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의 관광열차 | ||
새마을호 등급 | 레일크루즈 해랑 | 바다열차 |
중부내륙순환열차(O) | 백두대간협곡열차(V) | |
남도해양관광열차(S) | 와인시네마트레인 | |
교육전용열차(E) | 평화생명관광열차(DMZ) | |
정선아리랑열차(A) | 서해금빛열차(G) | |
무궁화호 등급 |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 | 팔도장터투어열차 |
폐지된 열차 | 줌마렐라 열차 | 부울경테마관광열차 |
환상선눈꽃순환열차 | 통통통뮤직카페트레인 |
1 개요
2009년부터 운행하게 된 관광열차이며 무궁화호 등급으로 운행한다.
전국 팔도에 각각 위치해있는 장터를 목적지로 하며,이는 운행 때마다 다르다.
보통은 서울에서 출발하지만 어쩔때에는 지방에서 출발하는 경우도 있다.
2 객실 시설
총 8량의 객실로 이루어져 있으나,나뭇결 후기형 객차와 별반 차이가 없다. 격벽 일부에 탈이 그려졌다는게 차이라면 차이.
하지만 이벤트 객실로 개조된 열차 한량은 카페객차와는 다르게 창가에 배치된 긴 테이블과 아담한 가판대 뿐이다(...)
본래 운행 초기에는 전용 발전차가 있었으나,관광열차 도장이 변경되면서 전용 발전차가 사라졌다(...)
3 역사
이 차량은 본래 무궁화호 나뭇결 후기 편성에다 계약기간동안 특정 랩핑을 하고 그에 맞게 운행하는 관광열차이므로,이름이 그때그때 달랐다.
2009년 6월 12일에 처음 운행을 시작하였을때에는 위에서 보다시피 '팔도농심체험열차'로 운행하였다.
이 때에는 무궁화호 객차 그대로였기 때문에 건설[1]무궁화로도 활용되기도 하였다. 객차들 외에도 사진과 같이 전용발전차 99542호가 있었다. 이 발전차는 2012년까지 랩핑을 한채로 운행했으나,그 이후에는 랩핑을 제거하여 새마을 발전차와 똑같은 모습으로 되었다.
반면,객차는 2012년 중반이 되어서 랩핑을 제거하여 일반 무궁화호 객차로 잠시 돌아갔으나,이벤트실로 개조된 객차는 내부를 그대로 둔 채로 있었다. 그러므로 2012년 추석에는 임시열차로 그 객차가 무궁화호 도색으로 운행하기도 한 일화가 있다.
2012년 11월에 중앙선,영동선을 중심으로 중부내륙순환열차의 시제격으로 '백두대간탐방열차'로 운행하였다.
이는 2013년 중반까지 이 도색을 유지하였다.
단,2013년 4월 O-Train과 V-Train의 개통 이후에는 무궁화호 전세열차 및 명절임시열차로 투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