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

파일:Attachment/poet jang.jpg
9대 닥터 닮았다


蔣正一
1962년 1월 6일~

1 인물 소개

대한민국소설가, 시인, 극작가. 1962년 1월 6일 대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아산 장씨.[1]

중졸 학력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독서의 힘으로[2] 유명한 문필가가 되었다. 19세 때 폭력 사건에 연루, 대구교도소 미결수방을 거쳐 소년원[3]으로 보내져 1년 6개월 간 소년원에 있었을 적에, 많은 양의 다양한 책들을 읽었다. 1984년 시 '강정 간다'를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했고, 1987년 희곡 '실내극'을 통해 극작가로 데뷔하였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역시 1988년 출간한 시집 '햄버거에 대한 명상'으로, 그를 단박에 유명 작가로 만들어 주었다. 시인으로써 장정일은 유하와 함께 민주화와 함께 급속도로 가벼워지고 소비자본사회화가 되어가는 1980-1990년대 대한민국 사회를 대중문화와 엮어 풍자적으로 드러낸 작풍으로 유명했다. 김춘수의 시 "꽃"을 패러디한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역시 널리 알려진 그의 시.

1988년 소설 '펠리칸'을 통해 소설가로 데뷔했으며, 그가 발표한 몇몇 소설들은 영화로 만들어졌다. 그와 동시에 시인으로서의 활동은 접고 소설가, 극작가, 평론가 등으로 활약하였다. 소설가 장정일을 유명하게 만들어 준 작품은 1992년에 발표한 "내게 거짓말을 해봐"로 문학계에서 논란은 가히 마광수 교수의 즐거운 사라와 비할 만큼 크게 논란이 되었다. 이 작품은 김영사에서 간행되었다가 금서로 지정되어 폐기됐고, 현재도 재발간이 안 되고 있다. 이 작품으로 인해 장정일 본인도 시나리오 공부를 위해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다가 1997년에 귀국한 뒤 그 해 6월 재판에 회부됐고, 결국 징역 10월형을 선고받아 법정 구속됐다. 이후 보석을 신청하여 한 달 후인 7월에 석방됐다. 그가 프랑스에 있던 무렵인 1996년 12월 30일에는 이 작품이 음란물로 지정되어 김영사 관계자가 벌금형을 선고받았는데, 당시 판결은 "문학성이 음란보다 우위에 있다"였다는 것.... 그런데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장선우 감독, 김태연, 이상현[4] 주연의 영화 거짓말은 의외로 무죄로 마무리되었다.(연극도 나왔으니...) 참고로 장정일은 예전 마광수 교수의 논란 때 마광수를 쉴드 쳐 준 적이 있다.

참고로 <보트 하우스>에 따르면 1심에서 실형을 받았을땐 "내가 이 책으로 사회를 공격했으니 사회가 자신을 방어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라는 마인드로 그다지 기분이 나쁘지 않았는데, 7월에 보석으로 풀려난 후 고등법원 심리를 하는 동안에는 자신이 원고지에 글을 쓸때나 가해자였지 원고지 밖에서는 박해받는 머저리처럼 느껴져서 적의가 불타 올랐다고 한다(...). 심리 당일 전후로 매일 술을 마셔댔고, 다음 해인 1998년 2월에 집행유예 2년으로 재판이 끝나자 차라리 평생 안 끝나길 바랬던 공판이 끝나서 새 소설을 써야 한다는 사실에 해방감은 커녕 구속감이 들었다고...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라는 소설도 대한민국 포스트모더니즘의 초기작으로 많은 문예창작과학생들을 괴롭혔다. 이 소설도 영화로 만들어졌다.

그의 시 중 <요리사와 단식가>라는 작품은 내용이 매우 충격적인데, 이를 바탕으로 방은진, 황신혜 주연의 영화 301 302가 제작되기도 했다. <301 302>는 국내 영화 팬들 사이에서 컬트 영화의 명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일본 소설 팬들에게는 무라카미 류의 작품에 꾸준히 해설을 써 주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소설 외에는 예전 소년원 시절에 축적한 독서 경험을 바탕으로 "독서일기"라는 책도 내놓았다.

어머니가 "여호와의 증인" 신도여서, 대구 성서중학교를 졸업한 뒤 어머니의 종교에 빠져든 탓에 고등학교 진학을 포기하였다고 한다. 군 면제는 덤.

결혼을 두 번 했다. 현재도 대구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

2 작품 특징

문장이 좀 난해한 편이며 독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표현방식을 자주 쓴다. 예를 들면 <너에게 나를 보낸다>의 27번 단락에 "바지 입은 여자"라는 시가 써져 있는데, 나중에 그 시가 다시 나오는 대목엔 "27번을 볼 것."이라 적혀있다. 또한 같은 작품에서 후기에 설명하겠다며 이름부터 <후기 설명하기로 함>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정작 후기를 봐도 이 캐릭터의 설명은 코빼기도 없으며 개정판 후기엔 아예 "초판 후기에도 안 적었으니 개정판에 적을 게 없다."는 뉘앙스로 적혀있다(...).

가장 압권인건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로, 본인 왈 "재즈적인 글쓰기"를 시도했기 때문에 앞뒤가 맞지 않는 서술이 수십개는 나온다.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제대로 된 인명으로 정해 놓는 경우가 별로 없다. 유독 작명이 상당히 힘들다는 듯. 사실 인명이 따로 있다는 설정이어도 그냥 다른 이름으로 쓴다(...). 또한 등장인물을 자신의 분신같은 존재로 보며, <내게 거짓말을 해봐>의 주인공 "제이"와 <보트 하우스>의 1인칭 서술자 "나는"은 아예 본인이다. [5] 때문에 장선우 감독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 시사회를 갔을 때 중간에 나가 버렸다고 한다. 등장인물이 하나같이 자기 분신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중인환시에 자신이 까발려지는 느낌이라고...

또한 설정 재사용을 즐겨하기 때문에 그의 첫작부터 최근작까지 읽고 있으면 상당한 혼란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행원"이란 캐릭터는 거의 모든 작품에 빠지지 않고 나오며, "가난한 집안의 죄많은 장남"이라는 표현 역시 빠짐없이 되풀이된다. 장정일 본인이 김춘수의 시 <>을 패러디한 <라디오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은 <너에게 나를 보낸다>에선 표절시인 캐릭터 "이정박"이 표절한 시로 재활용된다.

<보트 하우스>는 아예 전작 <내게 거짓말을 해봐>의 주인공 "와이"와 "제이"가 재등장하며,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에서 난교 클럽으로 등장했던 "재즈 교회"도 SM 클럽으로 바뀌어서 나온다. 지나가는 캐릭터였던 "홀쭉이와 뚱뚱이"도 잠시 등장한다.

3 성격

옥살이를 할 정도로 작품의 수위는 높았지만, 술자리에서는 조용하다고 한다. 소설가 장정일을 오랜 기간 만나왔던 남재일(전 중앙일보기자, 고대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씨의 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술이 세서 잘 취하지 않았지만 일단 본인이 ‘갔다’고 느끼면 소리없이 사라지는 버릇이 있었다. 한번은 이대 앞의 ‘올로올로’에서 2차로 맥주를 마시다 화장실을 갔는데 소식이 없어 한참이나 찾아다닌 적이 있다. 나중에야 나를 찾으러 나온 김완준으로부터 ‘자주 그런다’는 얘길 듣게 됐는데, 사실 이때 나는 별로 기분이 좋지 않았다. 그런 습성을 가진 인물을 내 주변에서는 처음 봤기 때문에 무례하다는 인상을 받았었다. 하지만 한참 후에야 그런 버릇이 자신을 지키고 남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으려는 장정일 특유의 직설법임을 이해하게 됐다.

4 논란

[1]

2016년 10월 28일 시사IN의 장정일의 독서일기에 쓴 글이 논란이 일고있다.

5 작품 일람

  • 햄버거에 관한 명상 (1987)
  • 아담이 눈뜰 때 (1990)
  •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 (1992)
  • 너에게 나를 보낸다 (1994)
  • 내게 거짓말을 해봐 (1996)
  • 보트 하우스 (1999)
  • 장정일 삼국지 (2004)
  • 구월의 이틀 (2009)
  •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켜고 끌 수 있다면 : 김춘수을 패러디하여 일회적이고 그저 관심뿐인 메마른 사랑을 풍자하였다.
  1. 국내에 15,000명밖에 없는 희성이다.
  2. 확실히 문필가 이외로는 다독가로서 알려져 있는 편이다. 후술하듯 자신의 독서 편력을 책으로 낸 바 있기도 하고. 그러나 깊이는 그다지...
  3. 대구소년원(현재의 읍내정보통신중고교)으로 갔다가 이후 김해소년원(부산소년원으로 개칭/현재는 오륜정보산업학교다)으로 이감됐다.
  4. 이 사람은 배우가 아닌 사진작가다.
  5. <거짓말>에선 암시 정도만 나왔으나 <보트 하우스>에서 작가 본인="나는"="제이" 라는 것이 밝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