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

(지상파에서 넘어옴)

사기업이나 정부 권력이나 특정 정파에 구애받지 않는 방송국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공영방송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시청률에 개의치 않고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일에 대해서는 공공방송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공중에서 쏘는방송에 대해서는 위성방송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terrestrial broadcasting

흔히 지상 전파를 써서 방송하는 텔레비전, 라디오, DMB 방송국 또는 그 채널을 가리키는 말. 흔히들 지상파 방송을 공중파(公衆波)라고도 부르는데 여기서 말하는 공중파는 sky wave가 아니라 public TV를 말한다. 즉, 공공재의 성격을 갖고 공중(公衆)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부르는 말이지만 기술적인 의미의 공중파(sky wave)와 혼동될 위험이 있다. 공중파라고 해도 다들 알아듣긴 하지만 가능하면 지상파라고 쓰자. 위성방송도 공중에서 쏘니까... 특히 방송사 입사나 언론 관련 대학원 진학 등으로 방송을 공부하고자 한다면 절대 공중파라고 쓰지 말자.

일반적으로 지상파 방송은 기본적으로 안테나만 달면 시청할 수 있다.[1] 따라서 유선, 케이블 등 여러 형태의 방송 중 국민들이 가장 많이 보는 방송이며, 국민에게 파급력이 높기 때문에 흔히 공공재로 취급되며 공익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지상파 채널에 대해 긴급재난 자동자막 송출 기능을 갖추도록 지시하였다(단 EBS는 포함, OBS는 제외되어 있다.). 케이블 방송에서는 허용될 정도의 방송 수위라도 지상파 방송에서는 금지되거나 터부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똑같은 사실 보도라도 지상파 방송에서의 보도와 케이블에서의 보도는 그 취급이 다르다. 나라에 따라 공영 민영 가리지 않고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내보내도록 하는 등의 조건을 달아 지상파 방송사 개국을 허가한다.

그리고 지상파는 전파 자원의 한계 때문에 채널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지상파 방송사는 TV와 라디오를 통틀어 KBSMBC, EBS 등의 공영방송(국영방송), 그리고 SBS를 포함한 지역민방종교방송 정도가 있다.

2 범위

지상파 방송은 종합 편성으로, 뉴스, 드라마, 예능, 시사교양, 어린이 프로그램 등 모든 분야의 TV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물론 외국에 가면 아날로그 시절부터 특정 장르에만 집중하는 방송국이 있긴 하다.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종합편성채널 항목 참고. 종합편성채널은 지상파 방송과 동일한 범위의 프로그램 편성이 가능하지만 '유선, 케이블 등에 가입한 가구만 시청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다.

한국의 지상파 방송에서는 중간광고가 허용되지 않는다.(스포츠 중계 방송은 제외) 또 대한민국에서는 지상파 방송 난시청 문제가 꽤나 심각한 편.

3 케이블/위성 재전송 문제

지상파 방송을 원하는 시청자들이 많기 때문에 이들을 위해 케이블 방송사에서는 지상파 방송을 틀어줘야 하는데,[2] 지상파 방송사들에게 재송신료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지상파 방송국과 문제가 생겼는지 2012년 1월 16일 월요일부터 며칠간 케이블 방송사들이 지상파 방송인 KBS 2TV의 재송신을 중단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에 관련해서는 케이블방송 항목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그쪽을 참고할 것.

위성인경우 2005년말까지 지방에 거주하면 스카이라이프에서 MBC와 SBS(와 지역민방)[3]를 시청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관련해서는 스카이라이프 항목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그쪽을 참고할 것.

IPTV인 경우 2008년이 되서야 지상파 재송신이 허용되었다. 이에 관련해서는 IPTV 항목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그쪽을 참고할 것.

2016년 들어서 다시 해당 논란이 재연되고 있는 양상이다.

우선 위성방송에 대해 가입자상 재송신료(CPS) 협상에 대해 지상파는 셋톱박스 단자수를, KT스카이라이프는 가구수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했고 서로의 입장차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원래는 2016년 10월 2일부터 MBC, 10월 8일부터 나머지 두 지상파 방송에서 송출중단을 하려고 했으나 방통위의 바뀐 법으로 인해 1개월 정도로 미뤄진 상황이다. 내달 위성방송 지상파 블랙아웃 현실화될까(종합)

케이블방송 또한 마찬가지 상황이다. 이쪽은 CPS의 가격인상을 두고서 2015년부터 소송전까지 들어간 상황이다. 소송전에서 지상파 방송이 2심까지 패한 상황이지만 여전히 굽히지 않고 가구당 280원에서 400원으로의 인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2016년 10월 8일 부터는 소송중인 CMB와 개별 SO에 대해서 신규프로그램의 VOD 공급을 중단하기도 했다.

4 여담

유독 한국의 지상파 방송에서 서브컬처에 대한 멸시가 매우 심하다. 아침마당에서 이금희임요환한테 게임중독자로 몰아가는 인터뷰 사건, 출발! 드림팀에서 원래 프로게이머팀이 이겼는데 재미없다고 다시 녹화한 사건,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에서 성우가 되고싶다는 고민 부분에서 성우 직업에 대해 엿먹인 사건 등등.

또한 일본 음악 중 일본어 보컬이 들어있는 곡은 방송이 어렵다.[4] 다만 KBS 한민족방송에서 일본어 노래를 틀어준 적이 있긴 하다

프로야구 개막전이나 포스트시즌 경기 등을 중계하기도 하는데 스포츠채널의 중계에 비하면 확연히 카메라 무빙이 딸려서 팬들에게 욕을 먹는다.
  1. 유료 채널을 암호화된 지상파 신호로 방송하는 방법이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발달되어 있다.
  2. 이를 '재송신'이라고 한다.
  3. KBS 2TV는 무단으로 송출하다 걸려서 벌금을 물었지만 다행히 중단하진 않았다.
  4. 제 4차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후로 방송가능. 다만 이건 일본 음악에 대한 인기나 국민정서, 혹은 이에 관한 방송국의 내규에 관한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