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레슬링/기술/반칙

경고. 절대로 따라하지 마세요!

본 문서에는 본인과 타인에게 신체적·물질적인 피해를 입을 위험이 있는 행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 행위를 모방할 시 부상을 당하거나, 물질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절대로 따라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개별적 항목 발생시 서술된 내용을 지우고 링크를 걸어주길 바람. 최대한 알파벳 순 -> 한글 맞춤법 으로 정렬. 추가바람.

1 개요

항목명은 반칙이지만 실격패를 당하는 기술이나, 행위들을 분류한다. [1][2]

2 분사

파일:LfXPh.gif

  • 독안개#s-2
  • 백색 가루 투척: 상대 선수의 눈, 혹은 얼굴에 정체불명의 하얀 가루를 뿌린다. 가장 유명한 사례로 레슬매니아에서 요코즈나의 매니저 미스터 후지가 브렛에게 뿌린것과 헐크 호건이 이라크 지지자인 서전트 슬로터에게 뿌려서 승리한 적이 있다.

3 사물 공격

SM 찍나 싶겠지만 의외로 가끔 보이는 반칙. 주로 진짜 채찍보다는 허리띠를 벗어서 그걸로 상대를 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식의 반칙은 nWo 시절의 헐크 호건이 많이 사용했다. 당연하지만 스트랩 경기에서 스트랩을 채찍삼아 치는 것은 반칙이 아니다. 최근에는 진짜 채찍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여자 레슬러한테 채찍으로 맞고 이상한 신음소리를 내는 것은 솔직히 같은 인간으로서 창피스럽다.[3]

3194520_display_image.jpg
tumblr_inline_n0v9p1j0tg1qm6acw.gif

  • 흉기 사용

마찬가지. 단, 하드코어나 TLC 등의 경우 예외가 인정된다. 몇몇 흉기는 아예 그 선수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raw06_480_poster.jpg
트리플 H슬레지해머. 자세한 건 슬레지해머 샷 참고.

l.jpg
믹 폴리의 바비(Barbie).[4]

stingbully.png
스팅의 야구 방망이.

Finlay-WWE-Superstar-5.jpg
핀레이의 곤봉.

sandman.gif
샌드맨의 죽도.

abby0605.jpg
압둘라 더 부처의 포크.

이 외에도 윌리엄 리걸브래스 너클도 유명한 편이다.

4 조르기

  • 넥 행잉 트리
  • 로프를 이용한 서브미션 또는 로프를 잡은 상대에게 서브미션을 거는 행동.
상대방이 로프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기술을 거는 것. 이 규칙 때문에, 서브미션을 자력으로 풀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 로프를 잡는다. 대표적으로 타지리의 타란튤라가 있다. 또, 드물게 로프가 끊어졌거나 헐거워진 경우 로프를 이용해 목을 조르는 반칙도 있다.
  • 목 조르기
실제 프로레슬링 룰 상 목 조르기는 반칙이다. 제리 롤러와 태즈가 대립관계가 생겼을 때, 태즈미션을 반칙이라고 깐 롤러의 이야기를 상기하자.[5] 이런 목 조르기 반칙 중 가장 극악한 것은 교수용 밧줄로 목을 조르는 것이다. 보통 목에 밧줄을 건 뒤 링의 로프 밖으로 던져서 목을 메다는 것이다.

5 타격

  • 펀치
프로레슬링에서는 명백히 펀치인 공격을 가지고 심판이 뭐라고 떠들 때가 있다. 그래서 주먹 아래로 내려치는 공격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것이 해머링.[6]
  • 깨물기
이빨로 상대방을 무는 행위. 과거 브로디란 악역 선수가 이 반칙을 잘 사용했는데 TV에서 이 선수가 상대방을 무는 것을 보고 어떤 노인이 심장마비로 사망한 적이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딘 앰브로스가 서브미션기를 풀기 위한 식으로 자주 애용하는 편. 근데 애는 선역인데?
  • 눈 공격
그 중 눈찌르기는 릭 플레어 옹의 대표적인 기술이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게 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그 외에 눈을 긁는 반칙이나 머리를 잡고 눈 부위를 로프에 문지르는 반칙도 있다.
  • 등 긁기
손톱으로 등을 긁는 반칙. 의외로 헐크 호건이 가장 많이 사용한 반칙 기술이며 선역과 악역을 불문하고 사용하였다. 이 등 긁기가 가장 무서울 때는 바로 스맥다운 5 게임을 할 때이다.
  • 똥침
미리 말해두지만 실제로 이짓을 하니까 여기다 적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관장이라고 한다. 사용자는 개그 레슬러가 대부분이다. 심지어 심판에게 사용하거나 똥침을 한 후 그 냄새를 맡고 쓰러지기까지 한다.
  • 머리카락 잡기
일단 반칙은 반칙이지만 거의 씹힌다. 주로 상대방을 일으키기 위해 사용.
  • 토 킥
원래는 반칙이었지만 대체로 거의 신경 안쓴다. 그래서 이게 정말 반칙인지 아닌지 헷갈릴 정도. 이게 다 스터너 때문이다는 아니고.

5.1 로우 블로

로우 블로 참조. 반칙 중에서도 악질이다.진지하다. 절대로 절대로 따라하지 말자. 하지만 현실은.. 근데 이게 반칙인가 싶을 정도로 많이 쓴다. 바리에이션으로 거시기를 꽉 잡고 늘어지는 "테스티큘러 클로"가 있다. 플레어 옹의 또다른 주력기.

6 그 외

  • 금지약물 복용
절대로 프로레슬러가 해서는 안되는 행위. 물론 한다고 해서 심판이 경기에서 반칙패를 선언하지는 않지만 대신 인생에서 반칙패가 선언된다.
  • 2인 동시 공격
태그 팀 경기에서 경기 권리 없는 자가 나와서 경기를 하거나 둘이 같이 공격하는 것. 제3자 난입과는 다르다.
  • 제3자의 난입
이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경기를 몰수하든가 혹은 명백히 도울 의도를 가진 쪽의 패배를 선언하든가 한다. 또는 심판의 재량에 따라 No Contest 처리되기도 한다. 다만 캐싱 인을 목적으로 한 난입은 반칙이 아니다.
  • 로프 잡고 핀폴, 로프에 다리 걸치고 핀폴
반칙성 핀폴이며 상대가 빠져나올 수가 없다. 들킬 경우 심판이 커버하고 있는 쪽을 제지한다.
  • 링 포스트 위에 올라가 있는 것
의외지만 역시 반칙이다. 선수가 링 포스트로 올라가면 심판이 밑에서 양 팔을 휘두르며 제지하는 게 이 때문이다. 이걸로 실격패하는 사람은 없다.
  • 바꿔치기
심판이 다른 곳을 보고 있을 때 수세에 몰린 선수를 다른 선수로 바꿔 놓는 것. 싱글 매치에서는 경기 중인 선수가 아닌 다른 사람이, 태그 매치인 경우는 경기 권리가 없는 자가 대신 올라온다. 당연 심판은 장님이 아닌 만큼 반칙을 선언하는 것이 당연하므로 주로 쌍둥이나 겉모습·복장 등이 비슷한 선수들이 써먹는다. 벨라년들의 피니시 이 기술을 써먹은 선수 중에서 가장 유명한 이로 커트 앵글이 있다. 2000년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이 기술을 써서 언더테이커를 속여먹었다.[7] 또 2008년 아마겟돈에서의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를 건 경기에선 에지가 무려 2명의 가짜 에지를 동원하여 바티스타언더테이커를 관광보내 챔피언에 오른 경기도 있다.

20110918_noc_v_mizref_c.jpg

  • 심판을 공격
주로 악역 선수들이 거칠게 날뛰다가 흥분해서 말리는 심판을 공격하거나 할 때도 있다. 그래도 사고라고 생각되거나 경미한 경우는 그냥 넘어가지만 심하게 하거나 고의가 있으면 바로 GG
  • 심판을 이용한 방어
말 그대로 심판을 실드로 이용하는 것. 자신이 직접 심판을 공격하는 것은 아니므로 반칙패가 나오기 쉽지 않고 오히려 운이 좋으면 반칙승을 할 수도 있다.
  • 죽은 척 : 故 에디 게레로의 주특기. 반칙을 한 다음 상대방에게 무기 등을 던져놓고 자신은 기절한 척(상대가 그 무기로 자신을 때린 마냥) 하는 것이다. 물론 그 자체가 반칙은 아니고 주로 반칙과 연계하는 기술이다. 연기 여하에 따라 상대가 반칙패를 당하게도 할 수 있다. 연기력을 상당 부분 필요로 하며 연기력이 딸릴 경우에는 오히려 상대 선수에게 반격(무기 등을 원래 사용한 선수에게 되돌려 놓는 등) 당할 수 있다.
파일:/pds/200804/30/51/d0031151 4818520ec0ef2.gif [8]
  1. 대체로 약물 복용을 제외하고는 No DQ 매치나 하드코어 매치 등 반칙이 허용되는 경기에서는 통상기 수준으로 사용된다.
  2. 5카운트를 심판이 셀 동안 해당 반칙을 중지하지 않으면 실격패한다. 혹은 심판의 재량으로 실격패를 줄 수 있다.
  3. 이런 SM 기믹으로 바샴 브라더스가 있었는데 같이 다니는 근육질 흑누님 매니저 샤니카의 몸을 더듬거나 채찍을 맞고 좋아하는 등의 변태기믹으로 활동한 적이 있다.
  4. 일종의 애칭이다. BARBed wIrE의 약칭이라고 한다
  5. 슬리퍼 홀드를 포함한 목을 조르는 것처럼 보이는 기술은 실제로는 경동맥을 조이는 기술이다.
  6. 근데 최근 빅 쇼의 피니쉬 무브 중 하나가 바로 K.O. 펀치. 이상하게 이거 갖고는 태클 안 건다. 그리고 로만 레인즈의 시그네쳐 무브인 슈퍼맨 펀치도 태클을 걸지 않는다. 신경쓰면 지는걸까?
  7. 그래서 결국 경기에서는 승리했지만 그 대가로 그의 동생은 분노한 언더테이커에게 실컷 맞았다. 그리고 그로부터 2년 뒤, 브록 레스너를 상대로 또 동생인 에릭 앵글을 내세워서 브록 레스너를 완벽하게 속였지만 그의 동생은 또다시 얻어터졌다. 지못미…….
  8. 참고로 저 움짤은 에디 게레로가 사망하기 전에 뛴 마지막 경기 장면이다. 물론 미스터 케네디는 여기에 제대로 낚여 두눈 번쩍 뜨고 DQ패를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