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 만능주의

1 개요

전차가 지상전의 왕자이므로 앞으로의 지상전은 전차로만 해결해도 될 거라는 사상. 대표적인 사상가는 20세기 초반 영국의 군인이자 군사사상가였던 J.F.C. 풀러.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전차 무용론이 있다.

2 배경

  • 전차는 보병보다 강력한 화력과 방어력을 지닌 존재인 만큼 보병을 대동하는 것보다 전차만으로 편성되는 부대가 더 강력할 것이라는 예측이 돌고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장갑차는 화력이 형편없었고 단지 보병을 수송하는 개념이었기에 결국엔 도태될 것이라 예상하였다.
  • 따라서 포병 또한 전차의 기동력에 압도되어 별 효과를 보지 못하고 도태될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 전차의 유일한 약점이라면 공격헬기무장헬기 였는데, 이쪽에서도 맞불을 놓으면 그만이었다. 애당초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제공권을 빼앗기면 전쟁에서 패배한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3 문제점

  • 전차가 보병보다 공격에 있어서는 우월했으나 방어에 있어서는 형편없었다. 무엇보다 제한된 상황에서만 방어를 해야 했고, 장갑차의 패러다임이 바뀜에 따라 기계화보병으로도 충분한 화력을 갖출수가 있었다. 더욱이 전차는 방어용이 아닌 공격용 병기라 애당초 전차로 방어전을 치른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
  • 하지만 아직도 대전차 화기의 효과는 유효했다. 더욱이 전차전에서 열세를 면치 못한 중동권 국가들이 대전차미사일을 도입해 이스라엘 전차를 상대로 효과를 봤을 정도로 전차 입장에서 이러한 변수를 무시하기는 곤란했다.
  • 포병 또한 바보는 아니라 전차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하였고, 여러 탄종과 사격술로 응수했기에 포병을 무시하는 건 불가능하다. 더욱이 단순히 포탄만 쏘는 포병만 있는것도 아니었기에 포병을 무시하는 것은 그야말로 병크.
  • 공격헬기 및 무장헬기가 유용한 건 사실이지만 지상전에 만능으로 사용하기에는 곤란하다. 이는 전차 무용론에도 잘 나와있다. 적 헬기를 상대하는게 아니라면, 헬기를 동원하느니 기계화보병을 대동하는 것이 더 싸게 먹힌다.
  • 결정적으로 시가전에서는 모든 건물을 전차가 부수기란 불가능하기에 매복에 극도로 취약하다. 이로 인해 적 보병의 대전차전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는데, 이는 개활지와는 달리 시가전에서는 전차의 시야가 상대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대전차전에도 취약할 수 밖에 없다.

4 사례

실제 이스라엘이 이러한 사상을 신봉하고 있었다. 이스라엘이야 중동전쟁에서 전차전으로 이득을 본 점이 많았다.

그러나 이스라엘군제4차 중동전쟁에서 전차만 들이밀었다가 이집트군의 AT-3 대전차 미사일 공격과 RPG-7 보병의 매복으로 매우 큰 피해를 입었다. 그리하여 메르카바 전차를 개발하여 보완책을 마련했다.

소련도 풀러식 전차 지상주의를 신봉했다고 잘못 알려졌는데, 이는 리처드 심킨이 자료를 취사 선택한 결과 잘못 알려진 것이다. 투하체프스키를 비롯한 소련 군사 사상가들은 풀러의 전차주의를 비웃었고 처음부터 제병 협동을 중시했다.

결국 전차와 장갑차는 지상 기갑전에서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고 이는 현재진행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