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군사 병과
파일:UF7dv6d.jpg
대한민국 육군 인사행정 병과장. 사람 칼탕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게 딱 인사병과답다.
인사 관련 행정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존재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병과. 2014년 9월 1일, 구 부관 병과를 개편해 만들었다. 그리고 병과장이 졸 멋대가리 없어졌다.
육군본부 인사사령부 인사행정처장(준장)이 병과장을 겸임하며, 후반기교육은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맡는다.
수행하는 임무는 장교와 준/부사관과 병, 군무원의 인사관리 및 상훈 및 포상행정, 기록물 보존 및 관리, 전사망자 처리 및 군사우편 업무 등이 대표적이다. 군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검정도 담당하고 있다.
여기까지는 병과 고유의 임무고, 대대급으로 내려갈수록 부대 사정으로 인해 부여받는 임무가 좀 많다. 인사, 경리, 감찰, 안전, 징계...예하부대 특성 상 위에서 시키는 건 많은데 해당 병과 소속 편제된 인원은 부족하거나 없으니 울며 겨자먹기로 해야하는 상황.
보는 사람 입장에선 훈련이나 작업같은 거 다 열외하고 사무실 안에서 키보드만 굴리면 되는 편한 병과라는 인식이 깔려 있으나, 실제로 해보면 몸만 편할 뿐 정신적인 부분에서 스트레스 받는 것으로 치면 육군 전 병과 중 TOP 10에 충분히 들 수 있는 병과다. 행정병과 자체가 참모 역할 수행을 해야하는 것도 있고, 상급부대와도 자주 부딪치니 그만큼 정신적으로 힘든 경우가 많다.
선발률이 좀 낮은 편인데, 현역부사관 선발도 다른 병과는 매년 주구장창 뽑을 때 한 기수만 뽑으면 많이 뽑는거고 민간도 지원자가 상당히 많은 편이라 경쟁률이 세다. 장교도 마찬가지여서 학군 장교 3천명 임관했는데 단 2명 선발한 적도 있는 것을 보면 그만큼 많이 안 뽑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군은 장교나 부사관이나 매 기수 선발 인원이 남군에 비하면 좀 되는 편이다. 사실 활용 가능한 직위가 몇 안되다보니 어쩔 수 없다. 부사관은 대대급에 편제가 한명밖에 없는데 그나마 그것도 공통직위라 다른 병과 인원이 하는 경우도 많고, 장교와 준사관은 아예 대대급에 편제가 없다.
예전에는 군악이 구 부관 병과의 하위 병과였으나, 14년도부로 정훈 병과로 바뀌었다. 해군은 해당 업무를 육상 근무하는 항해[1] 장교들이 행정 직별 부사관들을 두고 수행[2]하며, 공군은 관리 병과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2 행정학의 한 분야
인사행정의 3대 요소 : 채용 능력발전 사기
'인사행정론'이라고도 한다.
- 환경요소 : 실적주의제, 직업공무원제, 계급제, 직위분류제, 인사기관
- 직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 확보 : 채용 / 선발
- 인적자원개발 (HRD) : 교육훈련, 인사이동, 경력개발(CDP)
- 인적자원 유지 활용 : 공무원 동기부여, 다양성 관리, 의무, 권리, 공무원 노조
- 인적자원 평가 : 성과관리
- 인적자원 보상 : 보수, 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