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高母音 / Close-mid vowel[1]
모음 분류 | |||||||||||||||||||||||||||||||||||||||||||||||||||||||||||||||||||||||||||||||||||||||||||||||||||
혀 높이 | 고모음 | 근고모음 | 중고모음 | 중모음 | 중저모음 | 근저모음 | 저모음 | ||||||||||||||||||||||||||||||||||||||||||||||||||||||||||||||||||||||||||||||||||||||||||||
혀 기울기 | 전설 | 근전설 | 중설 | 근후설 | 후설 | ||||||||||||||||||||||||||||||||||||||||||||||||||||||||||||||||||||||||||||||||||||||||||||||
입술 모양 | 원순 | 평순 |
목차
1 개요
파일:Attachment/mo eum pyo 1.png
혀의 높이를 중간보다 살짝 높게 해서 발음하는 모음.
2 조음 방법
2.1 전설 평순 중고모음
/e/로 표기.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모양을 평평하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모음 보다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원칙적으로 ㅔ가 이 발음이나 'ㅐ'(/ɛ/)와 합쳐지면서 중모음 /e̞/로 음가가 변화하고 있다. 비슷한 현상이 프랑스어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반면 이 음가를 철저하게 유지하는 일부 언어들(독일어, 스웨덴어 등)의 경우 /ɛ/와의 구별을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아예 고모음 /i/처럼 들리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특히 장모음 /eː/, 들어보자) 심하면 네덜란드어의 경우처럼 이중모음 /ei/같이 나오기도 한다.
영어에서 see, fee처럼 'ee'로 표기되는데 /iː/로 발음되는 단어들은 원래 이 음가였다가 대모음추이를 거치면서 아예 조음점이 올라간 것이다.
2.2 전설 원순 중고모음
/ø/로 표기.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모양을 둥글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모음 보다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단모음 ㅚ의 음가다. 남한에서는 ㅚ를 이 발음 대신 이중 모음 /we/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지만 북한에서는 아직도 ㅚ를 이 발음이 아니라 /we/[2](으)로 한다.
또한, 독일어에서 쓰이는 글자인 Ö의 음가이기도 하다.
2.3 중설 평순 중고모음
/ɘ/로 표기.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뺀 뒤 입술모양을 평평하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모음 보다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일부 한국어 방언에서의 ㅓ의 음가로 발현되곤 하며, 몇몇 지역의 영어 방언[3]에서도 볼 수 있다.
2.4 중설 원순 중고모음
/ɵ/로 표기. 번데기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뺀 뒤 입술모양을 둥글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모음 보다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얼핏 들으면 'ㅓ'와 'ㅗ'의 중간발음처럼 들리는데, 동 위치의 평순 모음과 마찬가지로 오세아니아 영어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무성 치 마찰음 /θ/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으니 주의.
2.5 후설 평순 중고모음
/ɤ/로 표기.
혀의 최고점을 뒤로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모음 보다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얼핏 들으면 'ㅓ'와 'ㅡ'의 중간발음처럼 들리는데, 'ㅡ'에 비해서 둔탁한 소리다. 서남 방언 등 일부 한국어 방언에서의 ㅓ의 음가로 발현되곤 한다. 웃음을 찾는 사람들의 예전 코너 화상고에서 김기욱의 유행어로 '흝짜'가 있는데 들어보면 '허이짜'와 '흐이짜'의 중간발음처럼 들린다. 아마도 '흝짜'를 [hɤl.t͡ɕ͈ɐ]로 발음하는 모양.
유성 연구개 마찰음 /γ/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으니 주의.
2.6 후설 원순 중고모음
/o/로 표기.
혀의 최고점을 뒤로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여 혀의 위치를 중모음 보다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의 ㅗ에서 이 발음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