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시내버스/차량

1 운행 차종

1.1 현재 보유 차종

  • 자일대우버스 레스타: 한성운수만이 도입하였다.
  • 자일대우버스 NEW BS090: 2012년부터 현재까지 도입한 대우 중형버스인데, 2014년 이후형식은 한성운수에서만 보유중이다. 동양교통을 제외한 전 업체들이 보유하고 있고, 전 차량 디젤차량이다.
  • 대우버스 BS106 로얄시티: 1998년부터 2007년까지 꾸준히 도입한 대우 도시형 버스이다. 2001년부터 인터쿨러 형식으로 도입하였고, 2002년 6월 가스차를 처음 도입하였다. 디젤차량도 2004년까지 병행 도입하였다. 2000년쯤 부터인가 도시형에 전면행선판등이 없는 형식을 많이 출고하기 시작하였다. 좌석차량의 경우 우진교통만이 전문형 좌석형을 4대 도입하였고 이 외에 이 차종의 좌석형은 전중문형이었다.
  • 대우버스 BS106 F/L 로얄시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도입한 대우 도시형 가스차이다.
  • 자일대우버스 NEW BS106: 2012년부터 현재까지 도입하고 있다.
  • 대우버스 BS110CN F/L: 2007년 말경에 동일운수 2054호를 시작으로 도입하였고, 2010년부터 전문이 현대 저상버스처럼 폴딩형식으로 도입하였다.
  • 자일대우버스 NEW BS110: 2012년부터 현재까지 도입하고 있다.

1.2 과거 보유 차종

  • 신진자동차 FB100LK
  • 신진자동차 DB102LC
  • GM-코리아 BD50DL: 1970년대 초중반에 많이 도입하여 1970년대 주력 차종이었다.
  • GM-코리아 BD098: 앞서 설명한 현대 HD160 중문형과 같이 1977년에 마지막으로 도입한 중문형 버스이다.
  • 새한자동차 BF101: 초기형의 모습으로 1978년 말부터 1982년까지 도입하였다. 대체로 1985년부터 1989년까지 당시 신차로 대차되어갔다.
  • 대우버스 BM090 로얄미디: 1997년에 중형좌석 대차분으로 7대 도입하였고, 2003년 8월에 공영버스 증차분[3]으로 도입하였다.
  • 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2005년 2월 동양교통에서 첫 도입하였고, 디젤차와 가스차를 병행 도입하였다가 2006년~2007년에는 가스차로 도입하였다.
  • 대우자동차 BF101: 1983년~1986년 초에 도입한 대우 도시형 버스, 전중문 폴딩형식이었는데 소수 중문 슬라이딩인 형식도 손에 꼽을 정도로만 있었다. 대부분 1990년~1992년에 대차하였고 일부가 1993년까지 운행했는데 1993년 중반까지 생존했던 버스는 1986년 초창기 도입분으로 전중문 폴딩형이었다.
  • 대우자동차 BF101Q: 1986년 후반부터 1991년 초까지 도입한 대우 도시형 버스, 모두 전중문 폴딩형식이었고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중반 청주 시내버스의 최고의 주력차종이었다. 1986년~1987년형이 1993년~1994년에 BF105(일부 BS106 하이파워)로 대차, 1988년~1989년형이 1995년~1996년에 BS106 하이파워(우진교통에서는 일부 에어로시티540L) 냉방도시형으로 대차, 1990년~1991년 초 도입분이 1997년~1999년에 당시 신차(또는 중고차일 수도 있음)로 대차하였다.
  • 대우자동차 BS105: 1988년 청주에 시내좌석 첫 운행시 좌석형 도입을 처음으로 도시형에도 소수 도입하였다가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많이 도입하였다.
  • 대우자동차 BF105: 1992년부터 도입하여 1994년 후반 마지막으로 도입하여 이 후로 프론트엔진버스는 더 이상 도입하지 않았다. 1992년에는 '폴딩중문+푸른색시트' 조합으로 도입하였고, 1993년~1994년에는 대부분 '폴딩중문+회색시트' 조합으로 도입하였지만 슬라이딩중문형도 청신운수에서 2대, 청주교통에서 2대, 동양교통에서 1대 도입하였다.
  • 대우자동차 BS106 하이파워/BS106L 하이파워: 1991년부터 1998년 초까지 도입한 대우 도시형 및 시내좌석 버스이다. 좌석부문에는 1990년대 초부터 이 버스로만 도입하였고[4], 도시형 부문에는 1995년부터 많이 도입하였으며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청주 시내버스의 상당수를 차지하던 BF101Q 1988년~1989년형이 1995년~1996년에 대부분 이 버스로 대거대차하였다. 1999년에 서울 출신 중고차로 BS106L이 더 들어오기도 하였다(동양교통 6026호).
  • 대우버스 BS106L 로얄시티: 동일운수우진교통에서 운행하였다.
  • 대우버스 BS120CN: 동일운수에서 1대 도입하였다.

2 관련 잡담

청주 시내버스는 1970년대부터 자일대우버스(당시 명칭은 신진자동차, GM-코리아, 새한자동차)에서 생산한 버스차종이 많았고, 현대자동차/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한 버스차종도 적게나마 있었다. 동아자동차(쌍용자동차의 전신) HA20도 소수 있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초반부터 대우버스와 현대버스로 도입하였고, 1980년대 후반 동양교통에서 FB500 도입할 시기에 당시 현대 도시형 버스가 등판능력이 약하다는 이유로 한동안 청주 버스업체들 사이에서 현대차를 기피하는 경향이 강했다. 1988년 청주시에서 시내좌석버스가 첫 도입 운행하는데 당시 7개 업체 모두 대우버스 BS105 좌석형을 도입하였다. 당시 청주시내버스 도색은 충북 공용도색을 적용했는데 좌석버스 도색은 도시형 도색 중간에 빨간색/파란색 줄이 더 추가된 형식이었다. 1980년대에 도시형에 '프론트엔진형+중문폴딩형' 조합으로 도입[5]한 거 보면 청주시가 당시 중소도시급 지역임을 감안하면 시내버스 옵션이 좋지 않았었다[6]. 한편, 청주시 시내버스 노선 중 대형버스 운행이 어려운 지역에는 1984년 동일운수에서 아시아 AM808 중형버스를 2대 투입하여 운행했다가 1989년부터 청주시 7개 업체에서 아시아 AM818 중형버스를 1대씩 도입하여 7대가 공동배차 형식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7][8]

이 후 1990년부터 1995년까지는 오르지 대우버스로만 도입하였는데, 주 차종이 BF105에 전중문 폴딩형이었다. 물론 BS105 및 BS106 하이파워도 조금 섞어서 도입하였다. 당시 청주 시내버스로는 십중팔구가 대우버스였고, 현대 FB500도 동양교통에 적지 않은 댓수가 있었다. 그나마 BF101(원형 헤드램프+전문 분리형유리창)이 생존해 있던 1993년 당시만 해도 FB500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는데, 주류를 이루었던 년식이 1986년~1987년형이었고 7년 운행하여 대차[9]해서 1993년~1994년 초에 대부분 대차하여 이 후로 청주에 현대버스는 가뭄에 비오듯 보였다.
그러다가 1996년 BS106 하이파워 냉방형을 비롯한 냉방도시형을 대거 도입하였고, 현대자동차 시내버스도 이 때 다시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이 해에 청주시 시내버스에 대개혁이 일어나는데 1980년대후반~1990년대 초중반에 청주시내버스 주력차종이었던 BF101 후기형(1988년~1990년형)이 당해 신차로 대거 대차되어 주력차종이 프론트엔진버스에서 리어엔진 냉방도시형으로 바뀌게 된다. 이 후로도 마저 남아 있던 프론트엔진버스들은 대부분 7년 운행하고 대차[10]하였고, 특히 청주교통은 2000년 이전까지 당시 고령차량들을 대거 대차[11]하여 이 후로 무냉방차량은 BF105 중문슬라이딩차량 2대(3031,3034호)가 전부였다.

2002년 6월 청주시에도 가스차가 들어오기 시작하고 이후로 가스차로 점차적으로 대차하였다. 다만 일부 중형차량은 디젤차량으로 도입하기도 하였다. 가스차는 2002년 6월 동일운수, 우진교통을 시작으로 하여 도입했고 대우 도시형 가스차로 도입했다. 이후로 청신운수(현대 도시형 가스차)와 동양교통(대우 좌석형 가스차)에서도 도입하였고, 10월 한성운수에서도 도입하였다. 반면 청주교통은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2000년 이전에 무냉방차량들이 대거 대차되어 대차할 차량이 없어서 가스차를 도입하지 않았고 2003년 중반에서야 차령 만료된 좌석형을 대차하면서 현대 좌석형 가스차를 처음으로 하여 가스차를 도입하였다.

2005년 청주에 저상버스가 들어왔고 이 후로 해마다 저상버스 또한 늘어나갔다.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당시 청주버스 6개 업체들 중 동일운수만이 대우버스를 도입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현대버스로 도입하였다. 다만 청주교통동양교통은 대우버스도 약간 섞어서 도입하였다. 이 시기(2005년~2007년)에 청주 시내버스 주력 차종이 대우버스 BS106 하이파워에서 현대버스 뉴슈퍼에어로시티로 변경되었다.

그런데 한성운수가 2008년 F/L 형식 도입부터 현대자동차 측의 서비스 문제로 인해 대우버스쪽으로 등 돌린 상태이다. 그러다가 2016년, 약 8년여만에 현대차를 출고하여 4월에는 그린시티, 6월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하였다. 반면 동일운수는 2012년에 현대버스를 1대 사오더니 2015년에는 계속 도입하고 있어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거기에 2009년 전국 최초로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저상버스를 도입하였다. 한편 우진교통은 2014년 청주시 최초로 현대 블루시티를 도입하였다.

저상버스에 장착되는 자동변속기는 공인 정비소가 옆 동네에 있는 영향 때문인지 청주시 시내버스는 현대다이모스 AMT만을 선택할 수 있는 우진교통의 블루시티를 제외한 모든 저상버스가 ZF 자동변속기를 사용한다.

여담으로 청주 시내버스 업체들 중에는 운행차종의 제작회사가 단일화되어 있는 업체가 없다. 대부분이 현대버스인데 대우버스가 약간 있는 업체가 청신운수, 청주교통, 우진교통, 동양교통이며, 동일운수는 대우차 위주에서 현대차로 대차되고 있고, 한성운수는 반대로 대우차로 대차하고 마저 남은 현대버스들도 대우버스로 대차할 예정으로 보...였으나... 2016년, 약 8년여만에 현대차를 출고하여 4월에는 그린시티, 6월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하였다.
  1. 다만 동양교통은 1986년~1989년에 걸쳐서 도입한 반면 청주교통은 1986년~1987년에 도입하여 1993년~1994년 초까지 운행하였다.
  2. 2004년 11월 도입분으로 청주 최후 슈퍼에어로시티 도시형 도입분이었다. 2015년 대우 뉴BS110을 도입하면서 대차하였다.
  3. 이전 2000년~2001년 사이에 청주 버스 업체별로 2대씩 일부 미교체 감차가 있어서 중간에 결번이 생기기도 하였다. 따라서 순수 증차라고 보기는 어렵다.
  4. 본래 청주 업체에서 자체 출고한 이 차종의 좌석차량들 전량 전문형으로만 이루어져 있었는데 2000년대 초 동양교통에서 1997년 초기형 6046호 전중문형을 중고로 1대 도입하기도 했다.
  5. 극소수는 BF101에 중문 슬라이딩형도 있었고, BS105 도시형도 청신운수와 청주교통에 약간 있었다.
  6. 이는 비단 청주시 뿐만 아니라 멀지 않은 천안시도 그랬고 이 외 중소도시급 지역들도 프론트엔진버스 도입시 중문폴딩형으로 도입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런데 1980년대 이랬던 청주시내버스가 거듭 발전하여 가스차 및 저상버스는 물론 현대 블루시티까지 있다.
  7. 그 AM818 7대는 1997년에 대우버스 BM090 전문형으로 대차했고, 2004년에 좌석도색에서 도시형도색으로 변경하였다가 그 버스가 9년 운행하여 2006년에 당시 중형신차로 대차했다.
  8. 청주시내버스로 운행한 기아(아시아)버스차종은 AM808/AM818 중형버스 이외에 1970년대 이전에 도입했던 버스차종이 더 있었고, 1980년대 이후로 나온 AM9O7 모델명을 부여받은 기아(아시아) 대형 도시형차종은 운행한 역사가 단 한번도 없었다. 옆 동네인 충남지역은 AM도시형을 운행한 지역이 많았던 반면 청주를 비롯한 충북지역에서는 AM도시형 운행이 거의 전무한 지역이다. 그나마 있던 곳은 충북에서 남쪽 끝인 영동군 동일버스에 1996년~1997년형이 다수 있었고, 괴산 아성교통에 AM937L 무냉방형 1대가 전부였다.
  9. 이는 비단 청주 뿐만 아니라 1980년대에 도입했던 프론트엔진 시내버스들은 대부분 7년 운행하고 대차하였다.
  10. BF101 후기형이 1997년~1998년 초에 전멸하고 BF105 중에 파란색시트 달린 1992년형이 1998년~1999년에 대부분 대차하였으며, 회색시트 달린 1993년~1994년형이 2000년~2001년에 대부분 대차하였다. 물론 1993년~1994년형 중 일부는 2003년까지 생존하기도 했다.
  11. 2000년 초 당시만 해도 청주교통에 BS105 및 BF105 중문폴딩형도 다수 존재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