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母音 / Close vowel
모음 분류 | |||||||||||||||||||||||||||||||||||||||||||||||||||||||||||||||||||||||||||||||||||||||||||||||||||
혀 높이 | 고모음 | 근고모음 | 중고모음 | 중모음 | 중저모음 | 근저모음 | 저모음 | ||||||||||||||||||||||||||||||||||||||||||||||||||||||||||||||||||||||||||||||||||||||||||||
혀 기울기 | 전설 | 근전설 | 중설 | 근후설 | 후설 | ||||||||||||||||||||||||||||||||||||||||||||||||||||||||||||||||||||||||||||||||||||||||||||||
입술 모양 | 원순 | 평순 |
1 개요
파일:Attachment/mo eum pyo 1.png
혀의 높이를 가장 높게 해서 발음하는 모음. 때문에 혀가 입천장에 닿을락 말락하게 턱을 거의 내리지 않고 발음한다. 이보다 혀의 높이가 높으면 공기 흐름에 장애가 일어 자음이 된다.
2 조음 방법
2.1 전설 평순 고모음
/i/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ㅣ에서 이 발음이 난다. 이것의 접근음이 바로 /j/이다.
구개음화의 주범
2.2 전설 원순 고모음
/y/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ㅟ가 이 발음이 난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고 있다.[1] '쉬'라는 글자를 발음하다 보면 ㅅ이 '시'의 ㅅ과 같은 음가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ㅟ가 이 발음이 나면서 앞의 ㅅ을 구개음화시키기 때문이다. (/sy/ → /ɕy/)
이 발음의 접근음은 /ɥ/인데 한국어에서도 특정 단어에서만 드물게 발음된다. 자세한 사항은 양순 경구개 접근음 참조.
한편, 프랑스어에도 이 음가를 갖는 모음(u)이 있다. 그래서 이 음가를 한국어로 옮길 때 ㅟ로 옮긴다. (예: 데뷔, 뷔페, 튀니지...)
독일어나 터키어, 에스토니아어, 헝가리어 등의 ü나 핀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등의 y도 이 모음을 나타낸다.
그 외 중국어의 l/n + ü, j/q/x + u도 이 발음이 난다.
2.3 중설 평순 고모음
/ɨ/로 표기한다. 취소선이 아니다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뺀뒤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그러니까 쉽게 말하자면 ㅢ의 단모음 버전 한국어에서는 ㅡ가 이 발음이 나며 러시아어의 ы에서 이 발음이 난다. 간혹 어떤 이는 /i/로 소리내야 할 것을 /ɨ/로 소리내는 경우가 있다. 예시: 씹부자 [ɕip. ̊bu.d͡ʑa] → [sɨp. ̊bu.za], 의정부 [ɰid͡ʑəŋbu] → [ɨd͡ʑəŋbu]
2.4 중설 원순 고모음
/ʉ/로 표기한다. 이것도 취소선이 아니다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뺀뒤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폴란드어에서 /u/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연음(구개음화된 자음) 뒤에 u, ó(u랑 동일 발음)가 오면 /ʉ/로 소리난다. 예시) miód(꿀) /mʲjʉt̪/
2.5 후설 평순 고모음
/ɯ/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뒤로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일본어의 う단이 이 발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발음의 접근음은 ㅢ의 ㅡ발음을 내는 /ɰ/이다. 연구개 접근음 참조.
2.6 후설 원순 고모음
/u/로 표기한다. 혀의 최고점을 뒤로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ㅜ에서 이 발음이 난다. 독일어에서는 u가 이 발음을 내며 영어 단어 soon의 oo가 이 소리를 장음으로 낸다. 이것의 접근음이 바로 /ʍ/,/w/이다.- ↑ 사실 이 발음도 우리나라에서는 근대국어에서부터 나타난 발음이다.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발음이지만 사라지는 것도 매우 빨리 사라지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