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급수

한자 풀이
억제할 한정할 공급할

1 개요

무한급수의 반대말이 아니다. 오막글에서 보고 이건 줄 알고 들어왔다.
국가국민을 상대로 시전하는 잠가라 밸브 한 가지 다른 거라면 국가가 국민을 제재하기 위함이 아니라는 것 정도
말 그대로 상수도, 즉 을 공급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으로, 특정 시간에만 수도를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전기에도 제한송전이라는 비슷한 용어가 있다.

이 끊긴다는 점에서 단수와 비슷하지만, '단기적이고 우발적'이라는 뉘앙스가 강한 단수에 반해 제한급수에는 장기적이고 계획적이라는 뉘앙스가 강하다. 그래서 블랙아웃 같은 일이 발생했을 때에도 '단수'라 하지만, 물탱크 청소나 수도관 교체 등의 유지보수를 할 때 역시 (언제 급수가 다시 이뤄지는지 확실하지 않으므로) '단수'라 하는 것이다.

2 이유

제한급수가 이뤄지는 이유는 주로 가뭄이나 재난, 전쟁 등으로 물이 부족하게 될 경우, 여기에 시설 부족을 추가할 수 있다.

우선 가뭄부터 따지자면, 상하수도 시설의 구조부터 짚고 넘어가야 한다. 상하수도 시설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이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 물이 부족할 경우 자칫 상수도 시설(특히 물 펌프)이 고장 날 수도 있어, 상수도를 미리 차단해 시설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마냥 차단해서는 고인 물이 썩는 등 시설 보호에 한계가 발생하기 때문에 특정 시간을 지정해서라도 물을 공급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는 단수와 비슷하게, 주로 소비자가 그 시간대에 물을 미리 받고, 절수 시간대에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한 강수량이 특정 계절에 집중되는 기후대에 속한 나라들은 비나 눈이 1달 이상 오지 않는 건기 동안에 어쩔 수 없이 시행하기도 한다.

재난이나 전쟁의 경우 상수도의 품질 관리를 위해 취하기도 한다. 상수도 시설에 포탄이 떨어졌다면 그 포탄을 치우고 수도 공급을 재개해야 하는데, 귀찮다고 안 하자니 상수도 품질 악화가 문제고, 그렇다고 그거 하나 치우다가 시간 다 보내기에는 인력 낭비에 소비자 불만까지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제한급수를 시행하고, 급수하지 않는 시간에는 유지보수를 행하는 것이다.

대상 지역까지 물을 공급할 시설이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경우 역시 제한급수가 이뤄진다. 이 경우는 소비자가 물을 미리 받아두는 것마저 버거울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소방시설 등 별도의 시설을 통해 물을 공급하기도 한다. 별도의 시설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시간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것 역시 제한급수라 말할 수 있는 것이며, 대표적으로 개발도상국의 제한급수가 이런 유형에 속한다. 다만 이 제한급수는 시설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때 해제되므로, 앞서 언급한 것에 비해 해제 가능성이 비교적 확실하다는 차이가 있다.

3 사례

제한급수 그 자체는 매우 자주[1]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므로, 대표적인 사례만 기술.

3.1 국내 제한급수

3.1.1 1993년 제한급수

1992년 12월 21일부터 1993년 6월 1일까지 156일 동안 광주 전 지역에서 실시되었던 제한급수다.

3.1.2 2009년 제한급수

2009년 1월부터 약 3달간 태백시 지역에 제한급수가 실시된 적이 있다. 4월 2일 해제되었다.

3.1.3 2015년 제한급수

연평균 강수량의 60% 수준으로 심각한 가뭄이 일어나자 2015년 10월부로 충남 서부지역에서 제한급수가 시행되었다.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 특히 충남 서북부 지역 보령댐의 상황이 심각해서 정부에 긴급 공사를 요청하였고 이를 승인받아 예비타당성조사 등 행정절차 17개를 생략하고 2월말 완공을 목표로 착공이 시작되었다. # 공사가 완료되면 금강으로부터 하루에 11만5천 톤의 물을 공급받는다. 하루 물 사용량이 20만톤이었음을 감안하면 여전히 부족한 양으로 내년 여름까지 버틴다는 심정으로 진행중이라고 한다.

보령댐은 3월 고갈이 예상되는 상황이라 금강~보령댐 도수로 21km 구간을 1km씩 21개 구역으로 나누어 공사가 완료되었다.

2015년 11월 1일부로 전남 신안군도 일부 섬 지역이 제한급수에 들어갔다. 같은 날 현재 경북 안동댐과 임하댐의 저수율이 30% 초반이며 봉화군에서는 제한급수 범위를 넓힐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안상수 새누리당 인천시당 위원장은 "강화의 경우는 지금 물이 전혀 없다. 저수지 (담수율) 0% 상황"라고 했다.

3.2 국외 제한급수

주로 몬순성 기후나 지중해성 기후인 나라들에서 연례행사처럼 일어나고, 서유럽이나 일본처럼 난류의 축복을 받는 지역들은 드문 편이다.

3.2.1 2015년 제한급수

밴쿠버에서 제한급수를 실시했다. 우리나라보단 상대적으로 체계적인 제한급수를 실시한다고 한다.[2] 제한급수 때문에 창문 청소 업체는 제한급수가 실시된 7월 이후로 매출이 75% 이상 떨어졌다고 한다.청소업체 다 죽겠다, 이놈들아! 게다가 물을 규제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가정을 신고하는 이웃이 늘어나 위반 사례를 신고한 횟수가 작년에 116건이었던 반면, 올해는 2080건으로 늘어났다고.

4 관련 문서

  1. 더울때만 비가 오는 한반도 특성상 안 일어나는 해가 거의 없었다. 수도권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2. 일반적 물 사용 제한은 물론 심지어 가정에서의 세차,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잔디에 물주기까지도 제한을 받는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