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궁견환전

후궁 시리즈
후궁견환전후궁여의전???

드라마, 만화판 등 후궁견환전 미디어믹스의 원작. 언정(로맨스)소설이다. 주라는 가상의 시대를 배경으로 했으며 주와 혁혁이라는 나라가 전쟁을 벌이고 있다. 세계관 자체는 여러시대가 섞인 분위기이다. 소설은 주인공인 견환의 1인칭 시점이며 번외편은 작교선을 제외하고 다른 캐릭터[1]를 다룬다. 인터넷에 연재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호응을 얻어 출판하게 되었다. 원래 5권의 표지에 대결말이라고 찍혔으나 작가가 좀 더 쓰기로 결정하여 7권으로 완결하였다.

대만 초판본 일러스트를 보면 어느 시대인지 애매한 의상이다. 굳이 따지자면 세부적인 복식은 당나라 쯤이지만 전체적인 라인이 많이 다르다. 재판본 일러스트는 좀더 당나라 복식같은 의상이다. 궁중생활의 묘사도 당나라 뺨칠 정도로 화려하고 사치스러운데, 견환의 품계가 오를수록 그렇다.

드라마는 원작의 독한 캐릭터의 성격과 스토리가 순화되었고 로맨스나 소소한 부분은 쳐내어 캐릭터가 상당히 줄었다고 한다. 원작의 캐릭터는 드라마의 몇 배나 된다. 작가는 이 점이 아쉬웠는지 다음에 리메이크 된다면 만당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원작의 내용을 좀 더 많이 담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드라마 초반은 안릉용에 관한 스토리를 제외하고는 원작과 크게 다른 부분은 없으나 출궁기부터 각색이 많이 들어갔다. 원작의 설정과 드라마의 설정이 다른 부분이 상당한데, 원작에서 나온 대사를 변경하지 않은 채 그대로 드라마에 내보낸 경우가 종종 있어 드라마 내에선 설정충돌이 좀 많은 편이다. 특히 감정선이 그러하다. 드라마로만 보면 약간 이해가 안되는 감정선들이 꽤 있다. 견환의 성격이 순화된 것도 원인중 하나. 견형이 없어진 것도 그렇고... 원작과 드라마의 대략적인 차이는 여기로 1권, 2권, 3권, 4권 ,5권, 6권, 7권

원작소설을 보고 싶어하는 팬들이 많지만 7권 분량이[2] 한국어로 번역하면 12~13권 정도의 분량이라 출판사에서 거부되었다. 그리고 다른 인터넷 소설과 달리 작가가 국문학과 출신이라 그런지 문장 수준이 높고 어려운 편이라 중국어 능력자들도 번역을 꺼린다. 이는 드라마 역시 마찬가지인데, 계속해서 궁중어법으로 대화하는데다 고사와 성어를 계속 인용해대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주석만 달아도 원문보다 길어진다(...) 거기에 중국어의 문법이나 발음을 이용한 언어유희나 이중적인 의미는 죄다 생략해버릴 수 밖에 없는 상태. 이 때문에 일부 전개는 상당히 뜬금없이 느껴졌을 뿐 아니라 안릉용의 유언처럼 이야기 진행상 관건이 되는 부분도 어색하게 넘어갈 수 밖에 없었다. 그냥 중국어를 배우든지 누군가 해주길 기다릴 수 밖에 없다 한국 넷상엔 일부분만 번역이 되어있다. 12전공자가 아니라 오역이 많다. 그리고 첫번째로 링크된 블로그는 견환의 재수없는오만함이 희석되게 번역하였다.

오타나 오기가 많다. 특히 초반은 거의 매 챕터마다 있을 정도다. 현릉과 견환이 화원에서 처음 만났을 때 청하왕 현릉이라는 오기가 대표적. 이런 점은 후궁여의전에서도 이어진다...

1 드라마

后宫甄嬛传
오프닝 요패나의 홍안겁(红颜劫)
엔딩 류환의 봉황우비(鳳凰于飛)
삽입곡 요패나의 보살만(菩薩蠻)
중국 북경 BTV에서 2011년 방영한 중국 드라마. 청조 옹정제 시기를 배경으로, 후궁이 된 귀족 소녀 견환이 점차 변해가며 궁에서 살아남아 결국 황태후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이다.

총 76편의 대작이지만 중국에서도 연일 시청률을 경신하며 높은 인기를 기록했다. 원작으로 동명 소설이 있으며 소설 후궁견환전 역시 베스트셀러였는데 정효룡 감독이 이를 바탕으로 각색해서 드라마화 한 것이다. 기획 단계에서는 총 120부작 정도였으나 감독의 말에 따르면 그 중 현실성 없는 부분을 빼고 76화로 줄였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CHING TV에서 방영중이며, 다시보기 또한 가능하다.

후궁견환전의 굵직한 주요 스토리 요약정리 링크. (스포일러 대량 주의!) #1#2#3#4#5#6#7#8

2 견환전 서화열

20130510155939_cWVRU.thumb.700_0.jpeg
견환전 서화열(甄嬛传 叙花列)이라는 만화가 있다. 매체 중 유일하게 순원황후 주유칙의 모습이 나오는데, 자신이 주인공인 에피소드에서조차 심리묘사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드라마의 내용이 아닌 원작 소설의 내용을 옮긴 것으로[3] 여캐 중 한명씩 다루며 각자를 상징하는 꽃이 에피소드의 제목이다. [4] 작약 모용세란으로 시작해 모란 주의수까지 열두개의 에피소드로 완결. 완결에 대한 대체적인 반응은 "견환은? 아직 안 나온 사람 많은데?" 현재 단행본 1권까지 나왔고 나머지는 출간 계획 중. 참고로 일러스트 제외한 본편 작화는 월간 연재임에도 네이버 웹툰 작화보다 질이 떨어지니 구입할 수 있다면 살 때 주의.

3 등장인물

후궁견환전/등장인물 참조.

4 특징

전체적인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견환이라는 한 여인이 황궁에 후궁으로 들어와 온갖 음모와 배신을 겪으며 자신과 주변을 지키기 위해 악독하게 변해가는 이야기이며, 주인공 외의 다른 인물들에게도 적절한 심리묘사와 배경묘사가 부여되어 입체적이고 매력적인 캐릭터들로 이루어진 드라마이다. 악역으로 등장하는 화비 등의 캐릭터 역시 악행을 쉴드쳐주지는 않으나 그저 막장드라마에 나오는 악역같은 존재가 아니라 이해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진 인간적인 면모를 부여했다. 그렇기에 이 드라마는 전체적으로 선악이 모호하게 펼쳐져있다.

결국 이 드라마는 견환을 비롯해, 생존과 사랑을 위해 다투다가 원치않게 궁의 희생자가 된 여인들에 대한 이야기기도 하다. 보통은 주인공이 역경을 이겨내고 승리자가 되는 반면 견환은 결국 황태후가 되어 내명부에서 가장 높은 사람이 되지만, 이를 위해 자신의 진실된 사랑을 포기해야 했고 자신과 절친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는 것을 지켜보아야만 했다.

고증이 철저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배우들에게 촬영 전부터 궁중예의범절 전문가를 붙여 일일이 청대 황실예법을 가르쳤으며 또한 의상고증도 다른 드라마와 비교도 안될 정도로 철저하고[5] 황궁 내의 후궁의 지위 또한 세세하게 고증하여 사실과 같게 하였다.

달달한 애정신 하나 제대로 없지만 순전히 흡입력 있는 스토리와 뛰어난 연출[6], 배우들의 열연으로 정상의 자리에 오른 드라마. 궁중암투극의 경우 위의 세 요소 중 하나라도 빠지게 되면 작품이 망하게 되는데, 세 요소를 다 갖추며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한번 보게 되면 그 스토리의 흡입력에 빠져나오지를 못하며 끝까지 다 보고 나서야 정신을 차리게 된다. 문명의 흡입력과 비교될 정도이다.

단, 스토리의 흡입력과는 별개로 역사적 사실의 왜곡은 많다. 실제 옹정제 시대에는 드라마와 달리 후궁들의 암투가 많지 않았다고 한다. 이는 소설이 가상 세계를 배경으로 한 것이었고, 이것을 드라마 각색 과정에서 옹정제 시대에 끼워맞췄기 때문에 중간중간 억지가 들어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인터뷰나 토크쇼에 나온 대화를 보면 그 와중에서 얼마나 감독과 원작자가 고심했는지 알 수 있다.

옹정제의 캐스팅 논란이 컸었다. 이전에 <보보경심>이 방영되었었고 그 때 옹정제 역할을 맡은 오기륭은 젊고 매력적인 황제의 역할을 맡았기 때문에 아저씨 풍의 진건빈이 캐스팅되었다는 소식에 다들 "미스캐스팅 아닌가효?"의 반응을 보였다. 여기서 슬픈 사실은, 진건빈과 오기륭의 나이가 둘 다 1970년생, 2011년 기준 41살로 같다는 것이다. 진건빈 지못미 그러나 진건빈은 연기력으로 이러한 논란을 잠재우며 자신의 역량을 유감없이 입증했다.그리고 왕서방 아저씨 같은 황제와 그 옆의 무수히 많은 예쁜 후궁들이 더 현실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사실 옹정제의 어진을 보면은 오기륭의 얼굴보다도 진건빈의 얼굴이 옹정제와 많이 닮았다. 참고로 진건빈은 드라마 <삼국>에서 'ㅍ조조' 역할을 맡았다. 진건빈 외에도 손려(견환 役), 채소분(황후 役), 유설화(태후 役), 장흔(화비 役) 등 모든 배우들이 후덜덜한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작가가 역덕후인지 대사에서 역사를 많이 인용한다.(EX 범려와 서시) 원래 사극에서 그런 경우가 꽤 있지만. 특히 원작은 역사적 사건이나 관계를 떠올리게 하는 장면이 많다고 한다.

미장센이 상당히 많은 드라마다. 꽃으로 운명을 암시하는 장면, 여답응과 안릉용의 마차가 교차하는 장면과 안릉용과 견환의 마차가 교차하는 장면같은 겹치기 연출, 훗날 태후가 되는 견환이 자신이 사랑했던 과군왕을 독살한것과 태후가 자신이 사랑했던 융과다를 독살하는 장면, 2화에서 화비가 뉴비들의 처소목록 점검을 하고 있을때 황규전과 송지, 화비의 대화 속에서 쇄옥헌이 불길하다면서 방귀인이 유산하고 냉궁에 들어갔다고 말하고, 화비는 그곳에 가면 황후께서 바라시는 대로 용종을 잉태할 줄 누가알아? 라고 대답하며 견환을 쇄옥헌에 배정한다. 그런데, 견환은 쇄옥헌에서 아이를 갖고 유산을 하고 냉궁에 가는 것과 같이 연금을 당했으며, 결국은 황제에 대한 믿음을 잃고 출궁한다. 후에 쇄옥헌에 들어오는 심미장 또한 아이를 가졌지만, 난산으로 인해 숨을 거둔다. 또한 2화에서 견환이 방약상궁에게 화비의 미모에 대한 칭찬을 듣던 중 이백이 그랬어 미모만 믿는 자는 오래 못 간다 라고 말하는 장면 등 무심코 한 대사가 복선이 되는 경우도 많은 편.

5 드라마의 옥에 티

후궁견환전/옥에 티 참조.

6 기타

<미인심계>의 작가인 우정이 후궁견환전을 표절하여 자신의 드라마를 썼다는 의혹도 심심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궁쇄심옥의 속편인 <궁쇄주렴>이 드라마 플롯부터 시작해서 갈등 관계, 캐릭터 등등이 후궁견환전과 판박이라는 것. 우정은 이전에 <보보경심> 표절 의혹도 받았는데, 아직까지는 그럭저럭 인기작가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의혹이라는 완곡한 표현을 썼지만 엄밀히 말하면 우정의 표절은 기정사실이라 봐도 무방하다. 중국 내에서도 욕을 많이 들어먹고 있는데 지적을 받고서야 판권을 사들이고 2013 소오강호를 맡아 그야말로 원작파괴를 일삼으며 김용선생에게도 까일 정도.

현재 작가 류렴자[7]가 원작소설 후궁견환전의 후속이 아닌 드라마의 후속작 후궁여의전을 쓰고 있다. 주인공 여의는 건륭제의 계황후 오라나랍씨로 후궁견환전의 청앵[8]이다. 다만 완전한 후속작은 아니고 의수황후가 감금되는 것과 건륭제와 숭경황태후(견환이 아니다.)의 관계 정도의 일부 설정만 이어진다.

참고로 첫화에서 작가인 류렴자가 안릉용과 같이 면접 본 류련자라는 수녀로 특별출연을 하였다.

안릉용 옆에 푸른 옷에 대랍시를 쓴 여인이 류렴자. 왼쪽 옆의 수녀가 궁쇄심옥의 청천 의상을 입고 나온 것은 신경쓰지 말자

http://www.ajunews.com/kor/view.jsp?newsId=20130923000173

중국에선 대장금과 달리 주인공이 고난을 헤쳐 가면서 악독해지며 자신의 정적들에게 보복하는 스토리가 사회기풍을 해친다는 어이없는 주장이 나왔다. 방향성과 주제가 전혀 다른 작품을 비교해서 어쩌자는 건지. 이 기사에 대해 중국 내에서 반박기사가 뜨기도 했다.

일본에선 궁정의 쟁녀(宮廷の諍い女)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어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미국에 6편의 영화로 만들어 수출한다고 한다. 수출명은 불명이나 미국에선 The Legend of Zhen Huan으로 불린다. 위키피디아에 항목이 있는 걸 봐선 팬이 꽤 있는 듯. 2013년, 각본은 완성되었다. 2014년, HBO에서 TV영화로 방송이 확정. 방영자체는 2015~2016년일 것이라고 한다. 중국 기사 한국 기사2014년 9월, 영문판 영화를 제작 중으로 여전히 손려가 견환을 맡는다. 캐릭터가 간략화되고 견환의 일생을 중심으로 편집한다고 한다. 손려가 미니홈피에 "환환, 오랜만이야" 라는 글을 올렸다. 분노의 질주 시리즈의 감독인 저스틴 린이 정효룡 감독과 공동감독을 맡는다고 한다. Netflix에 Empresses in the Palace라는 이름으로 6편이 올라왔다. 오프닝이 꽤나 웅장하다.역시 천조국의 기술력 견환이 황태후로 지내는 모습이 간간히 지나가고, 사운드트랙도 새로운 걸 사용하고 있다. 평가는 나쁘다. 76화나 되는 분량을 6편으로 줄인 건 무리수였다는 평.[9]

서로 못 죽여서 안달인 살벌한 작품 분위기에 비해 촬영장 사진을 보면 분장한 배우들이 깨방정을 떨면서 찍은 것들이 제법 많다. 실제로 작품에 몰입하고 나서 이런 사진 들을 보면 정신줄을 놓을 수 있다. 다만 이 때에도 어떤 황샹은 왕따였다고(...).

그것 외에도, 실제로 후궁 및 시녀 역을 맡은 배우들이 작품 내에서는 상당히 미모 너프를 먹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무래도 복색이나 메이크업의 영향이 크겠지만. 사복 입은 모습들이 검색해보면 다들 ㅎㄷㄷ하다. 너프를 거의 먹지 않은 건 화비견환정도.

예시로 드라마에서는 엄청난 노안 너프에 미모 너프를 받아 같이 출연하는 배우들조차 못 알아봤다는 최근석.

중국에서 견환의 환(嬛) 독음 때문에 논란이 된적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견환이 아니라 견현이라고 불러야 한다는 말이 아주 가끔 나온다. 견씨도 진으로 읽어야 한다고 논란이 되는 성씨이니 정확히는 진현이라고 읽어야 할지도.

http://blog.daum.net/chinacolumn/6017837

작가가 <홍루몽>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드라마를 보다보면 등장인물들이 종종 "잠시 옷을 갈아입고 오겠습니다"라고 말하는데, 고대 중국에서 화장실은 지금처럼 볼일만 볼 수있는 협소한 곳이 아니라 옷도 갈아입을 수 있는 넓은 장소였으며 실제로 화장실은 옷을 갈아입는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따라서 인물들이 "옷을 갈아입고 올게요" 라고 하는 말은 지금으로 따지면 "화장실좀..."과 같은 말이다.

  1. 안릉용-리음성성, 불여귀거(鸝音聲聲, 不如歸去), 심미장-안능전미여초(安能展眉如初), 현청-내하천(奈何天), 주의수-야심침(夜深沈),견옥요-저제전설(별명흔애흔애니)(猪蹄傳說(別名很愛很愛你)), 설백제희 천우-후궁옥점추(後宮玉簟秋)
  2. 재판본은 6권, 번외편도 한권 더 있다.
  3. 물론 오리지널 스토리도 섞여있다.
  4. 순상재 방순의와 숙화, 온의제희는 예외. 명절 특간 연재라서 그렇다.
  5. 머리장식 같은 경우에는 진짜 보석들을 사용했다고 한다.
  6. 견환의 외모 변화를 보면 그것이 단적으로 드러나는데, 초반의 견환은 수수하면서 생기있고 발랄한 바람직한 마음을 가진 착한 후궁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감로사에 갔다가 흑화된 후에는 화장과 복식 등이 완전히 달라져 다른 사람 같아 보인다. 점점 궁의 세파에 찌들어 악독해지는 견환의 모습을 복식과 메이크업 등으로 완벽하게 표현한 것. 위의 세 표지 사진들의 견환의 분위기를 보면 된다.
  7. 流潋紫. 류렴자라는 이름은 필명이며, 본명은 오설람(吴雪岚)이다.
  8. 고모인 황후 의수의 서출 콤플렉스를 건드렸다가 홍력의 측복진이 된 후 마지막화에 한비가 되는 여인. 황제의 딸의 그 황후가 바로 이 여인이다.
  9. 얼마나 분량을 줄었으면 황제가 후궁들에게 치여 살아서 안타깝다는 리뷰가 올라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