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매매

프로그램賣買 / Program Trade

600px

주식 현물과 선물/옵션의 가격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 한 계좌에서 15개 이상의 주식 종목을 동시에 주문하려는 경우 시장본부(즉 유가증권/코스닥을 다르게 취급)에 프로그램매매로 신고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비차익매매라고 해서 주식이나 선물/옵션시장 둘 중 한 곳에서만 대량거래를 하는 것도 있다. 그러나 비차익으로 신고하고서 실제로는 차익거래를 시도하는 경우도 있다는 듯. 또한 2010년 이후로는 ETF랑 연계된 프로그램 매매(펀드이므로 비차익매매로 분류)가 급증하면서 한국거래소가 골치를 썩고 있다고 한다.

같은 기초자산, 여기에서는 주식의 현물가격과 선물가격, 옵션가격은 이론상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물론 장기적으로는 일치한다.) 이때 주식시장선물/옵션시장을 오가면서 비싼 쪽을 팔고 싼 쪽을 사면서 무위험 차익거래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무위험인 것은 아니며 대체로 금리차와 체결 슬리피지에 의해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지수차익매매가 프로그램 매매의 가장 일반적인 부류였으나, 21세기에 들어서 비차익매매쪽도 급증하고 있다. 2011년 현재의 대한민국 주식시장에서는 비슷비슷한 편.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들을 한꺼번에 사고 팔며 필연적으로 체결속도의 지연과 차익거래 대상인 시세가 순식간에 메꿔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개미들은 프로그램 매매를 하지 못하고,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우정사업본부 등 돈 많고 실력 좋은 투자자들이 하게 된다. 원래는 기관투자자들의 전유물이었으나, 2011년 이후로는 외국인이 프로그램 매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우정사업본부가 그 뒤를 잇는 모양새.

1987년 블랙먼데이라는 대사건을 터뜨린 장본인으로 지적되기도 했는데, 인덱스 펀드가 수익률 관리를 위해 프로그램 매매를 대량으로 이용하고 있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만만한게 프로그램매매라 프로그램매매가 비난을 받았다는 주장도 있었다. 오히려 서킷브레이커 같은 제도의 미비가 사건의 원인이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어쨌든 이후 대체적으로 주식시장은 프로그램 매매에 빠른 속도로 적응하는 편.

옵션만기일이나 쿼드러플위칭데이(트리플위칭데이) 등에는 이 프로그램 매매 잔고가 대량청산되면서 장 막판 동시호가주가지수를 급등락시키는 경우가 빈번했다. 11월 11일 옵션쇼크가 이런 케이스. 이 때는 옵션과 연계된 지수차익매매쪽에서 대량 매물이 터졌다.

대한민국에서 코스피코스닥시장 모두 선물이 존재하여 이론상 양 시장 모두 지수차익매매가 가능하지만, 코스피쪽이 KOSPI200 선물/옵션을 등에 업고 지수차익매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비차익매매코스피 쪽이 압도적으로 많다. 순매수/순매도 규모가 1000억은 예사고 1조원내지 2조원까지 갈 때도 있다.

코스닥 스타지수선물이 있긴 하나 거래가 거의 없는 코스닥시장에서는 지수차익매매선물시장의 침체로 있을 수가 없고 비차익매매만 간헐적으로 이뤄지는 중. 코스닥쪽의 비차익매매는 ETF와 연계된 것으로, 순매수/순매도 규모가 30~40억 정도로 그리 큰 편은 아니다. 하지만 코스닥시장에선 100억 순매수/순매도 떠도 큰 편이잖아? 코스닥은 안 될 거야 아마

원래는 차익매매가 주류였으나, 2015년 들어서 이제는 비차익매매가 전체 프로그램 매매 중 98%를 차지하는 등 완전히 대세를 굳혔다. 이 매매 중 95%는 ETF에 연계된 프로그램 매매가 되었다. ETF에 거래세가 없으니까 벌어지는 참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