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칼의 내기

Pascal's Wager

1 개요

프랑스의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이 제시한 그리스도교 변증법.

2 특징

하느님이 존재하지 않지만 하느님을 믿을 경우 (하느님 없이는 죽음이 끝이라는 가정 하에) 잃을 것은 아무것도 없지만 하느님이 존재하고 하느님을 믿으면, 다시 말해 옳은 선택을 했다면 영원한 행복을 얻게 되는 것이다.

반면 하느님이 존재하지 않고 하느님을 믿지 않는다면 (마찬가지로 죽음이 끝이라는 가정 하에) 얻는 것이 하나도 없으나 하느님이 존재하는데 하느님을 믿지 않으면 지옥으로 떨어질 것이다.

한마디로 믿어서 손해볼 건 없고, 안 믿고 있다가 만에 하나 진짜 있으면 X되니 걍 믿는게 이득

하느님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와, 하느님이 존재할 경우 두 가지 중, 전자의 확률이 아무리 희박하더라도, 하느님이 실제로 존재할 경우 하느님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큰 손실을 가져다준다는 것이 요지.

하느님을 믿지 않는 사람에게도 뭔가 대단히 의미심장한 말 처럼 들리기 때문에 이 말을 듣고 하느님을 믿기 시작하는 경우가 더러있다. 사실 여러 반론이 가능하지만, 단순히 수지타산만 따지면 꽤나 합리적인 이론같아보이는인 것은 사실이다.

3 반론

550px
번역 출처[1] 그림의 신은 힌두교의 신 가네샤.

그러나 하느님을 믿으면 잃을 게 아무 것도 없다고 해서 이승에서 열심히 하느님을 믿었는데, 정작 죽어 보니 자기가 이승에서 열심히 믿었던 하느님이 아니라 다른 신이 다스리고 있다면?[2] 혹은 악마가 결국 패권을 잡은 상태라서 하느님을 믿는 사람만 지옥에 보낸다면?[3]

우선 종교적 신념이 손익 계산의 대상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과 함께[4], 설령 이런 계산 끝에 종교를 가진다고 한들, 모든 것을 볼 수 있다는 그 전능하신 하느님이 이것을 '진정한 신앙'으로 여길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남는다. 왜냐, 저 말대로라면 하느님을 믿는 것이 진실된 믿음이 아니라 자기가 혹시라도 지옥 안 가고 하느님이 진짜 있으면 이익이니 하느님을 믿자는 건데, 그게 하느님을 제대로 믿는 거냐는 반론이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파스칼이 이 말을 한 것이 하느님의 존재증명과는 큰 관계가 없다고도 한다. 10대에 이미 계산기를 발명하고 그 데카르트와 학문적으로 맞장을 떴던 사람이, 이런 허술한 논리로 어떤 증명을 하려 들 리 없다는 것 노망?

또한 이 주장은 주장 자체가 17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만큼 아예 그리스도교적 가르침을 기본적인 전제로 깔고 시작한다. 하느님을 믿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는 건 누가 정했는데? 상단의 예시 문장에서 '하느님' 부분만 아무것으로나 바꿔서 생각해 보면 된다 '나무위키를 믿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 그러니까 나무위키를 믿자!'. 논리적 오류 중 하나로, 이름을 하나 제시하자면 바로 이런 걸 "가정 망각의 오류"라고 부른다

이 내기에는 중요한 부분이 빠져있다. 내기의 내용의 손익계산은 '유신/무신' x '신앙/무신앙' 인데, 정작 현실의 경우에는 '유신/무신' x '신앙/무신앙' x '믿음의 대가 유/무' 로서, 믿는다고 해서 손해볼 게 없진 않다는 것이다. 가볍게는 신앙을 가짐으로서 쓰여지는 시간이나 심력, 재력 등과 종교적인 규율에 따라야 하는 제약 등이 있으며, 무겁게는 종교로 인한 여러가지 사회적 문제점들을 감수해야 하는 대가를 치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위에 언급된 것처럼 전능한 하느님이 기독교인을 혐오하는 하느님이라 등이 언급되고는 한다.[5] 이 경우 파스칼이 애시당초 하느님의 존재 가능성 그 자체에 대해서 논하지 않았음을 지적하는 식의 반론과 엮어서 언급된다. 또한 있는지 없는지도 모를 하느님이 내려주는 보상이 제아무리 크더라도, 지금 당장 주머니 속의 10원짜리 한닢보다 낫다고 말할 수 없다. 다만 하느님을 믿음으로서 얻는 보상 중에는 심리적인 위안그리고 몇천년간 소식을 업데이트 해주지 않는 천국을 악마가 다스리고 있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 같이 확실하게 현실에서 얻을 수 있는 것도 일부 존재한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게다가 믿음의 대가가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문제는 전형적인 give and take의 경우에 해당하는지라 사후세계의 보상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여 이러한 대가들과 비교해 보아야 하게 된다는 것도 문제가 된다. 즉, 논의 자체가 상당히 계산적으로 변하는 바람에, 정작 종교에서 말하는 신실함과는 십만광년쯤 떨어진 이야기가 된다는 것.

어쩌면 파스칼은 죽기 직전이라 손해 볼게 없으니 믿은 것일지도 모른다. 살면서 할거 다 했으니 명성을 버리고 사후의 개선확률을 취한다!

한 종교인은 파스칼의 내기를 부정하진 않았지만 "신앙은 평생에 걸쳐 쌓아 올리는 것인데, 평생 믿지 않았던 것을 죽을 때가 됐으니 믿자고 자신의 마음을 가볍게 바꿀 수 있겠느냐??"며 돌려깠다. 부러워서

4 기타 요모조모

하지만 여러가지로 폭풍까임을 당하는 논리임에도 불구하고 죽음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는 설득력있게 느껴지기도 하는 모양이다. 머리 좋기로는 세상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워 할 존 폰 노이만마저도 죽기 직전에 가톨릭으로 귀의하면서 파스칼의 내기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고백할 정도였으니... 다만 노이만이 가톨릭에 귀의할 당시에는 이미 암에 걸려서 시한부 상태였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평소 건강할 때에는 불가지론자였다고 하니 어쩌면 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다만, 그의 병자성사를 집전한 신부의 말에 따르면 정작 노이만 자신은 가톨릭에 귀의한 후에도 그다지 큰 위안을 얻지는 못했다고 한다. 죽기 직전에 갑자기 귀의한다고 해서 평생 믿지 않았던 것들을 진심으로 믿게 될 수 있었을지는 생각해 볼 문제.

웹툰작가 이말년이 이 문제를 주제로 삼아 2012년 10월 둘째 주 분량부터 심도있는 고찰 연재를 했다고 할 수 있을까

중요한 사실은, 이 내기의 결론은 현재 시점에서는 이미 1965년에 정해졌다고 봐야 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서 참조.

  1. 원작은 'Rusell's Teapot'이라는 웹코믹이지만 현재 사이트가 다운되었다.
  2. 그런데 사실 힌두교에 전래되는 어떤 이야기는 무신론자가 "신은 없다!"라고 죽을 때까지 되뇌이다가 죽어서 신이 되었다는 흠좀무한 이야기도 있다. 그가 신이 없다고 되뇌임으로써 신의 존재를 계속 인지하고 있었으므로. 다만 이건 악마도 신에게 기도하고 수련하면 그 결과가 나올 정도로 유니크한 힌두 신화의 특성 때문이니, 다른 종교에서도 이런 로또를 바라진 말자. 무엇보다 힌두교의 신들은 수천만 수억이라고 할 정도로 그 숫자의 인플레이션이 심해서 별거 아니다. 신사에 모셔진 것을 신이라고 본다면 일본 신토 정도가 힌두교와 신 머릿수로 붙어볼만할 것이란 말이 나올 정도니 뭐.
  3. 이 내기의 주요 포인트는 매우 큰 보상을 얻고 싶어서 존재확률을 무시하는 것인데, 하느님을 안 믿는다고 지옥에 보내는 하느님이나 하느님을 믿는다고 지옥에 보내는 악마나 차이가 없다!
  4. 더글라스 애덤스는 '당신을 위해 믿는 일을 대신하는' 수도자 로봇으로 이 논리를 조롱한 바 있다.
  5. 이 경우에는 같은 논리로 안 믿는 것이 이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