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전쟁 관련 정보
찰디란 전투 | ||
날짜 | ||
1514년 8월 23일 | ||
장소 | ||
찰디란 | ||
교전국1 | 교전국2 | |
교전국 | 오스만 제국 | 사파비 왕조 |
지휘관 | 셀림 1세 헤르제키 아메드 파샤 하딤 시난 파샤 무스타파 파샤 카라만 베일리베이 제이넬 파샤 루멜리 베일리베이 하산 파샤† | 이스마일 1세 무함마드 칸 우스타즐루 누르 알리 칼리파 두르미쉬 칸 샴루 사루 피라 우스타즐루† 후사인 베그 샴루† 압드 알 바크 야즈드† |
병력 | 60,000~212,000 | 12,000~80,000 |
피해 규모 | 약 2,000 | 약 5,000 |
결과 | ||
오스만 제국군의 승리. | ||
기타 | ||
사파비 왕조의 혼란기 도래. |
1 개요
찰디란 전투는 찰디란에서 오스만 투르크군과 사파비 왕조군이 맞서 싸운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오스만 군이 승리하면서 사파비 왕조에 대한 우위를 확립하였다.
2 배경
이스마일 1세는 자신을 4대 칼리프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에 겹치면서 시아파를 결집시켜 사파비 제국을 성립한다. 문제는 이 사파비 제국이 현대의 이란 공화국처럼 전 중동에 시아주의를 전파하여 동아나톨리아, 메소포타미아 일대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중앙집권주의에 반대하는 친사파비 시아파 투르크, 쿠르드 유목부족들의 반오스만 움직임이 크게 팽배해지고 있었다. 이미 셀림 1세의 부황 바야지드 2세 당시 2차례의 투르크족 시아파의 대반란이 동아나톨리아에서 폭팔하였다.[1] 당시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즉위한 셀림 1세가 즉위 이전 트라브존 총독으로 부임하면서 사파비 왕조를 제국의 위협으로 여겼다는 점이었다. 게다가 이스마일 1세가 셀림 1세의 왕위 계승 과정에서 그의 조카를 지원하는 등 문제를 일으키자 그는 사파비를 먼저 격멸하여 후환을 처리하고자 하였다.
3 양측의 준비
3.1 오스만의 전쟁 준비
먼저 셀림 1세는 황형 아흐메드를 비롯해 자신에게 반기를 든 조카 무라드를 포함하여 자신의 모든 형제[2]를 2년에 걸쳐서 숙청한다. 그 다음 이슬람 카디[3]랑 무프티[4]에게 이단인 시아파를 정벌하는 것은 정당한 일이라는 파트와[5]를 얻어내고 이어 셀림 1세에게 보내는 경고로 이전부터 제국에 분란을 일으키던 시아파 키질바시 4만여명을 대거 학살하거나 추방한다. 마지막으로 유럽에 대한 공세를 중단함과 동시에 평화협정을 맺음으로써 전선을 한곳으로 집중한다. 그리고 1514년이 되자 오스만과 페르시아 사이의 무역을 전면중단하였다.
3.2 사파비 왕조의 전쟁 준비
여기까지 온 이상 어떤 사람이라도 오스만 제국이 사파비에 쳐들어올 것이라는 것쯤은 눈치챌 수 있었다. 하지만 당시 사파비 왕조의 상황은 최악이었는데, 하필 이 시기에 우즈베크인들이 제국의 동방을 침공한 것이다.샌드위치 자칫하면 양면전을 수행하게 될 상황에서 이스마일 1세는 제국의 서부를 초토화 하여 오스만의 군대가 일체 보급을 받을 수 없도록 하였다.
4 양국의 격돌
4.1 전투전야
비록 사파비 왕조가 우즈베크의 침공 때문에 제대로 전력을 투사하기 어려웠다지만, 셀림 1세라고 해서 문제가 없는 것도 아니었다. 당장 이스마일 1세의 초토화 작전에 동부 아나톨리아와 코카서스 지방의 척박한 지형은 행군하는 군대들의 신경질을 돋구기에는 차고도 넘쳤다. 게다가 시아파라지만 그래도 무슬림이었기에 굳이 이들과 싸워야 되느냐는 불만 역시 팽배하였다.
이게 어느 정도까지 올라갔냐면 예니체리 중 한 명은 불만을 표시하는 겸 황제인 셀림이 머무는 천막에 공포탄총을 발사할 지경이었다! 이 와중에 이스마일의 군대가 찰디란에 주둔하고 있다는 정보를 얻자마자 셀림은 속전속결을 위해 전장으로 이동한다.
오스만 군이 전장에 도착한 때는 8월 23일. 이미 전장에 도착해 있던 사파비군은 대응방안에 대해서 정면충돌한다. 무함마드 칸 우스타즐루와 누르 알리 칼리파는 오스만의 전술에 능통한 인물이었기에 지금 바로 오스만군을 공격해야 한다고 간언하였지만, 키질바시 중 한 명이었던 두르미쉬 칸 샴루는 '무함마드 칸 우스타즐루는 자신의 영지에만 관심이 있는 자'라고 하면서 대놓고 모욕하였다. 여기에 이스마일 1세 역시 정정당당한 무슬림 기사도를 자부하며 한 마디 거들었다.
"'신께서 존재하시고 명하시는 한, 나는 캐라반을 터는 강도가 아니오.'"
그리고 이게 얼마나 거대한 실책이었는지 이스마일 1세는 바로 다음 날, 온 몸으로 겪게 된다.
4.2 격돌
오스만 제국은 사파비 왕조의 기병돌격에 대비해서 예니체리와 대포를 수레로 만든 장벽 뒤에 배치하였다. 사파비 왕조의 기병대는 적의 포격을 회피하기 위해 양익으로 배치되어 오스만 진영을 돌파하려 시도하였고, 실제로도 이를 막던 오스만 측 지휘관이었던 루멜리 베일리베이 하산 파샤가 전사하는 등 혈전이 벌어졌지만, 사파비의 돌파 시도는 실패로 끝나고 도리어 군이 괴멸되어 지휘관 여럿이 전사하는 상황까지 몰린다. 결국 이스마일까지 팔에 부상을 당하고 말머리를 돌려 달아나기에 이르렀고 그 시점에서 전투는 사파비의 참패로 끝났다.
5 결과
- 찰디란 전투로 백양조, 우즈벡 샤이바니 조를 패배시키고 승승장구하며 중동 전역을 시아파로 정벅ㅋ할 기세였던 사파비 왕조의 기세는 완전히 꺾여버렸다. 영토 손실은 그렇게 크지 않았다. 오스만 군은 수도 타브리즈까지 함락시키고 셀림 1세는 내친김에 이란 전역을 정벅ㅋ하고자 하였으나 보급선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예니체리들이 불만을 품자 친시아 반란을 우려하여 얼마 안 가서 본국으로 철수한 것이다. 그러나 반오스만 친사파비를 표방하던 동아나톨리아, 메소포타미아의 친시아파 투르크, 쿠르드족은 찰디란 전투 직후 오스만 제국에게 확실히 제패되고 사파비 왕조는 동아나톨리아, 메소포타미아를 잃게 된다.[6]
사파비 왕조는 어디까지나 이스마일 1세 개인의 무적의 카리스마로 유지되던 국가였는데 이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에게 대패하면서 팽창기가 끝나버리고 샤의 권위가 무너져 내린 것이다. 자신이 전 이슬람의 정당한 군주이자 알리의 화신으로까지 믿던 이스마일 1세는 찰디란 패배 직후 커다란 충격을 받아 검은 옷만 입고 한번도 웃지 않았으며 국정을 팽개치고 술로 찌들다가 사망해버리고 이 때를 기점으로 해서 아바스 1세의 등장 이전까지 제국은 키질바시들의 전횡으로 큰 혼란을 겪게 되었다.
6 평가
또한 사파비 왕조의 성격도 찰디란 전투를 기점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찰디란 전투 이전 사파비 왕조는 비록 이스마일 1세가 스스로가 페르시아인[7]으로써 이란을 부활시킨 제국이라 선언했으나 그 본질은 사파비 이전 몽골-투르크 왕조들처럼 여전히 타브리즈, 술타니아 등 아제르바이잔을 기반으로 한 키질바시 투르크족의 지지를 토대로 이루어진 투르크인 중심의 왕조였다. 하지만 찰디란 전투에서 사파비 왕조가 패배하자 동아나톨리아랑 메소포타미아의 투르크족이 오스만에 복속되고 아제르바이잔이 대오스만 전선의 전방이 되면서 사파비 왕조는 이란 내륙의 카즈빈, 이스파한으로 천도하여 이란 민족의 비중이 높아지게 시작된다. 즉 찰디란 전투 이후 사파비 왕조는 이란 민족 중심의 국가가 되었다. 즉 현재의 이란이라는 나라의 정체성을 규정한 데 찰디란 전투는 상당한 역할을 한 것.
반대로 오스만 제국은 이 전투에서 동방 최대의 적수를 꺾어버리면서 욱일승천하기 시작한다. 승전 이후 오스만 제국은 이집트로 남진하여 맘루크 왕조까지 무너뜨리고 중동의 절반을 접수하였으며 셀림 1세는 칼리프의 자리에 오르면서 자신감을 한껏 드러내었다. 그리고 그러한 기세는 곧 유럽으로 뻗쳐나가기 시작한다.
- 전쟁사에서도 찰디란 전투는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전까지 무적이라 평가받던 유목민의 기병이 화약무기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무너지면서 본격적으로 전쟁의 패러다임이 바뀌기 시작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