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2TV


한국방송공사의 송출 채널
라디오 방송중파
초단파
제1라디오제2라디오 (Happy FM) ‧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 방송)
제1FM (Classic FM) ‧ 제2FM (Cool FM) ‧ 한민족방송
EBS FM
단파월드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지상파
DMB
1TV (U-KBS STAR) ‧ 2TV (U-KBS HEART)
EBS 1TVEBS 2TV
인터넷KBS 24
폐지된 방송라디오서울KBS 3TV교육 FM
† 위탁송출

1 개요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채널 중 하나.

원래는 동양방송(TBC)으로, 전두환이 주도한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동양방송에서 KBS로 넘어간 채널이다. 1TV와 달리 보도, 시사교양 프로그램은 적고 예능, 드라마 프로그램의 편성 비중이 높으며, 광고방송을 하다보니 짙은 상업성이 특징이다.[1] 보도, 교양 프로그램은 기존의 KBS TV채널이었던 KBS1에서 전적으로 담당하고 있었기에, 1990년대 중 ~ 후반까지만 해도 KBS2에서 뉴스 프로그램의 편성 비율은 적었고 심지어 각종 대형사건 및 중요 행사와 관련하여 다른 지상파 방송국들은 뉴스속보나 생중계를 내보내는데 혈안이 되는 시점에서도 정규방송을 당당하게 방송해 주는 얼마 안되는 지상파 채널이었다.[2] 그래서 이 당시에 KBS2는 전쟁이 나도 드라마나 쇼프로를 방송 해 줄 거라는 우스갯 소리가 돌기도 했다. TV 도쿄?

하지만 과거에는 의외로 데일리(일일) 시사 프로그램은 상당 기간 방영했다.[3] 그렇지만 2010년대 이후에는 완전히 아오안이다. 그 이유는 KBS 내에서 윗분들이 이사회와 가장 윗분들의 눈치를 보다보니 기동취재 현장, 생방송 시사투나잇, 시사 360같이 국내 이슈를 다루는 데일리 시사프로그램 신설은 꺼리고 있는 상황이고 그렇다고 해외 이슈를 다루는 생방송 세계는 지금,[4] 특파원 현장보고를 데일리 시사 프로그램화하기에는 "예산이 없음+글로벌 24와 컨셉이 비슷함"크리 때문에 신설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후문이 있다. 게다가 2TV의 저녁 메인뉴스도 같이 나가리행ㅋ

1990년대 중 ~ 후반 당시 중간 중간에 광고료 처먹을려고[5] 일반뉴스 프로그램은 많이 편성했지만, 메인뉴스 프로그램은 주말에 편성되지 않는 건 물론이고 방송 분량이 고작 15분밖에 없는 경우[6]도 있었다. 당시 KBS1에서 방영 중인 뉴스광장, 뉴스 9는 물론이고 뉴스네트워크, 뉴스라인, 심지어 935 뉴스, 뉴스 5보다도 방송 시간이 적었다.(...)

2010년대 이후 뉴스 보도 프로그램이 나오지만 뉴스특보를 대부분 자막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7] 또 광복절 기념식 같은 기념식 중계 등도 KBS1, SBS, MBC 등의 3개 채널들이 중계를 하는데, KBS 2TV와 EBS는 그대로 정규방송을 이어간다. 단, 2014년 4.19 혁명 기념식 생중계 방송은 뉴스특보 방송관계로 2TV에서 방영되었다.

2 편성

오락, 뉴스, 드라마 시사교양을 골고루 편성해주지만 오락과 드라마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스포츠 프로그램 같은 경우는 KBO 리그[8]월드컵, 여자월드컵, U-20 월드컵, U-17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 평가전, 아시안게임, 하계올림픽, 동계올림픽 등 인기 스포츠와 올림픽과 아시안게임의 경우, 관심도가 높은 경기 위주로 편성한다.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당시 개막식이나 폐막식은 주로 1TV이지만 2TV에 편성되는 경우도 있다. 뉴스 프로그램은 평일 기준으로 KBS 아침뉴스타임, 지구촌 뉴스, KBS 2시 뉴스타임, KBS 6시 뉴스타임, KBS 글로벌 24가 끝[9]으로 거의 편성되지 않는다. 2시 뉴스타임이 유일한 일반 스트레이트 뉴스로 주말에는 뉴스 편성이 없다.[10]

3 역사

한국방송공사/역사 문서 참고.

1980년 11월과 12월, 광주민주화 운동과 서울의 봄을 유혈진압한 전두환 정권이 보다 효과적인 언론통제를 위해 전면적으로 언론통폐합을 단행했다.[11] 이로 인해 933명의 언론인들이 해직당하고, 236개의 정기 간행물이 등록 취소 당했으며, 거기에 CBS의 보도기능과 상업광고가 폐지되었고, TBC, DBS가 KBS로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KBS는 TV채널 2개,[12] 라디오 채널 7개를 가져 초 거대 방송사로 등극하였고, 이에 따라 기존 TBC-TV는 KBS-2TV로 명칭을 변경했다.

초기의 KBS 2TV는 지금과 달리 KBS 3TV(현 EBS TV)가 개국하기 전까지는 교육방송에 큰 비중을 두었다. 하지만 KBS 3TV가 개국한 이후에는 오락 프로그램의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1980년대 당시에는 KBS 1TV처럼 별도의 NEXT 영상이 존재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엔딩 영상이 나온 후에 이어서 OOO가 방송됩니다라는 안내멘트가 뜨지 않은 채 그대로 광고가 나오고 광고 - 공익광고, 프로그램 예고 - ID영상 - 다음 프로그램의 시작 순으로 EBS 1TV의 광고 방식과 유사하다. NEXT 영상이 등장하게된건 1991년부터로 추정된다.

1993년 가을부터는 KBS 전체의 상징색을 녹색으로 하였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KBS 로고가 녹색인 건 이 때문이다. 1994년 10월 1일 KBS 1TV의 광고가 폐지된 이후, KBS의 TV 광고는 2TV가 전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이 때문인지 가끔가다 수신료를 올리고 KBS 2TV의 광고를 폐지하는 방안이 나오곤 한다. 떡밥? 하지만 이는 정치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인지 실현 된적은 한 번도 없다. 또한 이 시기에는 KBS2의 로고를 화면 오른쪽 상단에 흐릿하게 보이게 하기도 했다.

2003년부터 '젊은 채널'이라는 슬로건[13]을 내걸고, 비, 장나라 등 젊은 가수들이 로고송을 만들었으며, 오렌지색 공모양의 KBS가 그려진 마스코트를 요즘엔 드물게 나오지만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14] 이와 더불어 2TV의 상징색이 오렌지색 계열로 고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지금은 케빗으로 나오는데 케빗(Kebit)은 콘텐츠를 흡수하기위해 지구로 내려온 우주 생명체이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는 '다함께 KBS2'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2016년 9월에는 가을 개편으로 'TV는 2TV가 재밌습니다' 또는 'TV는 eTV가 재밌습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4 로고송

  • 1980년대 중반에는 'KBS KBS 제2텔레비전~'이라는 로고송이 사용되었다. 1994년에 사용한 로고송과는 다르다.
  • 1980년대 후반부터 1992년까지는 "사랑과 기쁨이 솟는 KBS 제2텔레비전", "즐겁고 유익한 TV KBS 제2텔레비전"이 사용되었다.
  • 1988년 하반기에 KBS 1TV와 함께 여성 합창단이 부른 "1988년 서울올림픽을 세계에 보여주는 우리의 K-B-S-"를 사용하였다.
  • 1992년부터 1993년까지는 예전 라디오 방송시작멘트에도 쓴적 있었던 'KBS의 노래' 마지막 부분 멜로디로 사용하였다.
  • 1993년부터 1994년 11월까지는 "KBS KBS~ 제2텔레비전~"이 사용되었다.
  • 1994년 11월부터 2001년 3월 2일까지는 혼성 중창단이 부른 "좋은 방송 밝은 세상 KBS"가 사용되었다.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초반 출신자들은 다들 기억할만한 로고송이다. 디지몬 어드벤처 시작하기 전에 나왔다.
  • 2001년 3월 3일부터 2003년 6월 22일까지 공식김수철이 작곡한 혼성 중창단이 부른 "좋은 방송 밝은 세상 KBS 한국방송"이 사용되었다. 그 이유는 공식 약칭이 'KBS'에서 'KBS 한국방송' 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 이전에는 KBS 혹은 KBS 한국방송공사 라고 풀네임을 읽었다. 파워디지몬 시작하기 전에 나왔다.
  • 2003년 6월 23일부터 2006년까지 박진영이 작곡한 "KBS KBS KBS 한국방송"이 사용되었다. 대한민국의 가수 가 부른 것, 장나라가 부른 것, 옥주현이 부른 것, MC몽이 부른 것이 따로 있으며, 두 음악의 뒤에는 아역 배우 정채은의 "사랑해"음성이 있다. 현재도 일부 지역 방송국에서는 같은 음악에 정채은의 목소리가 없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15] 웬만한 사람들은 이 로고송은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사실 현재 사용 중인 로고송도 이것을 변형한 것이다. 원피스 시작하기 전에 나왔다
  • 2008년부터는 앞서 1TV가 2000년대 초반부터 《KBS 뉴스 9》 직전에 내보내는 음악("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을 편곡하여 장나라가 부른 것을 1TV와 2TV가 같이 사용하고 있다.
  • 2011년 에서 2012년까지 로고송 없이 프로그램 홍보영상을 송출했다. 다만 DMB채널인 U-KBS HEART에서 "KBS 한국방송 KBS 한국방송 U-KBS HEART" 로고송을 사용하고 있다.
  • 2012년 4월 2일 이후에는 프로그램 안내 영상이 나오면서 KBS에서 자체 제작한 음악이 나온다.
  • 2014년 12월에 슬로건을 '다함께 KBS2'로 바꾼 이후부터 로고송이 달라졌다. 터닝메카드 시작하기 전에 나왔었다.
  • 2016년부터 2014년판 KBS2 시그널과 기존 홍보 영상이 혼재되어 쓰이고 있다.
  • 2016년 10월 10일 이후에는 다른 로고송으로 바뀌었다.

5 NEXT 영상

자세한 내용은 추가 바람.

KBS2 NEXT 영상 안내멘트에서는 '~이(가) 방송됩니다'를 사용할 때도 있고 '~을(를) 시청하시겠습니다'를 사용할 때도 있다.[16]

6 개별 디자인 관련

KBS2는 다른 채널[17]과 달리 제공자막 디자인[18]이 프로그램마다 전부 다르고[19], 프로그램 방송 중 좌측 상단에 프로그램 정보(프로그램 로고)가 없는 프로그램도 가끔식 있다.[20] [21] 1993년부터 2003년까지는 흰색 바를 두고 그 옆에 엑스포체로 제공을 알리는 자막이 통일되었다. 한 프로그램당 제공자막 디자인이 2개 이상인 프로그램도 있다.[22] 위에 설명이 되어있듯이 제공을 붙이지않고 광고주만 나열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제공자막에 프로그램 로고를 붙히는 경우도 있다.[23]

시청등급고지화면 디자인의 경우 2013년까진 각 프로그램 전용 개별 디자인을 사용하다가 2013년 10월 중순부터 KBS에서 직접 만든 통일 등급고지영상이 도입되었는데[24], 드라마[25]나 극히 일부 예능 프로그램[26]을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 있고 시청등급고지화면이 없는 프로그램도 있다.[27] 2015년부터 KBS의 디자인이 전체적으로 바뀌면서 등급고지 역시 바뀌었다.

참고로 낮에 편성되는 애니메이션의 경우 오프닝과 본편 사이에 광고가 없는 경우에 한해 1TV와 동일한 편성 방식(오프닝 전에 등급고지영상부터 내보내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가끔 오프닝이 시작하자마자 채널 로고(워터마크)와 등급마크를 송출하는 경우도 있다 (e.g. 터닝메카드 40화).

7 주요 방송 프로그램

8 종영 프로그램

  1. KBS 2TV의 제공자막 표시는 타방송과 달리 가끔 몇몇 프로그램(영화가 좋다, 영상앨범 산, TV유치원, 생활의 발견(재방송), 동네스타, 사람과 사람들(재방송) 등)을 제외하고 '제공'이라는 제목 글자를 표시하지 않고 광고주만 나열하는 것이 특징이다. 80년대부터 전통적으로(?) 이어진 일인데, 옛 동양방송 시절에는 '제공'이라는 글자를 표시했다. 옛 KBS 1TV 광고는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별도의 제공자막 표시를 하지 않았다.
  2. 다른 하나는 EBS.
  3. 기동취재 현장, 생방송 세계는 지금 - 생방송 시사투나잇- 생방송 시사 360 - 생방송 세계는 지금.
  4. 원래는 데일리 시사 프로그램이었다.
  5. 토막광고는 시간당 2회씩 가능하기에 일반뉴스 프로그램을 편성하면 광고료를 챙겨먹을 수 있다.
  6. 1996년 가을개편 이후의 KBS 뉴스비전, KBS 뉴스 8(1997년).
  7. 단, 예외적으로 2009년 노무현 대통령 사망 때 2TV에서도 뉴스특보를 방영한 전례가 있고 2014년 세월호 참사로 인해 KBS 뉴스 9, KBS 뉴스라인을 1TV와 동시 방송한 전례가 있다. 9.11 테러 때도 KBS 뉴스라인, "생방송 세계는 지금"의 방송 후에 1TV와 함께 뉴스특보를 방영한 바 있다.
  8. 평일 저녁 경기를 타 방송사에서는 포스트시즌 때만 편성하는데 반해 KBS2에서는 정규시즌 경기를 가끔 편성하기도 한다. (2012 시즌 LG-SK전/롯데-삼성전, 2013 시즌 SK-삼성전, 2014 시즌 두산-LG전, 2015 시즌 한화-KIA전, 2016 시즌 KIA-NC전 등)
  9. 보도 프로그램 전체로 넓혀도 스포츠 하이라이트가 끝이다.
  10. 보도 프로그램 전체로 넓혀도 KBS 재난방송센터가 끝이다.
  11. 물론 겉으로는 사이비 기자 퇴치, 방송공영화를 내세웠다.
  12. KBS 3TV와 KBS 교육FM은 1981년 2월 2일에 개국했다.
  13. 요즘에는 잘 쓰지 않는다.
  14. 2015년 이전에는 방송시작영상에서 볼 수 있었으나, 2015년 이후로 애니메이션 풍으로 약빨게 리뉴얼 되어 현재 방송순서영상에만 나온다.
  15. 일부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사용하였다.
  16. 참고로 SBS는 '~이(가) 방송됩니다'를 사용하고 MBC는 '~을(를) 보내드립니다'를 사용한다
  17. SBS, MBC, JTBC(?)
  18. 광고가 없는 KBS1는 제외.
  19. 스포츠 하이라이트와 비바K리그는 같은 디자인을 사용한다.
  20. 드라마는 모든프로그램이 방송중 좌측 상단에 프로그램 로고가 없고, 예능은 거의다 있다.
  21. 마찬가지로 '이 프로그램은 간접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디자인도 프로그램마다 모두 다르다.
  22. 2TV 생생정보, 영화가 좋다.
  23. 프로그램 로고와 제공을 같이 붙이는 프로그램은 아직 없는 것 같다.
  24. 이는 1TV도 마찬가지다.
  25. 단, 예외적으로 해외 걸작 드라마를 통해 방영되는 외화 시리즈는 통일 등급고지영상을 사용하고 있다.
  26. 개그 콘서트, 해피 투게더 3 등.
  27. 다큐멘터리 3일, 2TV 생생정보, 스포츠 하이라이트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