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일로피시스 | ||||
Coelophysis Cope, 1889 | ||||
분류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미분류 | 석형류(Sauropsida) | |||
목 | 용반목(Saurichia) | |||
아목 | 수각아목(Theropoda) | |||
과 | †코일로피시스과(Coelophysidae) | |||
속 | †코일로피시스속(Cryolophosaurus) | |||
종 | ||||
†C. bauri(모식종) †C. rhodesiensis[1] †C. kayentakatae †C. holyokensis?[2] |
사람과의 크기 비교
모식종의 두상 복원도
골격도
목차
1 개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부터 쥐라기 전기까지 살았던 초기 수각류 공룡 중 하나, 그중에서도 잘 알려진 편이다. 2억 2000~1000만년 전 쯤에 생존하였다.
미국 뉴멕시코주와 유타,애리조나 주에서 주로 발견되며 특히 미국 뉴 멕시코 주에 고스트 랜치에서 수천 마리의 코일로피시스 무리가 함께 발견되었고, 오늘날의 코일로피시스의 대부분 정보는 이 곳에서 나왔다. 이렇게 많은 숫자의 코일로피시스가 한 장소에서 죽은 이유를 두고 다양한 추정이 나오고 있다
몸체는 2.7m 가량으로 웬만한 자동차 길이 만큼 길지만 정작 무게는 10살 초딩 정도 밖에 안된다. 매우 마르고 호리호리한 체형인데 이 덕분에 민첩하게 달릴 수 있었다고 한다.
원시적인 공룡이긴 하지만 에오랍토르나 헤레라사우루스같은 공룡들보다 좀 더 진보되었으며 심지어 후대의 수각류들의 특징인 견대나 분리되었지만 쇄골도 가지고 있다. 앞발가락도 4개나 있었지만 3개만 제 기능을 하고 1개는 퇴화되고 있었다.
큰 눈을 가지고 있어서 시력도 매우 좋았고 목은 S자로 구부릴 만큼 유연하였으며 꼬리도 반 경직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는 빠른 속력으로 다니면서 방향을 틀거나 균형을 잡을 때 평형추 역할을 해서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이 쯤 되면 그시기엔 생존왕 수준. 실제로 코일로피시스는 트라이아스기 대멸종 에서도 살아남았다 앞에 서술한 특성들과 풍부한 개체수가 살아남는데 큰 공헌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빨의 형태는 전형적인 수각류의 형태로, 매우 날카롭고 고기를 썰기 적합한데 주로 작은 동물을 먹고 살았을 것으로 보이나 시체를 먹기도 했을 것이며 무리지어서 사냥했을 것이라는 가설도 존재한다
여담으로, 새끼를 잡아먹은 화석이 발견되어 동족상잔의 상징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2006년에 이것은 새끼를 잡아 먹은 것이 아니라 원시 소형 악어인 테리스트리수쿠스(Terristrisuchus)를 잡아먹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아직도 웬만한 대중매체에는 동족포식의 예로 알려져 있다. 물론 갈매기처럼 둥지에 침입한 다른 새끼공룡을 잡아먹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고 극한 상황에서는 다른 육식동물이 그러하듯히 서로 잡아먹기도 하였을 것이다.
2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2.1 Walking with Dinosaurs
다큐멘터리 Walking With Dinosaurs에서도 등장하였다. 작중에서의 모습은 아마 고스트랜치의 화석을 모델로 한 듯. 에피소드의 주인공급으로 등장하며 쪽수를 이용해 포스토수쿠스를 발라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3] 앞에서 언급한 새끼를 잡아먹는 장면 또한 여기서도 나온다. 정확히는 가뭄 때문에 먹을게 없어지자 궁여지책으로 그런 것이지만...
2.2 When Dinosaurs Roamed America
Discovery의 When Dinosaurs Roamed America에서도 나온다.
2.3 디노디노
디노디노에서는 깃털이 달린 모습으로 나오고[4] 거의 타이라니드급의 스펙을 보여주는 흠좀무한 모습으로 나오는데, 작중 묘사를 보면 한 장소에 있던 육상동물들을 전부 이놈들이 잡아먹었다.
2.4 주타이쿤
주타이쿤에서 등장하는 코일로피시스는 태어날 때부터 인간보다 거대한 체구를 자랑하고 공룡전용 울타리가 아닌 것은 몸통박치기로 박살내며 다 자라면 사자보다 큰 크기에 현생 맹수들을 전부 개발살내는 먼치킨으로 등장한다(...). 이는 코일로피시스보다 못한 스펙인 벨로키랍토르에게도 해당하는 사안인데 게임 시스템상 육식공룡은 무조건 육식 현생종보다 강하게 시스템되어있기 때문이다. 물론 실제 이들의 체구를 감안하면 맹수는 커녕 인간이나 이길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3 기타
마이아사우라와 함께 우주 왕복선을 타고 우주 여행을 갔다. 카네기자연사박물관에 가져온 코일로피시스 두개골을 싣고 1998년에 우주 비행을 한 것.- ↑ 원래 신타르수스였던 종이다.
- ↑ 원래는 메갑노사우루스였던 종이다. 이 덕분에 코일로피시스의 생존 시기가 쥐라기 전기까지로 늘어났다. 쥐라기 전기에는 더 작은 몸집의 근연종인 세기사우루스와도 공존했었다.
- ↑ 삭제된 장면을 보면 무리 사냥으로 포스토수쿠스를 잡은 듯 하나, 실제 영상에서는 거의 죽어가기 직전의 포스토수쿠스를 잡아먹는다. 사실 이빨 달린 왜가리 같은 애들이 회색곰 만한 육식 파충류를 사냥한다는 것이 코미디다.
- ↑ 지금이야 공룡 이전의 조룡류부터 정황상 깃털이 있었을 거라고 보는 추세지만, 해당 작품 연재 당시 원시 수각류의 깃털 존재 여부는 추측의 영역이었다. 물론 현재 코일로피시스속에 통합된 신타르수스의 경우는 80년대부터 깃털이 달린 모습으로 추정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