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증후군
1 개요
'착한 아이 증후군' 이라 불리기도 하며 혹은 콤플렉스 중 하나가 되어 착한 사람 콤플렉스라 부르기도 한다.
쉽게 말하면 남의 말을 잘 들으면 착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강박관념이 되어버리는 증상.
꼭 말을 잘 듣는다는 생각보다도 '착한 사람으로서의 이미지'를 유지해야 한다는 사고방식에 매여 있다. 참고로 그 이미지를 완벽하게 내재화해서 본능적으로 실천하는 사람은 착한사람 증후군을 앓지 않는다. 그건 그냥 착한 사람이다.(...) 속으로는 이건 아닌 것 같다고 생각하면서도 겉으로는 고분고분해서 내면과 외면의 모순이 일어나는 경우가 문제가 되는 것.
이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착한 사람이라는 것을 어필하기 위해 애쓰는데 반해 자신의 마음이 병들어도 남들에 대한 자신의 이미지를 먼저 신경쓰다보니 놔두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이 안 좋게 흘러가면 정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보단 먼저 자신을 탓하는 경향도 크다. 속칭 호구.
이런 사람들은 처음에 볼 땐 사회에 잘 적응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장기적으로 볼 때는 오히려 역효과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남들에게만 신경을 쓰다보면 그만큼 자신을 발전시킬 시간이 점점 없어지며 자칫 잘못하면 대인관계도 엉망이 되어버려서 이것이 또 다시 자신을 공격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되고 이것이 최종적으로는 자기 자신까지 망쳐버릴 수 있을 정도로 무시할 수 없는 질환이다.[1]
혹은 본인은 그렇다쳐도 다른 사람의 아주 사소한 부도덕한 행동까지도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잘못한 상대방을 감싸주는 스스로에게 나르시시즘을 느끼면서 상대방을 의도적으로 나쁜 사람으로 만들어놓고 본인은 '그 나쁜 사람을 도와주는 착한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만들고자 하기도 한다. 이런 마인드가 들키는 순간 가식의 결정체가 되므로 혹시 그런 경향이 있다면 빨리 어떻게든 조치를 취하자. 주변인에게 진심어린 충고를 요청하거나.
2 주요 행동
착한 사람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주요 행동 패턴은 다음과 같다.
- 자신의 안 좋은 일을 꾹꾹 눌러담으며 잘 표현하지 못한다.
- 다른 사람의 부탁을 거절하기 어려워하며 어렵게 거절하더라도 곧 후회한다.
- 쉽게 상처를 받으며 동시에 오래 간다.
- 표현을 잘 하지 못하며 말을 하기보단 듣기를 더 편하게 느낀다.
3 대처법
착한 사람 증후군을 이겨내려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본인의 마음가짐에 달렸다. 아무리 주변에서 고치려 애써도 본인이 바뀌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결국 악순환이 반복되기만 한다.
먼저 자신의 현재 모습이 어떠한지 돌아보아야 한다. 남들에게만 신경쓰다 보니 자신이 망가져가는 것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
그리고 남들에게 쏟는 관심을 좀 더 자신에게 투자하는 마음을 갖도록 하자. 누차 언급하지만 이 질환을 방치해 두면 최종적으로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은 자신 뿐이다. 때문에 자신의 인생에 시간을 투자하는 데 더 집중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상대의 부탁을 거절하는 연습도 해둬야 하며 그것이 결코 나쁘기만 한 것이 아니라는 것도 깨우쳐야 한다. 그것이 자신의 감정을 더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발판이 되어주며 기반이 잘 다져지면 그것이 차츰 자신감을 얻게 해주고 자신의 표현을 적극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무조건 상대의 마음에 맞추기보다는 자신의 상황도 좀 더 돌아보면서 행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잊지 말도록.
간단히 예를 들어, 착한 사람 증후군에 빠진 사람이 뭔가 잘못을 했을 경우 "아 잘못했다, 남들이 날 뭘로 볼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잘못했다"는 남기고 그럴 수도 있지 뭐라는 생각을 해보자. 즉 뻔뻔해져야 한다. 부탁을 거절 할 때도 타인의 기분에 맞추기 보다 내가 원하는가/원하지 않는가를 우선 생각 해야한다.
그리고 보증 거부는 이 증후군을 이겨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