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작위)

오등작(五等爵)
公爵
공작
侯爵
후작
伯爵
백작
子爵
자작
男爵
남작

1 개요

公爵 (Duke, fem. : duchess)

오등작 중 첫째 등급으로 국왕의 바로 밑 등급이다.

2 역사

2.1 중국

대표적으로 나라의 왕족인 미자계(주왕의 숙부)에게 분봉한 나라가 이 작위라 송나라의 영주를 송공이라고 했다.

주 왕실에서 경사(재상)를 맡은 제후(, , 등)를 빼면 공작은 매우 드문 작위다. 그렇다고 경사들이 다 공작인 것도 아니다. 예를 들면 (鄭)나라는 초기에 경사를 지냈으나, 백작이었다. 춘추 12제후의 범주에서는 송나라만이 공작이고 그 외를 찾아봐도 (虞)나라, (州)나라, 순우(淳于)나라 정도밖에 없었다.

송나라는 은나라의 유민으로 주나라에서도 손님 대접을 받았다고 하며, 우나라는 주나라 왕실 선조 계력(주 문왕의 아버지)의 작은형 중옹의 집안, 괵나라는 문왕의 두 아우 괵중과 괵숙의 자손으로 모두 그 위계가 장난 아니게 높았다. 주나라와 순우나라에까지 이게 적용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왕의 아들을 왕자라고 하듯이, 공작(公爵)의 아들(子)을 공자라고 부른다. 자작의 아들은 자자 남작의 아들은 남자? 춘추시대 때는 실질적으로 권력을 지닌 군주들의 칭호가 공작이었다. 공작의 손자는 공손(公孫)으로 불렀으며, 아예 이걸 성씨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삼국지에 나오는 요동의 공손씨 또한 이런 사람들의 후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으로 공(公)은 높은 관직을 의미하는 말이기도 하기 때문에, 나중에는 지체가 높은 집안의 아들을 가리키는 말로 통용됐다. 공자라는 단어는 지금은 무협소설이나 판타지소설에서나 볼 수 있다. 이를 테면 홍길동전에서 홍길동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은 홍 공 이다. 그리고 전원책 변호사가 유시민 작가를 유공이라고 부른다.

공자의 후손들은 당나라시대부터 공의 지위를 받아왔으며(당-문선공, 송-연성공) 왕조가 바뀌었어도 황제들은 이걸 대대로 공자의 후손들에게 물려주었다가 중화민국이 들어서면서 공의 지위는 폐지되고 새롭게 대성지성봉사관이라는 직책을 승계한다 하지만 국부천대 이후 대만에 거주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족보를 따질 때 자주 나오는 것이다. 00 0씨 000공파라는 식으로.

2.2 한국

고려시대에 오등작 제도를 사용하였는데, 원간섭기 때 잠깐 폐지되었다가 공민왕 때에 다시 두었다. 고려시대에 공작 작위를 받은 대표적인 인물로 이자겸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제가 구 조선 왕실 일원에게 공작위를 하사했다.

2.3 일본

화족 문서 참조.

2.4 유럽

Duke. 로마 제국 시대의 라틴어 Dux에서 유래했다. Dux란 원래 두루뭉술하게 "군대를 지휘하는 사령관"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3~4세기 이후로 각 속주별로 배치된 군단을 지휘하는 관직명이 되었다. 고대 말에서 중세 초 사이 성립한 유럽의 게르만계 국가들은 로마의 관직을 자칭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Duke이다. 여성형은 Duchess.

Prince(獨 Fürst)라는 호칭 또한 공작으로 번역되고는 하나, 둘은 어원부터 다른 별개 작위이므로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프린스는 특히 독일 같은 중동부 유럽에서 사용된다. 프린스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조.

(유럽에서) 일반적인 작위 중에서는 가장 높은 작위로 관례적으로는 왕족들만이 이 작위를 가졌다. 왕족 출신이 아닌 공작들은 대개 옛 게르만 부족들이 프랑크 왕국이나 신성 로마 제국 등에 편입되면서 권위를 보장받은 경우로, 이런 공작들은 반독립적인 세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왕족 공작들은 왕위를 계승하지 못하는 차남이나 삼남, 혹은 부마 등에게 공작위를 수여하는 식. 프랑스발루아 왕조부르봉 왕조가 이렇게 생겨난 가문이다. 중세 봉건제도 하에서 보다는 낮은 작위였지만, 봉건제도 아래에서는 일반적으로 아무리 이라도 봉신의 영지 내에는 간섭할 수 없었기 때문에 거대한 영지를 소유한 공작들은 왕보다 막강한 권력을 지니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영지들이 더욱 강력해지면 공국과 같은 형태로 실제로 한 나라의 군주가 되기도 하였다. 대부분이 왕실의 원로격 입장에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근세에 접어들면서 왕족들만이 아니라 일반 귀족이나 심지어 기사들조차 공적이 높을 경우 승작하면서 공작위를 받게되는 경우도 생겼다. 이는 국민국가가 형성되고 권력이 중앙에 집중되어 감에 따라 발생한 현상이다. 또한 토지와 다른 재산이 귀족 작위에 따라붙는 것이 아니라 그 개인이 소유하는 것으로 여겨짐에 따라 공작위의 성격은 점점 변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영국의 경우 왕족이 아닌 노퍽 백작이 노퍽 공작으로 승작하거나 존 처칠이 다대한 전공을 쌓으면서 기사에서 말버러 공작으로 승작한 것, 그리고 나폴레옹을 꺾은 웰링턴 공작이 워털루 대공[1]으로 임명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즉, 공작, 정확히 작위제도의 의미는 작위 그 자체가 권력을 가지고 있다기 보다는 높은 영예를 누리는 명예직위로 성격이 변하였다.

간혹 공작 중에서도 특히 높은 인물을 대공(Grand Duke)으로 칭하기도 한다. 보통은 독립 공국의 군주를 대공이라고 하지만 유럽 각국의 작위체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정형화된 법칙은 없다. 깊게 들어가면 대공이라는 단어로 번역하는 것 자체에서 문제가 생길수도 있을 정도.[2]

나폴레옹 전쟁 시기 프랑스에는 나폴레옹이 상당히 많은 인물들에게 공작위를 수여했다(Prince, Duke 모두).

현존하는 공국(Duchy)으로는 (공작위를 칭하는 군주국으로써의) 룩셈부르크 등이 있다. 실질적으로 "영토를 가지는 제후령으로서의 Duchy"는 독일 혁명으로 독일 제국의 연방소속이었던 5개 Herzogtum(안할트, 브라운슈바이크, 작센알텐부르크, 작센코부르크고타, 작센마이닝겐)이 폐지된 1918년 이후로는 더 이상 남아있지 않다.
역시 공국으로 번역되는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등은 프린스가 다스리는 Principality이지, Dukedom이 아니다. 리히텐슈타인 공국의 독일어 정식 명칭은 Fürstentum Liechtenstein. 독일어권에서 Fürst는 공작(Herzog)보다는 낮은 작위이며 백작(Graf)보다는 높은 작위로, 말하자면 후작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리히텐슈타인은 본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의 퓌르스텐툼이었으므로 구분해야 하나, 초기 번역과정에서 모호한 번역을 취하여 지금까지도 Duke와 Prince의 구분이 명확하지 못하다. Duchy와 Principality에 대해서는 공국 문서 참고.

프랑크 왕국의 등장 이후 중세 봉건제 사회에서 공작은 귀족의 대표격인 존재였다. 봉건제 하에서 공작으로 번역되는 Duke나 Herzog는 가장 강대한 세력을 가진 귀족들만이 쓰는 칭호였고, 독립 공국들의 경우 역시 세력이 강한 국가들은 거의 어김없이 공작의 칭호를 사용했으며, 이런 이유로 보헤미아나 폴란드와 같은 국가의 군주들은 왕국으로 승격하기 이전 대부분 공작 혹은 대공으로 불리웠다. 실제로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들을 위협했던 대립왕들이나 프랑스의 라이벌이었던 부르고뉴 공국, 이탈리아의 공국들의 작위 변천 과정만 봐도 공작이란 작위는 중세시대 가장 강대한 세력을 가진 귀족들의 전유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유럽이 중앙집권사회에 접어든 이후로는 공작의 힘이 그리 크지 않은 나라가 많았다. 근세 이후 유럽 역사에서 실세인 중앙 귀족은 백작이 대부분이었다. 후작은 오늘날로 치자면 국경지대 야전사령관이라서 중앙과는 거리가 멀고 공작은 작위는 높아도 대부분이 왕족인 특성상 충분히 왕위 찬탈을 일으킬 명분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 이러니 국왕이 상식적이라면 공작들에게 많은 사병과 거대한 부를 축적하게 놔둘 리가 없다.[3]

2.4.1 현존하는 공작위 중 일부

현재 전세계 군주 중에서 대공(Grand duke) 군주호(君主號)를 사용하는 인물은 룩셈부르크 대공뿐이며, 공(Prince) 군주호를 사용하는 인물은 모나코, 리히텐슈타인, 안도라[4]의 군주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공국 문서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말 그대로 "군주의 신하"로서 받는 작위만을 서술한다.

3 공작위를 가졌던 인물

※ 가상 인물은 작위/창작물 참조.

  1. 유럽 각국의 국왕들로부터 수 많은 작위를 수여받았다.
  2. 예를 들어 독일에서 대공(Großherzog)이라는 말은 영방 제후국들 중에 비교적 세력이 큰 제후국의 군주를 가리키는 데 비해, 오스트리아에서 대공(Archduke)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조의 황족 남자들을, 제정 러시아에서 대공(Grand Duke)은 로마노프 왕조의 황족 남자들을 가리킨다.(단, 먼 친척인 경우에는 그냥 Prince)
  3. 사실 작위의 특성은 잘 모르더라도, 상식적으로 조선세종이 즉위할 때 그 형들이 희생한 것이나 삼국지에서 조식이 재능을 못 이루고 한탄하면서 죽은 에피소드만 봐도 보통 왕위를 노릴만한 귀족이 큰 힘을 갖도록 왕이 놔두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4. 프랑스 대통령과 우르헬 주교가 공동 prince.
  5. 성 보면 알겠지만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당시 원수이자 알만사 전투와 3차 바르셀로나 공방전의 영웅인 제임스 피츠제임스 장군(프랑스어로는 자크 드 피츠제임스)의 직계후손이다. 피츠제임스는 이 두 전투에서 펠리페 5세의 왕위를 지켜내어 스페인 귀족과(리리카 공작, 베릭 공작-원래 자코바이트 공작위, 피츠제임스는 영국 제임스 2세의 사생아다. 즉 스튜어트 가 일족)프랑스 귀족 작위(피츠제임스 공작)을 가졌는데 스페인 귀족 작위는 장남에게 주고 프랑스 귀족 작위는 차남에게 주었지만 프랑스계는 1967년 단절된다
  6. 그나마 형제들이 작위를 나눠서 상속 받아서 겨우 40여가지이고 18대 여공작이었던 현 알바 공작의 어머니는 무려 52가지 칭호...
  7. 왕이 되기 전에 받은 작위가 계림공(鷄林公)이었음.
  8. 받은 작위가 조선국공(朝鮮國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