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종류대통령 선거
(대선)
국회의원 선거
(총선)
지방선거
(지선)
재ㆍ보궐 선거
(재보선)
국민투표
최근 선거18대
2012년 12월 19일
20대
2016년 4월 13일
6회
2014년 6월 4일
2016년
2016년 4월 13일
1987년
1987년 10월 27일
차기 선거19대
2017년 5월 9일
21대
2020년 4월 15일
7회
2018년 6월 13일
2017년 4월
2017년 4월 12일
(예정없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1950년 5월 30일1954년 5월 20일1958년 5월 2일
제2대 국회의원 선거제3대 국회의원 선거제4대 국회의원 선거

1 개요

1954년 5월 20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투표율은 91.1%를 기록했다.

2 배경

지난 선거 직후 6.25 전쟁이 발발했고 휴전 협정의 결과 일부 의원들의 지역구는 북한령이 되었으며, 일부 지역의 경우 지역구 대부분이 북한령이 되었다. 옹진군선거구 갑구는 백령대청도만 남았고 을구는 연평도만 남았으며, 연백군, 개성시, 개풍군은 아주 북한땅이 되었고 장단군 선거구도 남은 지역이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어 주민이 없었다. 옹진군의 경우 합구하여 단일 선거구로 다음 선거를 치르는 안도 논의되었으나 무산되고 이들 지역의 국회의원은 자리가 붕 뜨게 되었다. 결국 선거를 치를 수 없는 이들지역의 국회의원의 임기를 연장하는 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었으나 헌법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거부권이 발동되었다. 한편 강원도와 연천군의 수복지구에 행정권 회복이 늦어져 휴전선 이남의 전지역에 대한 선거는 1958년 4대 총선부터 치러졌다.

이전 총선에서 참패한 이승만 세력은 기존의 대한독립촉성국민회를 버리고 자유당을 창당해 선거에 참가했다. 처음으로 공천제가 등장했으며 10대 1을 넘어섰던 지난 선거의 비정상적인 경쟁률이 약간은 완화되어 5.9대 1을 기록했다. 군소정당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 총선에 참여한 정당은 14개였으며 무소속 당선자의 비율이 줄어드는 등 여러 모로 정당정치가 안정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선거였다.
2대국회에서 야권이 다수의석을 차지하자 야권의 내각제개헌안을 놓고 국회를 제압한 이승만대통령은 자유당과 경찰에게 총선의 개헌선 확보를 지시하여 3대 총선은 이른바 경찰의 곤봉선거,몽둥이 선거로 불리게 된다.
경찰이 범죄혐의로 체포한 사람만 3,400명에 달했고,반이승만 성향후보들에 대한 선거입후보 서류날치기,선거인들에 대한 고문이 극에 달하였다.
국무총리 서리를 역임했던 허정의 회고를 보면 경찰이 허정씨의 선거를 도와주던 사람을 연행하여 고문을 가해서 끝내는 죽음에 이르게 하니,결국 출마를 포기했다고 한다.국무총리를 역임했던 허정이 이정도 였으니 다른 반이승만 후보들을 장난이 아니었다.
조봉암같은 경우는 대통령선거를 도와주던 김성주가 불법으로 고문당하다가 원용덕 소장집에서 살해당하고,선거서류마저 날치기 당하고,후보등록조차 거부당했다.마지막 방법으로 이기붕지역구에 막판에 서류를 내었으나 등록을 거부당했다.
국회의장이던 신익희도 공작을 받았으나,선거구민들이 가상으로 최인규가 이긴다고 답하고,나중에는 신익희에게 몰표를 주어서 당선시켰다.
이시기 야권 국회의원들의 출마를 막는 곤봉선거에서 이승만의 부산정치파동에서 대거 노력을 한 청년단체 임원들과 친일파 출신 인사들이 3대 국회에서 대거 출마한다.1949년 양민을 학살해서 1960년 1공화국 붕괴이후에 학살과 갈취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었던 이협우도 3대때 출마한다.(최종 무죄)

3 결과

6.25 전쟁이 끝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았던 터라 반공주의와 국가 재건의 슬로건을 내건 이승만의 자유당이 지난 총선에 비해 크게 약진해 다수당을 차지하였다. 총 의원 수 203명 중 56.2%에 해당하는 114명이 자유당으로, 과반을 차지했으며 제 2당인 민주국민당은 오히려 의석을 잃어 위축되었다. 여전히 무소속 의원이 67명으로 상당히 많았으나 2대 총선 때보다는 많이 줄어든 것이었다.

또한 이 선거부터 여촌야도의 구도가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다수당인 자유당이 서울특별시에서는 총 16개 의석 중 5개밖에 차지하지 못했다. 그 외 영남호남에서 크게 고전하여 개헌 가능 의석수인 136석을 확보하는 데에는 실패하였다.

그러나 무소속 중에는 친이승만계 의원이 상당히 많았기 때문에 후에 이승만 측에서 이들을 끌어들여 사사오입 개헌을 시도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