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크티오사우루스 | ||||
Ichthyosaurus De la Beche & Conybeare, 1821 | ||||
분류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미분류 | 석형류(Sauropsida) | |||
목 | †어룡목(Ichthyosauria) | |||
과 | †이크티오사우루스과(Ichthyosauridae) | |||
속 | †이크티오사우루스속(Ichthyosaurus) | |||
종 | ||||
†I. communis(모식종) †I. intermedius †I. breviceps †I. conybeari †I. ceramensis †I. anningae |
쥐라기 전기 유럽에서 살았던 어룡. 속명의 뜻은 '물고기 도마뱀'.
어룡류 중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어룡을 대표하는 종이기에 인지도가 매우 높다. 첫 발견은 19세기 초의 여성 고생물학자인 매리 애닝이 해안 절벽을 탐사하던 중 우연히 발견하였으며 당시 매리 애닝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큰 공헌을 한 동물이기도 하다. 그 후에도 여러 종의 화석이 발견되어 연구가 잘 되가고 있다.
참고로 공룡이란 단어가 생기기 20년 전에 발견된 녀석이다!
최초로 발견되었을 땐 다른 파충류들과 다른 해괴한 생김새때문에(...) 무엇을 하고 살았던 녀석인지 논란이 있었지만 후에 바다에 적응한 해양파충류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런데 처음으로 발견된 화석에서는 우리가 알고있던 녀석의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흔적이 없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크티오사우루스의 옛 복원도는 등지느러미가 없는 흡사 모사사우루스과 애들마냥 생겨먹었고, 대개 장경룡인 플레시오사우루스와 맞짱까는(...) 맹수와 같은 구도로도 자주 그려졌다.[1][2]
무슨 모사사우루스도 아니고...
후에 근연종의 화석에서 지느러미의 흔적이 발견되어 위의 복원도는 사장되고 플레시오사우루스와 싸우는 맹수가 아닌 물고기를 잡아먹는 돌고래스러운 모습으로 바뀌게 된다.[3]
생김새 때문에 돌고래와 자주 비교되는데 다른점이 있다면 이크티오사우루스는 물고기처럼 꼬리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헤엄쳤을 것이고 돌고래에게는 없는 뒷다리가 남아있다. 그리고 눈이 다른 돌고래류보다 매우 큰데 이것은 먹이를 사냥할때 돌고래보다도 시각에 더 의존하기 때문이다.
2015년에 이크티오사우루스속에 속하는 신종이 하나 발견되었는데, 종명을 이크티오사우루스의 최초 발견자인 매리 애닝에서 따와 '이크티오사우루스 애닝가이(I. anningae)'라는 학명을 부여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