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첩

妻妾.

하렘 구성원들 전원과 결혼할 경우

1 개요

말 그대로 본처[1][2]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후처와 첩은 엄연히 다른 단어이다. 후처는 '죽거나 쫓겨나는 등의 사유로 더 이상 집안에 존재하지 않게 된 본처[3]의 자리를 이어받아 새로운 본처가 된 여자'를 이르는 말이며, 첩은 '본처 외의 여자들' 을 이르는 말이다.

이런 형식의 가정을 꾸리는 제도를 갖다가 '처첩제도' 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동양권의 후궁제도를 들 수 있다.[4]

남성 한명에 여러 여성이 부부가 된다는 것에서 일부다처제와 비슷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다른 개념이다. 일부다처제의 경우 남자와 결혼한 여러명의 처들간 상하관계 없이 동등한 대접을 받지만 처첩제의 경우 정실로 대접받는 처는 한명인 경우가 보통이고 그렇지 못한 나머지 여자들은 첩으로 불리며 차별 대우를 받았다.

단순히 아들을 많이 낳으려는 용도나 여자를 많이 집안에 두기 위한 용도는 아니고(...) 일종의 각 가문간의 혼례를 활용한 결탁과정 중 하나기도 했다. 특히 왕실/황실에 보내지는 첩(후궁)의 경우 가문의 영광임과 동시에 왕실/황실의 인질이기도 했다.

2 상세

가정 내에서 기본적인 서열은 본처가 위이고 첩들은 뭐가 어찌되었든 본처보다 아래라고 하지만, 첩이 남편의 총애를 받아 실질적인 서열은 본처보다 높게 쳐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다.

여기서 본처는 단순히 남편의 첫째 부인의 위치에 있었기에 서열이 첩들보다 높은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첩보다 신분이나 본처의 친정의 지체나 명성, 재산 등이 높았고, 그만큼 시가(媤家)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권한도 첩들의 집안보다 강했기에 한 가정 내의 아내들 중 가장 높은 서열로 취급받을 수 있었다.

물론, 첫째 부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런저런 사정 때문에 자신 뒤에 들어온 다른 여자에게 본처(정실) 자리를 빼앗기거나 내줘서 첩의 신세가 된 경우도 있었고, 첩의 집안보다 여러모로 딸리는 집안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본처 자리를 거머쥔 데 성공한 경우도 있었으며, 본디 다른 첩들보다 집안의 힘이 강했지만 가세가 기울어서 본처 자리 말고는 내세울 게 없어져서 첩들보다 영향력이 줄어든 본처의 경우도 있는 등, 온갖 예외가 존재한다.

또한 한 남편[5]을 여러 여자가 나눠 가져야 하는 처지에 놓이기에 남편의 애정 분할 문제, 가정 내의 주도권 문제, 시가 관련 문제인용 오류: <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를 들어 총애해 줄 경우, 가정 내에서 주도권을 못 쥘지언정 다른 아내들보다 더 높은 발언권을 얻을 수도 있었다. 왜냐하면 본처와 첩에게 영향을 가할 수 있는 남편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재가 시가(특히 시부모)였으므로</ref>[6], 재산 문제, 그리고 대를 이을 아이의 출산 가능 여부 문제[7] 등을 놓고 본처와 첩들이 끊임없이 다툴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다.

그 중에서도 남편의 총애를 못 받거나 대를 이을 아들을 못 낳고 딸만 낳거나, 그걸 넘어서서 아이를 아예 못 낳을 경우 본처라고 해도 가정 내에서 홀대받았고,[8] 첩이라고 해도 대를 이을 아이[9]를 낳으면 순식간에 신세역전을 이룰 가능성이 생겼기 때문에,[10] 남편의 총애 문제나 아이 문제로 본처와 첩이 다투다가 어느 한 쪽이 집에서 쫓겨나거나 죽는 경우도 있었다.[11][12]

여기서 더 나아가서, 어느 한 쪽의 아이를 죽이거나 내버리는 것도 모자라 눈 뜨고 아이를 빼앗기는 경우, 혹은 아이가 바꿔치기되는 경우 등 온갖 사단이 나기도 했다. 이 문제가 잘못 번졌다간 말 그대로 막장 드라마를 실시간으로 찍는 꼴을 볼 수도 있었다. 빌어먹을 일부다처제가 없어지지 않는 한 이런 문제들은 결코 없어지지 않는다.

게다가 본처와 첩이 똑같이 아들이라도 낳는 날에는…형식상으로는 본처의 아이가 가문 계승권을 쥐긴 한다지만[13], 그렇게 되었다간 자기 아들[14]이 가정 내에서 설 자리가 없어질 걸 걱정하는 첩(들)이 본처의 아이를 어떻게든 처리하고 자기 아이에게 가문 계승권이 돌아가게 하기 위해 가정 내에서 헬게이트를 강림시키는 사단이 난 경우도 까보면 꽤 있는 편이다.

특히 높은 신분에 속한 가문이나 왕실, 황실 같은 경우에는 이런 문제가 더더욱 심했다. 가문 계승권을 자신의 자식이 얻게 한다는 것에 단순히 가정 내의 주도권만이 아니라 온갖 부가적인 것들[15]이 다 따라오다 보니 당연히 이를 자신/자신의 자식이 얻게 하기 위해 온갖 모략이 펼쳐질 수밖에…

게다가 권력을 못 얻은 이들은 본처건 첩이건 할 거 없이 뒤안길로 사라져 하대받게 되는데, 특히 첩들은 본처보다 우선순위로 내쳐지는 경향이 강했으니[16] 당연히 이런 암투가 횡횡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도 의외로 이런 문제가 평화롭게 해결된 경우도 많지만,[17] 심할 경우 부인들 간의 다툼이 이복형제/이복남매간의 다툼으로까지 번지는 경우도 허다했다고 한다.

정석대로 본부인의 장자가 무사히 가문은 계승해도 문제는 끝나지 않는다. 적어도 집안 내에서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얻은 본부인이 첩이나 그 자식들을 비천한 신분으로 만들어 팔아먹으려는 일도 종종 있었으니... 2라운드 시작

3 기타

여담이지만 위에 기술한 '처와 첩 사이의 갈등' 을 처첩갈등이라고 하며, 위에 기술했다시피 처첩갈등은 여러모로 온갖 문제를 낳았기 때문에 만악의 근원으로 치부되기도 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가에서 일부다처제를 시행했으며 아직도 일부다처제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도 제법 있다

그리고 드라마 시나리오나 소설이나 만화 소재로 다루기에도 편한 소재이기 때문에 예나 지금이나 온갖 곳에서 써먹히는 사골급의 소재. 특히 궁중암투를 다루는 드라마/소설/만화/애니에서는 직접적으로 부각되든 아니면 간접적으로 암시되거나 일어날 기미만 비치든 간에 어찌되었든 약방의 감초 역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소재가 바로 "본처 1+ 첩 다수 + 그 외 온갖 변수들[18]로 확장된 궁중판 처첩갈등" 이다(…). [19]

첩을 한두 명만 두는 것도 아니고 많이 두는 것을 축첩제도라고 부르기도 했다.[20]

유교사상에 기반한 고전소설의 경우 보통 본처를 우대하고 첩을 하대하는 경향이 강해 본처가 선역, 첩이 악역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사씨남정기 등이 바로 그 예시.
  1. 정실이라고 하기도 함
  2. 측실, 소실이라고 하기도 함
  3. 이런 경우 첫 번째 본처를 전처라고 한다.
  4. 본처/정실로 볼 수 있는 왕비/왕후/황후 1명과 첩/측실으로 볼 수 있는 후궁들로 왕실/황실 내명부를 구성하는 제도.
  5. 정확히는 남편의 애정과 집안의 재산을 포함한 가정의 온갖 것들, 그리고 모든 아내들의 최대의 적 시월드 시가(특히 시부모) 식구들과의 관계 등)
  6. 그렇기에 본처에게나 첩에게나 남편만큼이나 신경쓰이는 것이 다름아닌 시가가 그녀들에게 작용할 수 있는 영향력이었다.
  7. 특히 아들(적자).
  8. 옛날에는 대를 이을 아이를 중시했기 때문에 본처가 오랫동안 아이를 못 낳으면 당연히 집안에서 홀대받기 쉬운 분위기가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9. 특히 아들
  10. 특히 본처가 오랫동안 아이를 못 낳을 때 첩이 아들을 낳는 크리가 터지면 그냥 헬게이트.
  11. 쫓겨난다고 해도 의지할 친정이 있으면 그나마 다행인데, 그것마저 없으면 그냥 길바닥에 나앉는 수도 있었다. 더 큰 문제는 암투가 너무 치열해진 끝에 누구 한 쪽이 죽는 사단이 나버리는 것이었지만.
  12. 다만 보통 쫓겨나는 쪽은 남편이나 시가에게 압박을 가할 친정의 세력이 약하거나 없는 쪽이었다. 친정의 권세가 특히 시가보다 강하면 강하면 남편/시가도 눈치를 봐야 하기 때문에...
  13. 일단 본처의 아이가 가문 계승에 있어서 가장 정통성이 높다고 친다. 첩의 아이에게 정통성을 더 높게 두면 잘못했다가 처첩갈등 등의 문제로 집안이 콩가루 집안이 되어서 막장 드라마를 찍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14. 그리고 자기 자신
  15. 권력, 재산 등
  16. 즉 쫓겨나는 순간 명줄 끝인 경우도 의외로 있었다는 뜻. 뭐, 친정이 권세가 있다면 다시 친정에 의지할 수도 있지만 그러지 못하는 이들의 경우 망했어요 확정이 되니.
  17. 가족 구성원 모두가 개념인/대인배여서 서로서로 상부상조하며 잘 챙겼다던가(...) 가문의 법도가 워낙 엄해서 아무도 거스를 생각 안 하고 고분고분 따랐다던가, 본처 말고 죄다 딸만 얻었다던가 하는 경우...
  18. 왕(황제) 포함
  19. 한국 사극에서 자주 쓰인 소재 중 하나인 장희빈인현왕후, 그리고 숙종 관련 이야기를 다룬 고전소설들과 사극들, 중국 사극인 후궁견환전, 완전한 궁중판 처첩갈등이라고 보긴 좀 힘들지만 어쨌든 처첩갈등 소재가 나온다는 점에서는 비슷한 맥락을 타는 일본 고전소설 겐지모노가타리 등, 하여튼 뒤져보면 정말 많다…
  20. 첩을 물건 쌓는 것처럼 여럿 뒀다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