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작위)

오등작(五等爵)
公爵
공작
侯爵
후작
伯爵
백작
子爵
자작
男爵
남작

1 개요

子爵 (viscount, fem. : viscountess)

다섯 등급으로 나눈 귀족의 작위(爵位) 중 네번째 등급이다.

2 역사

2.1 중국의 작위

춘추시대에서는 천승지국을 호칭하기에는 조금 무리인 작위로 나라 수도에서 떨어진 나라들의 대부분이 이 작위를 받았다. 왕에게 조례할때 단독으로 참여할 수는 없었으며 후작내지는 백작들을 따라가 함께 조례하는 정도였다. 그렇다고 부용국인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래저래 애매한 위치에 있는 작위다. 사실 작위중에서도 거의 하급으로 초자라는 표현은 초나라 자작이 아니라 그냥 촌놈 수장이라는 비칭이었다.

춘추시대에서 유명한 봉건국 중에 자작위를 가졌던 국가는 나라와 (秦)나라가 있다. 초나라는 초 무왕이 왕호를 참칭한후에도 주나라의 역사서에서는 초자(楚子)로 기록되어 있으며, 진(秦)나라는 본래 왕성(王姓, 즉 주 왕실과 같은 姬씨)이 아니라 자작위에 있었지만 진 양공 시절에 주나라를 도와 뤄양을 회복시키고, 견융이 주나라로부터 빼앗은 기, 풍 지방[1]을 함몰시키고 그 땅들을 하사받음과 동시에 백작위에 오르게 되었다.

주나라 대에 어떤 제후의 부인이 자작위를 받은 적이 있는데 영지로 남 땅을 갖고 있었다. 때문에 합쳐서 남자(…)라고 불렸다.[2]

2.2 유럽의 작위

중세 유럽 봉건제도 상에서의 귀족

영어로는 viscount로, 아예 작위 명부터 백작(count)에서 따왔다. 참고로 '비스카운트'가 아니라 '바이카운트'다. 여기서의 'vis-'는 버금, 2번째를 뜻하는 'vice-'와 같다고 보면 된다.[3] 따라서 viscount를 어의 그대로 혹은 역사적 위치를 감안해서 번역한다면 부백(副伯) 혹은 준백(準伯)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본래 뜻에 더 가깝다.

원래는 백작의 궁재(宮宰), 혹은 총리대신 정도의 위치를 가지는 최고행정관 정도의 레벨이었지만 백작위가 세습됨에 따라 은근슬쩍 같이 세습하기 시작하였다. 한마디로 봉건 귀족의 상징인 독자적인 영지소유는 거의 없었다. 물론 영지를 소유하기도 하였으나 자작으로서 소유한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영주로서 소유했다.

하던 일은 주로 백작의 따까리(...). 백작이 영지에 주재중일때에는 주로 사무를 맡아보거나 시찰을 다니며 전반적인 영지관리나 궁성관리를 맡아했다. 백작이 출타중일때에는 백작 대리로서 사실상 백작행세를 하였다. 이런 자작들 중에서 출세한 케이스가 바로 밀라노의 자작 비스콘티(visconti 이름부터 자작냄새가 난다) 가문.자작 자작 원래는 밀라노의 자작가문이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실상 밀라노를 비롯한 롬바르디아의 지배자로 등극하였고, 나중에는 교황의 승인을 받아 밀라노의 공작가문이 되었다.

포클랜드 전쟁의 빌미가 된 포클랜드 섬도 영국의 포클랜드 자작에서 따온 것이다. 당시 이 섬을 발견한 사람들의 항해 비용을 댔던 사람이 포클랜드 자작 앤서니 해군 재무대신이었기 때문.

2.3 창작물에서의 작위

작위/창작물 항목 참조
  1. 시안 일대 부근
  2. 리히텐슈타인 공이나 작센 후의 경우처럼 남작의 경우도 ~남이라고 작을 떼어내고 부를 수 있다.
  3. 가령 부통령은 영어로 vice president, 중장은 vice general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