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어풀

1 GIGA에서 만든 에로게

2007년 1월 26일에 GIGA에서 발매된 치어리더를 주제로 한 에로게. 같은 학원 치어리딩부를 무대로 한 작품으로 『큐어풀!』이 있다.

  • '등장인물
카자마 스구루(風間 俊(かざま すぐる))
주인공.
사쿠라기 유리카(桜木 百合香(さくらぎ ゆりか))
스구루의 소꿉친구이자 동경하는 선배.
타치바나 미유키(橘 美雪(たちばな みゆき))
치어리딩부 부장.
아키노 모미지(秋野(あきの) もみじ))
스구루의 근처에 사는 동갑의 여자 아이
나츠키 후타바(夏木 双葉(なつき ふたば))
치어리딩부 부원 2학년.
시라카바 코즈에(白樺 梢(しらかば こずえ)))
치어리딩부 부원 2학년.
사이토 이치타로(佐藤 一太郎(さとう いちたろう))
시라카바 카에데(白樺 楓(しらかばかえで))
코즈에의 언니로 학생회장.
히데오(英雄(ひでお))
코즈에·카에데의 소꿉친구로, 姫百合학원의 번장

2 e스포츠의 응원문화

치어 플래카드(Cheer Placard)의 준말이다.
그 시작은 홍진호의 팬이었던 김승현씨라고 한다.

원래는 선수들 옆에 인쇄한 플래카드를 걸어놓는 걸 치어풀이라고 했지만 지금은 그냥 응원문구가 적힌 것들도 치어풀이라고 하는 상태. 용산 e-Sports 스타디움이나 MBC게임 히어로 센터에 가면 응원문구를 쓰라는 목적으로 치어풀 보드라는 것을 백여장 정도 둔다. 하지만 매직펜은 쓰기 어려운 경우도 많으니 자기가 준비해 가는 편이 나을 듯.

히어로 센터의 경우 검정색과 빨간색 펜을 모두 합쳐 4~5자루 정도밖에 없어 치어풀 쓰기도 전에 경기 시작할지도 모른다. 반면 용산은 10여자루가 넘는다. 하지만 이쪽은 굵은펜이 없다.

엄청 잘 만든건 완전 초상화 수준. 미대 다니시는 분들이 많은 모양이다.

치어풀 보드는 싸인보드로도 많이 쓰이는데 싸인을 하고 싶으면 굵은펜 쪽이 훨씬 선명하고 간지가 난다. 아마도

스타리그프로리그는 전부 치어풀을 인쇄하고 있다. 바투리그도 치어풀은 인쇄하고 있는데 이쪽 치어풀은 여타 치어풀에 비해 굉장히 크고 아름답다. 5절지 정도인데 굉장히 큰거다.

카메라에 잡히기 위해 온갖 문구를 동원하고 번쩍번쩍 들고있는 것이 치어풀 캐칭의 묘미랄까. 그리고 뒤집기라는 반전 역시 치어풀의 핵심요소다.

  • 절대영역 2.22cm가 일궈낸 기적, 황신 오신 날. 어떤 분께서 홍진호를 응원하는 치어풀을 들어보이고 있었는데 갑자기 치어풀을 뒤집더니 나타난 문구가 ㅋㄲㅈㅁ였다. 여러 의미로 비범한 치어풀이었다. 결국 그 날은 콩까는 대신 코를 팠다 카더라
  • 64회째 임진록때 치어풀은 앞면이 그는 기적의 폭풍과 함께합니다. 홍진호!였는데 뒷면은 기적을 행하는 임요환+ 해처리 핵관광 그림이었다는 대반전이 좌중을 폭소시켰다. 하지만 임정일은 졌다. 다행이다(?)
  • 프로리그 중계권 사태KeSPA때문에 MBC게임 리그 예선이 잘 하고 있다가 갑자기 중단된 데 대한 항의로, 슈퍼파이트에서 어떤 사람이 자신의 치어풀이 잡히자 그 뒤에 숨겨놓은 "케스파 보이콧 사과해"를 방송타게 한 대박낚시를 성공시킨 적이 있다.


요즘은 스폰서 측에서 치어풀을 풀기도 한다.

  • 《스폰서에서 풀고있는 치어풀 목록》
    • SKT T1 - 쥘부채, (임요환 출전 시)황제의 귀환 치어풀
    • 하이트 스파키즈 - (야외경기, 결승전 시) 응원기
    • 경기 스폰서 - (결승전 때) 벌룬 스틱

SKT 선수들은 출전 전에 각오의 메세지를 적고 나간다. 이건 치어풀에서 파생된 쇼맨십 정도 되는 것.

  • 64회 임진록 때 임요환의 메세지는 콩은 까야 제 맛이었다.
  • 동일한 날 김택용박태민과 싸우기 전에 써놓고 나간 멘트가 저그 이기고싶다 -택용-이었다.
  •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2에서는 홍마관 식구들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