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미
칼카 강 전투. 몽골 제국 최초의 유럽 땅 침공이자, 러시아 지배의 시작을 알린 전투.
당시 러시아 공국 연합군대가 정면타격도 받아내지 못할만큼의 완전한 무능함을 나타내고 사실상 러시아 공국 연합군의 야전 역량이 파괴된 전투로, 이 이후 러시아 공국들은 연합하여 대항할 생각도 못하고 자기 영지에서 자국을 온존할 생각에만 전념하다가 나중에 몽골군이 본격적으로 들어오면서 모두 각개격파당했다. 무서운 것은 이 때의 몽골군은 러시아를 공격하려던 것이 아니라 호라즘 왕국 술탄 추격전을 벌인 다음 카스피해 건너편으로 돌아가기 위해 북쪽으로 빙 돌아 귀환하던 도중에 일어난 전투라는 점이다.뺑소니?
2 배경
1219년 칭기스칸은 호라즘 왕국의 중심지인 사마르칸트와 부하라(지금의 우즈베키스탄) 일대를 공략한 후, 도주하는 술탄 알라 웃 딘 무함마드를 추격하기 위해 장군 제베와 수부타이에게 두개 만인대를 맡겨 파견한다. 전력을 재정비할 시간을 주지않은 추격 끝에 1221년 1월 카스피해 서쪽까지 기동한 몽골군은 이곳에서 이미 무함마드 2세가 카스피해 안의 섬에서 작년 12월에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이에 두 장군은 칭기스 칸에게 앞으로의 행보를 물었고, 답신이 오기를 기다리는 동안 둘은 이 일대에 주둔하면서 때마침 근처에 있었던 캅카스일대의 조지아 왕국을 심심풀이로 갈아버렸다. 뭐, 캅카스의 험준한 산악지역까지 진출하지는 못했다지만. 나름대로 잘나가던 조지아 왕국이 한방에 반쯤 갈려나가는 걸 목격한 아제르바이잔 일대의 토후국들은 경악을 금치 못하며 몽골군에 드, 드리겠습니다재물을 바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개 도시는 몽골군에 함락필요없어!, 도시째로 갈려나갔다. 이후 몽골군은 목초지를 찾아 카스피해 북쪽으로 이동했고 이 지역에서 킵차크족을 흡수하면서 소모된 전력을 증강했다.
1223년 초 칭기스칸은 이들 둘에게 전리품을 가지고 귀환할 것을 명령했고, 때마침 카프카스인들이 킵차크족과 연합해 몽골군에게 대향하자 제베와 수부타이는 이들을 격파하고, 돌아가는 김에 좀 더 가서 크림 반도까지 한 번 찍고 전리품을 들고 귀환하기로 정하고, 시행에 옮긴다. 이 과정에서 크림 반도 일대에 형성되어 있던 제노바 공화국의 식민도시들이 여럿 갈려나갔다.모난 놈 옆에 있다 돌 맞았다.
크림 반도에서 전리품도 충분히 챙겼다 여긴 몽골군이 귀환할 준비를 하고 있을때 몽골군에게 두들겨맞고 서쪽으로 피난갔던 킵착족들은 러시아의 여러 공국들에게 '다음 차레는 너넬껄' 하면서 충동질했고, 이에 당시 러시아권의 수장격이었던 키예프 공국을 중심으로 연합군을 편성한 러시아 공국군이 한참 돌아갈 채비를 하던 몽골군에게 접근한다.
(호라즘 왕국과 그 주변지역 지도. 몽골군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갔는가를 짚어보자.)
3 양군의 전력
몽골군의 전력은 기록상 확인되는 바로는 2개 만인대(투만)이다. 보통 1개 만인대는 정원이 1만에 달하나, 실제로 이런 정원을 다 채우는 경우는 드물었고 보통은 7~8천 내외였다고 한다. 여기에 장기간의 추격전으로 입은 전력 손실도 있으나, 카스피해 북부 스텝초원에서 한해를 나면서 주변 부족들을 복속시키고 전력을 충원했기 때문에 전체 전력 규모는 1만 5천~2만 명 사이로 여겨진다.
이에 반해 러시아군은 약 8만 명이었다. 전력 구성은 갈라치아의 대공 므스티슬라프 흐라브리, 볼리니아의 대공, 쿠르스크의 대공, 키예프와 체르니고프 대공, 수즈달의 대공, 로스토프의 대공이 연합하였다
4 전투
4.1 전초전
러시아군은 전투 직전 몽골군에게 속임수를 걸었다. '우린 그저 쿠딘족을 토벌하기 위해 온거지 님들과 싸우려는 게 아님' 이라는 거짓 사신을 보낸 것이다. 때마침 동쪽으로 돌아가기 바빴던 수부타이와 제베는 이 말을 믿고 약 천여명의 병사들만 남긴채 동쪽으로 출발했는데, 러시아군은 강가에 있던 이들 몽골군을 포위해 전멸시키고, 돌아가는 몽골군을 마저 추격해 공격을 가한다.
그러나 이건 호랑이의 꼬리를 밟은 격이였다.
4.2 전투 과정
기습공격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몽골군은 러시아군의 공격을 어렵지 않게 받아넘겼다. 여기에 선봉에 나섰던 킵착족 전사들이 철수할 수 있게 열어놓은 틈을 몽골군이 철수하는 킵착족 뒤에 바싹 붙어서 난입해 들어오자 러시아군은 붕괴. 이후 몽골군은 언제나 하던것처럼 양익을 길게 펼처 퇴로를 막고 러시아군을 섬멸했다.
키예프 대공은 이때에 자기 캠프에서 패잔병들을 받아들이며 기다렸다가 이후 달려온 몽골군에게 포위당했다. 1만여에 달하는 병력을 확보했지만 이걸로는 몽골군을 막아내는 데만 급급했으며, 사흘간의 공격 후 몽골군이 항복하면 무사히 돌려보내 주겠다고 회유하자 잔존 러시아군은 항복한다. 그러나 몽골군은 딱히 러시아군을 살려보낼 생각이 없었고, 고위 귀족들은 포로로 잡혔고 나머지 러시아군은 학살당했다.훼이크다 이 병신들아[1]
5 전투 이후
이 패배로 러시아군의 야전 능력은 사실상 소멸되었다. 학자들에 따르면 최소 2/3 이상의 러시아군이 살해당했다고 한다. 포로로 잡힌 귀족들은 몽골군에 의해 피를 보지 않는 방식으로 모두 살해당했다.[2] 간신히 살아남은 러시아군 수뇌부는 강가의 모든 배를 파괴해 몽골군이 강을 건널 생각을 못하게 만드는데 급급했다.
몽골군은 이때에 딱히 러시아를 공격할 생각은 없었고 이제까지 획득한 전리품을 가지고 칭기스 칸에게 합류하기 위해 출발했다. 돌아가기 전에 이들은 후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 킵차크족의 칸을 추적, 제거해 버렸다.
임무를 달성한 몽골군은 시르 다리아 강으로 돌아가 칭기스 칸과 합류했다. 비록 이 귀환길에서 제베는 병사했으나, 수부타이는 이 일대의 지형과 부족들에 대한 정보를 채득하고 있었다.
나중에 몽골군이 서방 원정을 나설 때, 수부타이는 이 정보를 손에 쥐고 원정을 지휘하게 된다.
러시아 우월주의자들에게 있어 이 시기는 굴욕의 역사이기에 소련 시절 반지배 상태이던 몽골에서 이 전투는 은폐되면서 가려졌으나 공산 정부가 무너진 다음에 몽골에선 신나게 자랑스러운 역사로 이젠 널리 배우고 있다.
러시아 시인 푸쉬킨은 이 전투를 굴욕의 역사라며 한탄하는 시도 지은 적이 있다. 하긴 이 양반은 몽골의 지배를 싸움 밖에 없던 것이라고 까던 사람이니.
조조전 모드 칭기스칸에서는 전투 조금 전부터 병에 걸린 제베가 헥헥거리는데, 전투를 할지 안 할지 선택할 수 있다. 역사대로 이 전투를 하면 제베와 무카리가 죽고, 이 전투를 하지 않고 넘어가면 두 사람이 산다. 엔딩분기와 관련 있으니 둘 다 해볼 것을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