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작

오등작(五等爵)
公爵
공작
侯爵
후작
伯爵
백작
子爵
자작
男爵
남작

1 개요

侯爵 (Marquess; Marquis, fem. : Marquise; Marchioness)

오등작의 두 번째 작위공작보다는 낮고 백작보다는 높다. 중세기에 공작은 왕족이 아니면 거의 수여받기 힘든 작위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귀족들이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작위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다.

2 역사

2.1 중국의 후작

동아시아 역사에서 아무개를 뭐시기후에 봉했다는 기록이 바로 후작 작위를 내렸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에는 국가에서 정식으로 봉한 작위이며 실질적으로 방백이 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셈이다.

후(侯)는 갑골문자에서 '화살촉'의 모습에서 따온 것이며, 고대에는 한 부족이나 도시국가의 지배자를 뜻하는 문자였다. 사실상 (王)과 대등하였으나, 주나라가 왕(王)을 독점하면서 후(侯)의 권위는 격하되었다. 그럼에도 후(侯)의 칭호는 오등작 가운데서도 가장 유례가 길고 전통이 공고한 지위였기 때문에 제후의 칭호로서 상징성이 컸으며, 천자 아래의 봉건제 지배자들을 가리키는 말은 '여러 후'이라는 뜻에서 제후(諸侯)가 되었고 그 유명한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느냐"는 격언에서도 공(公)이 아니라 후(侯)가 쓰이는 걸 볼 수 있다. 실제로 현대의 금문 연구에 따르면 오등작에서 실질적으로 주요하게 쓰인 것은 후(侯) 뿐이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후 가운데 세력이 큰 것이 공(公), 후 밑에 배치되는 소영주가 백(伯)이다.

춘추시대에서는 공작을 제수받은 경우가 (상)나라의 혈통을 이어받은 송나라 공실 뿐이었다. 1급 개국공신이었던 태공망 여상이 분봉받아 세운 , 여상에 못지않는 공훈을 세운 주무왕 희창의 동생이었던 주공이 분봉받아 세운 나라도 모두 후작으로 제수받아 만들어진 케이스. 제후가 아니라면 주나라 왕실에서 일함으로써 받을 수도 있었는데 이 경우에는 경사(卿士)로써 일하는 인물들이여야만 후작위에 오를 정도로 매우 높은 직책이었다. 비록 동성제후국이라도 개국공신이 아니라면 후작을 받기가 어려웠다. 일례로 나라는 동성제후국이지만 개국공신은 아니었기 때문에 정나라 제후는 정백으로 불렸다.

예외적으로 중국의 경우 중앙정부가 막장이라서 스스로 세력을 길러 지방의 군벌이 된 제후가 스스로를 어디어디후(侯)로 자칭한 경우도 있었다. 한나라가 되면 제후의 칭호가 간략화되어 오등작이 사라지고 왕, 공(황족)과 후(공이 있는 자)만 남는다.[1] 또한 등급이 나뉘어 실제 영지를 봉작받은 열후와 영지가 없이 후작위만 받은 관내후로 구분되었다. 열후 역시 영지의 등급에 따라 현후, 향후, 정후로 나뉜다. 현후는 1개 현을 봉지로 받은 제후, 향후, 정후는 현 밑에 소속된 하위 행정구역인 향이나 정을 봉지로 받은 제후이다. 향후나 정후는 봉지명+향후, 봉지명+정후 같은 형식이며, 현후는 그냥 봉지명+후의 형식이다.

열후의 열은 공덕이 크게 드러나 관직을 받아들인다는 뜻이고 관내후는 진나라가 육국을 평정하지 못했을 때 장수들의 집이 대부분 관중에 있었기 때문에 관내후라고 부른 것이다.

2.2 한국의 후작

고려시대에 오등작 제도를 사용하였는데, 원간섭기 때 잠깐 폐지되었다가 공민왕 때에 다시 두었다. 고려시대에 후작 작위를 받은 대표적인 인물로 김부식, 최충헌, 최우, 최치원설총(추존) 등이 있다.

2.3 일본의 후작

화족 문서 참조. 일본이 흡수한 류큐 왕국의 쇼씨 왕가도 류큐처분 후 후작의 작위를 받았다.

2.4 유럽의 후작

유럽을 기준으로는 원래 변경에 영지를 소유한 백작들을 높여 부르던 변경백(Markgraf)이란 호칭이었다. 궁중백과 비견해서 부중백(府中伯)이라고 한다. 이후 변경지역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변경백과 별도의 정식 작위의 하나로 인정은 받았다. 변경백과 후작은 백작이 동시에 또 다른 백작위를 겸할 수 없다는 봉건법의 금제에서 벗어나 두 개 이상의 백작위를 동시에 소유할 수 있는 특권을 가졌기에 비교적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변경이란 개념 자체가 서서히 변화되고 기존 후작들이 공작위로 승격되거나 후작령이 하나 둘 폐지되었고, 하급귀족들이 후작을 자칭하는 경우도 늘어서 나중에는 후작이란 지위 자체가 붕 떠버리는 경우도 많았다. 실존인물 중 후작으로 유명한 인물이 그나마 사드 후작 정도.

3 실제 후작

가상 인물은 작위/창작물 참조
  1. 유비가 받았던 의성정후나 여포가 받았던 온후 같은 칭호가 여기에 해당한다.
  2. 고려 인종에게서 하사받은 작위가 '낙랑국 개국후(樂浪國 開國候)'이다.
  3. 사후 고려 현종에게서 문창후(文昌候)를 추증받았다.
  4. 사후 고려시대에 홍유후로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