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체

1 개요

파일:Attachment/koreasubfont.jpg


HTML 태그로 지하철체를 적용한 문장입니다. 사용 환경에 지하철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서울역. 갈아타는 곳. 잠실(송파구청)


한국의 지하철 서체.

2 소개

지하철체란 1983년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현 서울메트로)와 초롱테크가 공동제작한 서체로, '인터디자인연구소'에서 디자인하였다.[1] 국내 도시철도 최초의 고유 서체이며,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운영 노선, 신분당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2][3]에서 사용하는 서체이다. 코레일에서는 자체적으로 만든 서체인 코레일체를 사용한다. 국내 도시철도 최초로 규격화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사용한 최초의 서체로, 이후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의 지방 도시철도도 고유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디자인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3 역사

[[파일:/20141111_153/14157022185846RMbI_JPEG/%BB%EF%BC%BA%BF%AA.jpg]]
1980년대 1,2호선이 개통하고 난 뒤, 고전적인 디자인을 바꾸기 위해 새 서체 개발을 하게되었고, 1, 2호선에 시범 적용을 하였다. 그 후에 이 디자인이 마음에 들었는지 서체개발과 안내사인 등도 디자인 개발을 확장하고, 3,4호선 노선 개통때 전부 지하철체로 디자인되어 개통하게 된다.

2기 지하철 계획을 하게 됨에 따라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발족하게 되었고, 지하철체의 소유는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와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공동으로 갖게되었다. 그리고 5,6,7,8호선 역시 지하철체로 된 안내사인을 하게 된 채로 개통하게 되었다.

1990년대 당시 철도청과천선, 안산선, 국철, 일산선, 분당선 일부 구간에서도 지하철체를 사용했었다.[4]

그러나 서울시는 서울을 디자인에서 좋은도시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서울시 디자인 정책을 수립한다. 이 내용에 대해서는 디자인서울 항목 참고. 그렇게 새롭게 탄생하게 된 서울남산체가 지하철체의 길을 끊게 되었고, 서울 지하철 9호선 노선 디자인은 지하철체가 아닌 서울서체를 이용한 노선이 되어버렸다. 2010년대부터 기존 서울 지하철 역사에도 시설물들이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교체되어 지하철체 사용은 점점 사라지는 추세다. 게다가 최근에는 일본어, 중국어 표기가 의무적으로 하게 되어 서울에서의 지하철체의 운명은 다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최근 서울메트로에서는 표지판 교체 관련 작업이 진행중이다.

최근 역명판은 서울남산체 대신 윤고딕이 적용되는 곳도 있다.

하지만 2010년 후반에 스크린도어 같은 곳에 지하철체를 사용하는 곳도 있고, 서디가에 지하철체를 합친 곳도 있다.

4 여담

  • 한때 이 서체 구하는 것이 하늘의 별따기 급이였는데, 2010년대 쯤에 모 사이트에서 한 유저가 지하철체를 무상으로 배포하여 널리 퍼지게 되었다.
  1. 이 연구소에서는 2000년까지 사용하였던 지하철 안내사인도 함께 디자인했다.
  2. 스크린도어만
  3.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해당되지 않는다.
  4. 하지만 철도청도 자신 만의 디자인 체계를 만들게 되고, 결국 지하철체는 전부 철도청체(현재의 코레일체와는 다르다. 코레일체보다는 대체 폰트인 HY울릉도체에 가깝다.)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