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일대로

삼십육계
승전계(勝戰計)만천과해위위구조차도살인이일대로진화타겁성동격서
적전계(敵戰計)무중생유암도진창격안관화소리장도이대도강순수견양
공전계(攻戰計)타초경사차시환혼조호리산욕금고종포투인옥금적금왕
혼전계(混戰計)부저추신혼수탁어금선탈각관문착적원교근공가도멸괵
병전계(幷戰計)투량환주지상매괴가치부전상옥추제수상개화반객위주
패전계(敗戰計)미인계공성계반간계고육계연환계주위상
고사성어
써 이편안할 일기다릴 대수고할 로

병법 삼십육계 중 승전계의 제4계이다.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쉬다가 피로에 지친 적과 싸운다."라는 뜻이다. 사실상 힘이 남아도는 사람과 피로에 지친 사람끼리 싸우면 대결 자체가 성립이 안되는 것은 누구나 다 알법한 사실이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냥 아무 대책없이 쉬는 것이 아니라 적들이 자신을 함부로 하지 못할 상황을 만들면서 쉬는 것이 중요하다. 즉, 자신의 방비가 적들이 우격다짐으로 밀고 들어올 생각을 못하도록 빈틈없어야지 성립이 되는 것이다. 상대도 바보가 아닌 이상 자신이 빈틈을 보이면 그 즉시 그곳을 후벼파려고 하는 것이 뻔하기 때문.

가장 유명한 사례로는 머니 인 더 뱅크전국시대 말기 진나라초나라를 멸망시킬 때 진나라의 대장군이었던 왕전의 사례가 있다.

진나라는 통일을 위해 초나라를 멸망시키려고 이신몽염에게 20만의 군사를 주어서 초나라를 치게 했다. 처음에는 진나라군이 승승장구를 했으나 너무 승리에 도취한 나머지 자신들의 후방에서 몰래 접근해오고 있던 초나라군을 파악하지 못했고, 그 결과 야습을 당해 진나라로 패퇴하고 말았다. 이에 왕전이 직접 60만[1]에 달하는 대군을 이끌고 초나라로 쳐들어갔다. 이에 초나라도 대군을 이끌고 항연[2]을 총사령관으로 삼아 진나라군을 맞아 싸우게 했다. 하지만 왕전은 기껏 대군을 끌고 왔으면서도 수비만 굳건히 하고 병사들에게는 기초적인 체력단련만 시키는 등 도무지 싸울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그렇게 대치만 하기를 1년이 지나자 지친 초나라군은 진지를 거두어서 철수를 하려고 했고, 이런 상황이 왕전의 귀에 들어가자마자 진나라군은 초나라군을 추격하기 시작해서 항연을 죽이고[3] 그 길로 바로 초나라까지 멸망시키는 전과를 올리게 된다.
  1. 당시 진나라의 전병력이었다고 한다.
  2. 그 유명한 항우의 할아버지이다.
  3. 이 때 항우의 아버지 항초도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