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각모

IMG_2201%20copy.gif

해병대 교육훈련단(현 해병대교육단)을 방문한 노무현 前 대통령. 대통령이 착용한 팔각모의 봉황 문양이 눈에 띈다.[1] 이 사진의 포인트는 대통령이 아니라 뒤의 해병대사령관이다. 보라! 저 놀랍도록 정밀한 삼선일치를! 시공간을 둘로 쪼개는 듯한 사령관의 삼선일치!!

八角帽, 8 Point Cover[2]

1 정의

말 그대로, 8개의 꼭지점을 가진 형태의 모자. 대한민국에선 해병대의 전투모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고 보면 국군에서 유일하게 해병대만이 팔각모를 착용하는 것은 아니고 팔각모를 쓰는 부대는 여럿 존재한다. 예를 들어 UDT/SEAL이나 SSU해군의 특수부대도 팔각모를 착용한다. 그러나 이들 팔각모 착용 부대들은 특수부대답게 워낙 인원이 극소수라 일반 대중들이 볼 기회가 별로 없어서 팔각모를 쓴다는 사실조차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비교적 인원이 많고 언론노출과 대민접촉이 잦은 해병대가 일반 대중들에겐 팔각모를 쓰는 유일한 부대인 것처럼 잘못 알려지게 된 것이다.

2 대한민국 해병대의 팔각모에 대한 해석

대한민국 해병대는 팔각모에 담긴 뜻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당연히, 처음부터 이런 뜻을 가지고 모자를 만든 건 아니고, 후술할 채택 과정 후 뭔가 있어보이라고 적당히 갖다 붙인 것이라 그런지 해병들은 별로 안 지킨다.

일반적으로 모자(帽子)는 예의를 지키기 위하여 또는 추위나 더위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거나 장식적 또는 사회적 지위의 상징으로서 머리에 쓰는 것을 총칭하여 일컫는다.
이러한 모자는 과거에 주로 개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짓기도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사회적 신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용도와 편리성‚ 선호도 등에 따라 그 형태도 다양하게 변모하였다.
군대에서도 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평상시 장‚사병이 공통적으로 쓰는 전투모는 색깔 및 형태에 따라 해당 군의 정체성을 상징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해병대를 상징하는 ‘팔각모’는 다음과 같은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팔각모는 신라시대 전 신라인의정신이기도 하였던 화랑도 정신인 오계(五戒)와 세 가지 금기(禁忌)를 포함하며 팔계(八戒)의 뜻을 가지고 있다.
  • 팔각모는 팔각(八角)의 의미와 "팔극(八極)"의 의미를 함축
  • 팔극(八極)의 의미 : 지구상 어디든지 가서 싸우면 승리하는 해병대"임을 상징
  • 팔각(八角)의 의미 : 화랑도 정신인 오계(五戒)와 세가지 금기(禁忌)를 표현
    • 국가에 충성하라(事君以忠)
    • 뜻 없이 죽이지 말라(殺生有擇)
    • 부모에 효도하라(事親以孝)
    • 욕심을 버려라(禁慾)
    • 벗에게 믿음으로 대하라(交友以信)
    • 유흥을 삼가라(愼遊興)
    • 전투에 후퇴하지 말라(臨戰無退)
    • 허식을 삼가라(愼虛飾)
  • 팔각의 중심점은 지휘관을 중심으로 하여 여덟 가지 해병대의 길을 가리키고 있다.
    • 평화의 독립수호
    • 적에게 용감
    • 엄정한 군기
    • 긍지와 전통
    • 희생정신으로 국가에 헌신
    • 불굴의 투지
    • 가족적인 단결도모
    • 필승의 신념으로 승리 쟁취
출처 : 대한민국 해병대 홈페이지(http://www.rokmc.mil.kr/intro/sub5.jsp)

3 역사

갑주 등 순수하게 전투 목적으로 제작된 부분에서 남은 흔적들을 제외하면, 군의 피복류는 대개 민간의 피복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팔각모도 예외는 아니다.

newsboy+cap.jpg
팔각모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뉴스보이 캡(Newsboy cap).

팔각모와 유사한 형태의 모자는 19세기 후반기에 등장한, 주로 신문배달 소년들이 많이 썼다 하여 "뉴스보이 캡"이라 불린 것으로, 일반 노동자 계층이 애용하던 남성용 모자이다. 이 모자가 민간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냥모와 베레모 등과 결합해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민간용 팬시가 되었다. 그리고, 군에서 이 모자가 등장한 곳은 1940년대의 미군이 최초였다.

cap_field_hbt_shells_375.jpg
미 육군의 M1941 작업모(Field Cap)

민간에서 쓰이던 작업모의 디자인과 유사한 작업모를 미군에서 1941년에 도입한 것인데, 당시에는 육군용과 해군용이 따로 만들어져 납품되었는데, 둘 다 큰 차이는 없었다. 해군용에서 모자 가운데에 해병대의 문양을 찍은 것이 해병대의 것. 당시에는 팔각이 지금처럼 뚜렷하진 않았으나, 기본적인 형태 자체는 잡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US%20Navy%20Seabee-.jpg
작업모를 착용한 미 해군 시설대대원.

USHCP44-2.jpg
미 해병대용 M1944 작업모.

전후에도 이들 작업모는 계속해서 일종의 전투모로서의 역할도 겸하며 살아 남았고, 많은 장병들이 이 모자의 볼품없이 늘어진 모습에 불만을 갖기 시작해 스스로 다리거나 보형물을 넣거나 해서 보기 좋게 각을 잡거나, 처음부터 각이 잘 잡힌 사제품을 구매해 착용하기 시작했다. 어느 나라나 군바리는 똑같다. 전후, 윗부분이 원통형인 깡통모로 갈아탄 육군 및 공군과 달리 해군과 해병대는 이 작업모를 계속 사용했는데, 일선 장병들이 모자에 각을 잡아 쓰는 것에 주목한 윗분들이 아예 각이 잡힌 형태의 모자를 제식화시켰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의 팔각모가 된 것이다. 아랫것들이 개조를 하면 금지시키기만 바픈 모 반도국과는 다르다.

즉, 팔각모는 본래 미 육군과 해군 및 해병대가 함께 써 오던 모자로(미 공군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창설됐다.), 전후 해군과 해병대에 남아 개량된 것이다. 이 팔각모는 지금도 미 해병대 뿐 아니라 해군에도 남아 있다.


현재의 미 해군 팔각모. 파란색 위장 무늬는 함정에서 페인트와 기름때에 의한 오염으로 눈에 띄는걸 최소화 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형 NWU이다.

mt_29marines_800_070713.JPG
미 해병대의 팔각모.

4 국군의 팔각모

한국에서 팔각모를 쓰는 집단은 흔히 해병대만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으나, 실제론 UDT/SEAL이나 심해잠수사들인 해군 SSU 등도 착용하며, 육군의 유격이나 사격 교관 및 조교 등도 흔히 착용한다. 한때 육군 전방 사단의 수색대에서도 팔각모를 착용한적이 있다.[3]# ## 국군에서 최초로 팔각모를 착용한 곳은 의외로 공군이다. 해병대의 팔각모는 한국전쟁에서 미 해병대가 쓰던 구형 피복을 원조받아 착용하다가, 이후 한미 연합훈련 등으로 접촉하면서 지속적인 영향을 받아 공식적으로 도입한 것이다. 해군의 팔각모 또한 훗날 네이비씰의 기원이 되는 미 해군 UDT에게 교육을 받고 돌아온 UDT/SEAL 창설 멤버들이 귀국하면서 함께 들여온 것이다. 미 해군에서 교육 받은 SSU 또한 마찬가지다. 국군정보사령부 예하의 UDU 역시 팔각모를 착용한 모습이 목격되었다. 그리고 육군의 일부 교관과 조교들이 교육시 팔각모를 착용하는 것은 일반 군인들과의 외관적 차별화로 인한 권위와 각잡힌 폼을 위해서이다.

BSH_8188+copy.jpg
대한민국 해병대의 팔각모를 쓰고 있는 김태평 해병. 팔각모의 완성은 얼굴


UDT 장교의 팔각모.

2013010700088_0.jpg
SSU 대원의 팔각모.

htm_201309288305530103011.jpg
UDU 대원들의 팔각모.

B_20070616130553504800890016.jpg
육군의 유격 조교들이 쓰는 팔각모. 저 붉은 팔각모는 육군 뿐 아니라 해군과 해병, 공군 일부 부대에서도 조교용으로 자체적으로 채택해 쓴다.

해병대의 팔각모도 전투모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근무복과 함께 착용하는, 하사 이상의 해병대원에게 지급되는 민무늬 팔각모도 있는데 정식 명칭은 해병대 근무모이다. 팔각 근무모는 2015년부터 근무모를 개리슨 모로 바꾸기로 한 해병대 방침에 따라 폐지되었다. 그리고 이를 다룬 기사들 중 상당수가 근무모만 폐지되는 것을 전투모를 포함한 팔각모 일체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잘못 보도하였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해병대사령관이 쓰고 있는 구형 근무모.

5 군대 이외의 팔각모



교정직 공무원용 기동모도 팔각모 형태로 되어 있다. 위 사진은 기동순찰대(CRPT) 전용이며 일반 교도관들은 운동모 형태의 기동모를 쓴다.


nypd1.jpg
뉴욕 시경(NYPD) 등 일부 경찰 조직의 정모도 팔각모 형태로 된 것이 있다. 물론 미국이라는 나라가 경찰 조직이 한 두개가 아니다 보니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LA 시경(LAPD)은 반대로 팔각모가 1970년 이후로 구형이 되어서 둥근 형태의 정모가 자리잡았다.[4]

6 관련 이야기

  • 사실 매우 유서깊은 모자다.
  • 통합위장무늬가 도입되기 이전의 위장무늬 팔각모들은 모두 사제품이었다. 이전의 해병대 위장복은 방위병용이나 전역피복 등을 제외하면 모두 부대피복으로 운용되었기 때문에 전투모 또한 민무늬 팔각모만 지급된 것. 이 때문에 개인의 취향 혹은 실전에서의 위장성 등을 고려해 개인이 위장복 무늬와 동일한 천으로 된 사제 위장무늬 팔각모를 많이 사다 썼다.
  1. 봉황문양은 대한민국 대통령을 상징하는 문양이다. 일례로 군 인트라넷의 부대 약사에서 역대 부대장을 살펴보면 이름, 임관구분, 최종계급이 표시되어 있는데 대통령을 배출하였을 경우 최종계급에는 봉황문양이 표기되어 있다.
  2. 미군에선 모자류를 Cap이나 Hat보다는 Cover뚜껑라고 부른다.
  3. 제식은 아니고 부대 자체에서 착용했으나 이후 원상복귀. 이때 휴가나온 해병과의 에피소드가 한트럭이라는 카더라통신이...
  4. L.A. Noire에도 나온 걸 보면 대충 그 시절부터 사용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