카간이자 원나라의 제8대 황제. 시호는 성명원효황제(聖明元孝皇帝).

1304년 ~ 1332년
재위 1328년 ~ 1329년, 1329년 ~ 1332년.

무종 카이샨의 차남으로, 휘는 투그 테무르(圖 帖睦爾, 도 첩목이). 천순제를 폐위시키고 즉위했다. 그러나 얼마 후에 이복형 쿠살라가 대군을 이끌고 수도 카라코룸으로 왔고, 투그 테무르는 항복하고서 형에게 양위했다. 그러나 명종 쿠살라가 얼마 후 돌연사해 복위했다.

복위한지 3년 만에 사망. 아들이 있었지만 유언으로 형 쿠살라의 아들을 후계자로 삼으라는 말을 남겨 이후 조카인 영종 린칠반과 원혜종 토곤 테무르가 즉위했다.

원나라에서 가장 학문을 사랑한 호학군주. 그의 연간인 1331년에 대법전 <경세대전>(<황조경세대전>, 皇朝經世大典, 징시 다디안)을 남기니 이것이 훗날 <대명률>, <영락대전>의 바탕이 되는 업적이다. 기존의 당나라부터 내려오던 율법에서 빠진 육부(육조)의 형부병부를 확고하게 규정했기 때문으로, 이는 주자주례의 영향을 깊히 받은 것이다. 다만 이 경세대전은 오늘날 전하지는 않는다. (이는 명나라 영락제영락대전도 마찬가지다.)

또한 비록 원본은 사라졌으나 경세대전의 정전(政典)에서 정벌류(征伐類)의 고려일문(高麗一門)과 예전(禮典)에서의 입조, 공납 등의 기사는 청말 중화민국 시대의 원고려기사元高麗紀事와 원사에서 살펴볼 수 있어 원과 고려 관계를 알아보는데 좋은 사료가 되었다.

백림사의 조주선사 사리탑이 건설 된 것도 이 때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종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몽골식 군주 칭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