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조지은

再造之恩

1 개요

'나라를 다시 만들어준 은혜', '거의 망하게 된 걸 구해준 은혜'라는 뜻이다.

역사에 등장할때는 임진왜란때 출병을 해 조선을 도와주신 명나라 황제님의 공덕이라는 뜻이다. 임진왜란을 전후해 명나라에 대한 조선의 외교적 인식을 설명하는 단어라 할 수 있다.

사실 만력제일본에 맞서 조선을 구해준 건 사실이고, 엄청난 비용을 들여서 명나라에도 상당한 부담이 되기는 했다. 엄밀히 말하자면 '고마움'을 느끼는게 맞기는 하다.

그러나 현실정치는 냉혹한 것이어서 전쟁피해가 심각했던데다가 작은 나라였던 조선이 명을 위기에서 건져낼 수는 없었고 그나마 일부라도 도와준 건 광해군 정도였다. 호란에 진 이후로는 더더욱 명에 대한 의리 주장이 힘들어지지만, 의리론적인 사고에 익숙했던 조선 사대부들에게 재조지은에 대한 의식이 두고두고 심리적 부채로 작용했던 것은 사실이다. 다만 가도에 주둔해서 평안도 일대를 거의 초토화시키던 모문룡 일파의 횡포와 더불어 사르후 전투에서 어쨌건 13,000명이나 되는 병력을 바쳐가며 도와준 게 있기에, 재조지은을 갚았다는 명분은 나름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명 자체와는 거리를 두고 만력제만 따로 좋게 평가하는 쪽으로 바뀌게 된다. 심지어는 명이 망한 이후에도 명나라 황제의 묘(만동묘)를 지어 모시거나, 명 멸망 이후에도 민간에서는 최후의 황제인 숭정제의 연호를 사용했을 정도였다.

물론 유교는 현실정치의 학문인 만큼, 광해군은 현실 중립외교, 인조는 비현실적 반청 외교라는 일반인들의 인식과 달리 조선의 지배층은 명에게 은의를 입은 것과는 별개로 나라를 멸망의 구렁텅이에 빠뜨려 가면서까지 명과의 의리를 지키려는 미친 짓을 하지는 않았다. 사르후 전투의 파병으로 나름 의리도 다한 판이고 그래도 명이 망하는 거야 명도 자국의 운명까지 걸어가며 조선을 도와준 적은 없으니 어쩔 수 없는 일이며 (나중에 다 강제 동화시키긴 하지만)명나라 백성들도 수만 단위로 받아줬으니[1] 이제 빠질 명분도 충분했다. 성리학의 교조화를 이끌었다고 비판받는 그 송시열도 의리론에 기초한 북벌론이 현실적으로 무리라고 간한 적이 있을 정도이고, 실제로는 호란 이후로부터 청나라를 상국으로 인정했고, 가도의 명 세력 토벌은 아예 주도적으로 했으며[2], 이후 명과의 전쟁에도 군대를 계속 파병했을 정도. 사대부 정치가들은 학자이기 이전에 경세가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2 현대의 재조지은

현대에 들어와서는 몇몇 인사들이 지나친 숭미 의식을 깔 때 사용하기도 한다. 따지고 보면 지은

그러나 개인적인 측면과 국가적인 측면 모두 미국에게 고마움을 느끼는 것이 유교 윤리는 물론 인간적인 윤리로 보아도 올바른 것임은 자명하다. 이는 명나라라고 해서 하등 다를 바가 없다.

현대적 관점에서 재조지은을 주장한 사대부층이 주체성 없는 사대주의자나 외세를 끌어들여 문제를 해결해 놓고 자위하는 무능한 정권으로 인식되면서 여러 가지로 오용되고 있는 단어이지만, 재조지은에 관한 당대의 논의는 의리론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것임은 물론이고, 현대인의 기준에서 봐도 명에 대한 의리나 명의 은혜를 강조하는 것은 딱히 이상할 것 없는, 충분히 할 만한 행동이었다.[3] 임진왜란은 실제로도 명이 만력 3대정 중에서도 가장 많은 수준의 엄청난 전비를 쏟아부어 전폭적, 적극적으로 참여한 전쟁이었고, 만력제가 자국에서는 고려천자라는 비웃음을 받아 가면서까지 조선을 적극 지원해서 멸망의 위기에서 건져 낸 전쟁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도덕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자국 멸망의 원인 중 하나가 될 정도로 자기 나라의 힘을 짜내서 우리나라를 위기에서 건져 준 동맹국에 대해서 인간적인 고마움을 느끼는 것은 상식적으로 보아도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또다른 재조지은의 사례로 이분이 있다. 중국인이라 더 적절하다.
  1. 실제로 이 때 투입된 조선군 병력은 재건 중이던 조선군 내에서도 정예로 평가받던 병력이었다. 광해군이 이후 파병을 거부한 것도 파병하고 싶지 않은 것도 있지만 진짜 이유는 모든 군사를 북방에다가 집결시켰으며 도성 내의 군사들까지 대량으로 집결시켜 도성 내 군사 수가 3000 이하로 떨어지고, 5,6년간이나 남쪽에서 군사를 징발하며 지경까지 모든 군세를 후금에 대한 방비로 돌렸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 때 집결시킨 군사 수가 상당했던지 인조는 즉위하자마자 자신만만해하며 이것으로 후금을 압박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2. 차라리 청이 주도했다면 덜 잔혹했겠다고 여길 정도로 철저히 학살했다고 한다.
  3. 임진왜란에 대한 비전문가나 대중의 인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들이 1.조선의 지배층이 공리공론에나 치중하는 쓰레기였다는 것. 2.조선이 전쟁대비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관광을 당했다는 것. 3.재조지은이 실체 없는 사대주의 사상이라는 것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