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와이외즈

tumblr_mla6ohJKuf1rrjmgoo1_1280_zps0aeb21e6.jpg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 중인 주와이외즈

주와이외즈(Joyeuse)는 8~9세기 유럽의 전설적인 왕 샤를마뉴의 이다. '주와이외즈'는 프랑스어로 '환희, '환희로운'이라는 의미이다.

1 전설 속의 주와이외즈

전설에 따르면 주와이외즈의 폼멜(Pommel)[1]에는 성창의 날조각이 봉입되어 있다고 하며, 샤를마뉴의 12기사롤랑의 검 뒤랑달오지에 르 다노아의 검 코르탱과 동일한 재료로 벼려졌다고 전해진다.

11세기에 쓰여진 무훈시 《롤랑의 노래》에서는 이 검에 대해 이와 같이 묘사하고 있다.

샤를마뉴는 하얗고 아름다운 사슬 갑옷을 입고 금으로 장식한 보석이 박힌 투구를 쓰고 있다.

그의 옆에는 그 어떤 다른 검도 필적할 수 없는 주와이외즈가 걸려있고
그 검은 하루에 서른 번씩 그 색을 바꾸었다.

Charlemagne was wearing his fine white coat of mail and his helmet with gold-studded stones;
by his side hung Joyeuse, and never was there a sword to match it;
its colour changed thirty times a day.

불핀치가 정리한 판본에 따르면 샤를마뉴는 오지에 르 다누아를 기사로 서임할 때 주와이외즈로 어느 사라센 사령관의 목을 베었다고 한다.

사라센의 장군으로 나오는 발리강[2]은 '고귀한', '귀중한'이라는 뜻의 '프레시외즈(Précieuse)'라 명명한 검을 가지고 있었는데, 샤를마뉴의 검명을 듣고는 열폭하여 그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이러한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2 역사 속의 주와이외즈

샤를마뉴의 주와이외즈라고 '인정받은' 검이 하나 있는데, 이 검은 대대로 프랑스 왕의 대관식에 사용된 (영국에서의 커타나처럼) 왕권을 상징하는 검으로써 자리매김했다. 1270년 용맹왕 필리프 3세의 대관식에 쓰인 사례가 최초이고, 1824년 샤를 10세의 대관식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대관식에 쓰이지 않았다고 하며, 그 외에도 역대 프랑스 국왕들의 초상화에서 주와이외즈를 찾아볼 수 있다. 최소 1505년 즈음부터 생 드니 대성당에서 보관되어 왔으나 1793년에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오늘날까지 보존된 '이 주와이외즈'는 수세기 동안 대관식에 쓰이는 검으로써 쓰여왔는데, 이 검은 오케쇼트가 정의한 도검 유형 중 10세기의 것인 열두 번째에 속하는 형태[3]라고 한다.

가이 레이킹[4]이 이 검의 제작 시기를 13세기 초로 추정한데 반해, 마틴 콘웨이[5]는 이 검이 샤를마뉴가 쓰던 진품이라는 가능성 하에 9세기 초 경에 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몇몇 사람들은 심지어 180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대관식에서 이 검을 지참할 때 진품과 모조품이 맞바꿔졌다는 주장까지 제기했을 정도.

루브르 박물관 공식 사이트에서는 "파멀은 10세기에서 11세기, 크로스가드는 12세기, 손잡이는 13세기에 제작되었다."고 명시하고 있다. 샤를마뉴는 8세기~9세기 사람이니, 저 검은 역시 전설의 실물이 아닌 모조품이란 이야기가 된다. 그렇다고 해도 귀한 유물이기는 하다. 샤를마뉴가 안 썼다 뿐이지 천 년에 가까운 오랜 세월 동안 대관식에 사용되어 왔으니 역사적 가치는 물론 미술적으로도 상당한 가치를 지니고 있을 것은 분명하다. 천년검

3 기타

프랑스 아르데슈 주에는 주와이외즈라는 지명이 있는데, 아마 이 검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주와이외즈는 전쟁 중 유실되었다가 어느 기사에 의해 회수되었는데, 샤를마뉴가 이에 감사의 의미로 그 기사에게 영지를 내려 영지의 이름을 주와이외즈라 한 것이 그 유래라고 한다.

4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Joyeuse

5 관련 항목

  1. 도검류에서 칼자루 끝에 달려있는 부품. 손에서 칼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걸림턱 역할을 하며, 보조적으로는 장식이나 무게추 역할도 한다.
  2. 롤랑의 노래에서 샤를마뉴와 대척점에 놓여있는 자로 묘사된다. 나이가 많았지만 검에 매우 능숙해 샤를마뉴와 일기토에서 호각을 다퉜지만, 가브리엘 천사의 버프도움을 받은 샤를마뉴에게 끔살.
  3. 칼날이 끝으로 갈 수록 점점 송곳처럼 뾰족해져, 찌르기 공격의 위력을 올린 반면 절삭력 또한 유지시킨 형태이다. 전형적인 예시 이미지는 이 정도. 혹은 상단의 주와이외즈 이미지를 참고해도 좋다. 2008BU3764_jpg_l_zps9c915478.jpg
  4. Sir Guy Francis Laking(1875.10.21.~1919.11.22.). 영국의 미술 사학가.
  5. Sir Martin Conway(1856.4.12.~1937.4.19.). 영국의 정치가, 산악가, 예술 평론가, 지도 제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