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퍼

Flapper.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단편소설집인 Flappers and Philosophers는 말괄량이와 철학자들, 아가씨와 철학자들 이런 식으로 번역한다. 평론가들은 그냥 플래퍼라고 쓸 때도 많다. 미국의 역사적 배경과 관련이 있는 말이라 한국어번역하기 힘들다.

1 개요

177px-Louise_Brooks_ggbain_32453u_crop.jpg

1920년대 미국재즈 시대에 미국인들은 제 1차 세계대전 승리와 호경기 등으로 사회적으로 부흥에 오른다. 그러면서 오랫동안 계속된 여성 운동 역시 결실을 얻어 여성의 투표권이 인정된다. 그러면서 화려한 소비를 기반으로 하는 여성 계층이 나타나는데 이들을 가리키는 말이 플래퍼이다. 이전에 여성들은 장발을 길러야 했지만 이들은 처음으로 보브컷을 했으며 발목까지 닿는 드레스 대신에 스커트를 입었으며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은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설명적인 이름을 사용하세요
을 마시며 담배를 피우고 공적인 자리에서 금기시되던 섹스를 이야기했다. 재즈의 유행에 영향을 미쳤으며 처음으로 자동차를 몬 여성 세대이기도 하다. 주로 1890년대에서 1900년대생이 이에 해당한다. 다만 당시의 플래퍼들은 딱히 직업이 없고 미국 남부에서 유행하던 사교계의 관습을 이어받은 경우가 많아 보수적인 남성이나 진보적인 여성 양쪽에게 평가가 안 좋았다.

결국 대공황이 일어나자 미국 사회는 보수화되었고 플래퍼들 역시 위축된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남성들이 징병되면서 전시 군수체제에서 여성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이뤄졌고 이는 전후의 페미니즘 발달로 이어진다.[1]

미국 뿐만 아니라 이런 흐름은 유럽에서도 나타났으며 중국상하이홍콩, 일본도쿄 등에도 유행했다. 다만 아시아에서는 옷차림의 유행 정도에 불과했다. 당시 식민지였던 경성부에서도 이런 스타일이 나타나긴 했다. 당시의 신여성, 모던 걸의 이미지가 이와 비슷하기는 한데, 이 용어들은 크게보면 교육받은 진보적이고 현대적인 여성상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해서 정확히 대응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24503274.2.jpg

무용가였던 최승희가 플래퍼처럼 하고 다녔다. 20세기 초에 제모를 했다

언어적으로 한국어에 이들의 영향이 남아 있기도 하다. 1960-70년대에 한국에선 패션에 신경쓰는 여학생들을 후랏바라고 불렀는데 플래퍼의 일본어 표기인 후랏파(フラッパ)에서 나온 말이다.

2 어원

어원은 새가 날개짓하단 뜻의 flap에서 나왔다. 다른 설로는 영국 북부에서 머리를 묶은 여자아이들을 가리키는 말인 flapped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다. 창녀속어였다는 설도 있다.

3 이들을 다룬 작품

  •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사실상 플래퍼의 시대와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공황이 오자 인기가 떨어질 정도로. 당대의 여심을 굉장히 잘 읽어냈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나 위대한 개츠비에 등장하는 데이지 뷰캐넌은 전형적인 플래퍼. 데이지 뷰캐넌은 스타일만 플래퍼스럽지 사고방식은 보수적인 여성이다. 데이지보다는 그녀의 친구로 나오는 조던 베이커가 전형적인 플래퍼.
  • 시에라 엔터테인먼트대령의 유산: 릴리안은 전형적인 플래퍼 여성이다. 아무래도 시대가 시대다 보니...
  • 리그 오브 레전드징크스: 징크스의 두 번째 스킨인 '마피아 징크스'가 딱 플래퍼 스타일이다.
  1. 이때 흑인들도 일하면서 사회적으로 목소리를 높여가게됐고 1960년대의 민권운동까지 이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