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육계 | ||||||
승전계(勝戰計) | 만천과해 | 위위구조 | 차도살인 | 이일대로 | 진화타겁 | 성동격서 |
적전계(敵戰計) | 무중생유 | 암도진창 | 격안관화 | 소리장도 | 이대도강 | 순수견양 |
공전계(攻戰計) | 타초경사 | 차시환혼 | 조호리산 | 욕금고종 | 포투인옥 | 금적금왕 |
혼전계(混戰計) | 부저추신 | 혼수탁어 | 금선탈각 | 관문착적 | 원교근공 | 가도멸괵 |
병전계(幷戰計) | 투량환주 | 지상매괴 | 가치부전 | 상옥추제 | 수상개화 | 반객위주 |
패전계(敗戰計) | 미인계 | 공성계 | 반간계 | 고육계 | 연환계 | 주위상 |
李代桃畺
싸움에는 반드시 손해가 따르기 마련이다. 부분적인 손해를 무릅쓰고, 대국적인 이익을 취해야 한다.勢必有損,損陰以益陽.
병법 삼십육계 중 적전계의 제11계.
한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복숭아나무를 대신해서 오얏나무가 말라 죽다."라는 뜻이다. 이 때문에 이대도사라고도 하긴 하는데, 성어로 확립된 것은 이대도강이다.
원래는 조금 다른 이야기였다. 기원은 악부시 계명(鷄鳴)으로 형제의 우애를 한탄하는 내용이다.
복숭아나무 우물가에서 자라고 | 桃生露井上 |
자두나무 그 옆에서 자랐네 | 李樹生桃旁 |
벌레가 복숭아나무 뿌리를 갉아먹으니, | 蟲來齧桃根 |
자두나무가 복숭아나무를 대신하여 죽었네 | 李樹代桃僵. |
나무들도 대신 희생하거늘, | 樹木身相代, |
형제는 또 서로를 잊는구나, | 兄弟還相忘 |
여기서 이대도강이라는 성어가 나왔다.
하지만 병법 36계에서는 시의 희생정신보다는, 좀 다르게 돌아간다. 즉, 벌레들이 대신 먹게할 자두나무를 몇그루 심어둔다면, 많은 수의 복숭아나무를 살릴 수 있겠네.가 된 것이다[1]. 그리고 이것이 확대되어서 "작은 손실을 이용해서 큰 승리를 노린다."는 의미가 되었다. "살을 내어주고 뼈를 친다."라는 뜻의 육참골단과 그 의미가 같다고 볼 수 있다.
주로 많이 인용되는 사례로는 손빈과 제나라 장군 진기 사이에서 나온 전차경주의 필승법 관련이다. 즉, 가장 느린 전차를 상대의 가장 빠른 전차와, 가장 빠른 전차를 상대의 두번째로 빠른 전차와, 두번째로 빠른 전차를 상대의 가장 느린 전차와 대결시켜 2:1로 승리를 얻는 것. 즉, 이 과정에서 우리의 하마는 상대 상마에게 반드시 잡히지만, 그를 통해서 2승을 거둘 수 있게 된다.
이외에 군주를 살리기 위해서 부하가 희생되는 전개도 많다. 부하가 자발적으로 죽겠다고 나서면 유방을 구한 기신이나, 왕건을 구한 김낙과 신숭겸이 되는 것이고, 군주가 자기가 살겠다고 대신 부하보고 니가 죽어라고 하면 조조와 왕후의 관계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36계의 이대도강보다는 전술했던 육참골단이 같은 뜻이면서 더 임팩트 있어 보여서 더 자주 쓰인다.- ↑ 원래 이런 농법이 먼저 있었고, 이를 보고 위의 시가 나중에 지어졌다는 이야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