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후염

1 개요

"사백, 스승이 된다는 것은 그렇게 힘든 일인가요?"

"이승에 힘들지 않은 일이 있었느냐? 하물며 다른 삶을 이끌어 주는 자의 길이 쉬울 리가 없지 않느냐?"
"힘들다면서 잘도 일곱씩이나 거두었군요. 게다가 일곱 번째는··· 아예 도박을 해버리다니···."
"스스로 그 도박에 뛰어들기를 일생의 소망으로 간절히 바라던 아이다. 내가 그 스승이 되기로 하였으니 그 길로 인도해 줄 수밖에 없지!"[1]

풍종호의 무협소설 『검신무(劍神舞)』에는 신주십삼파(神州十三派) 중 청성파(靑城派)가 주역으로 등장한다. 이 청성파에는 이미 백 살이 넘었으면서도 여전히 사고만 치는 골칫덩이 대장로가 있는데, 그가 바로 하후염이다. 그는 전대 장문인인 삼절도인(三絶道人)의 세 제자 중 첫째이고, 검으로 일으킨 용권풍(龍卷風)으로 대막의 사풍(砂風)을 가를 수 있다하여 신풍(神風)을 부리는 검마(劍魔)라 일컬어진다. 성격은 자기중심적이어서 자신이 옳다고 여기면,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의견은 전혀 고려치 않는다.

그가 무림을 종횡 할 때의 과거 이야기는 본 편에서 밝혀진 것이라고는 단 한 가지뿐이다. 백여 년 전의 녹림왕(綠林王)이 행보를 시작한 산채라 하여 녹림에서는 용채(龍寨)라 불리는 산채가 있다. 그런데 육십여 년 전에 갑자기 이 용채가 사라진다. 용채의 도적들이 너무 살생을 일삼는다 하여 하후염이 피로 물들이고, 이제 원후파(元侯派)의 장문인이 된 종리당과 함께 삽질로 흔적도 없이 묻어버린 것이었다. 당시 아홉 살이어서 살인과 도적질을 한 번도 하지 않은 양성탄만이 살아남았고, 그가 이번에 녹림도들이 청성파 운리관으로 몰려올 때 같이 오면서 그 사실이 드러난다.

그렇게 하후염은 막무가내이며 피를 보는 것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 고집불통이어서 검풍일휘몰살(劍風一揮沒殺)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의외로 청성이 세상에 내어놓은 여섯 명의 대검호라는 청성육검협(靑城六劍俠)의 사부이다. 청성파의 검법에서도 천람(天嵐)을 자유자재로 펼칠 만큼 독보적이나, 특히나 그는 기본심법인 묵조관법(默照觀法)에 가장 정심하게 능통하였기에 비교적 이른 시일에 높은 성취를 이룬 육검협을 키워낼 수 있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절대 죽지 않을 것이라 믿었던 육검협이 모두 세상을 등지자 하후염은 더는 제자를 거두지 않다가, 우연히 사손이 제자로 거두려고 데려온 도운연을 보고 그의 "검신(劍神)이 되겠다는" 말에 마음이 흔들려 냅다 그를 납치하여 산으로 튀어버린다.

수십 년 만에 거둔 제자였고, 도운연이 되고자 하는 것이 결코 작은 것이 아니었기에 하후염은 그를 검왕(劍王)이 남겼다는 검가(劍歌)에 따라 심혈을 기울여 가르친다. 그리고 검신이 되기 위해서는 마경(魔境)에 이르러 그것을 지배할 수 있어야 했기 때문에 일부러 마경에 빠질 수밖에 없는 넷째 제자 무룡성이 남긴 섭혼검법(攝魂劍法)까지 전수한다.

마경을 극복하는 확실한 방안은 없지만, 도운연이 가고자 한 길이었기에 그리 준비시킨 것이다. 이후 십 년의 세월이 흐르고, 하후염은 고된 수련으로 여섯 사형보다도 뛰어난 성취를 이룬 도운연을 내보내기로 한다. 그래서 과거의 제자들처럼 이번에는 사천오흉(四川五凶)을 제물로 삼아 도운연을 화려한 신고식[2]과 함께 세상으로 내보낸다.

2 무공

  • 묵조관법(默照觀法) : 청성파의 기본 심법으로, 하후염만은 문중의 다른 무공들을 귀찮아하며 거들떠도 안보고 이 기본공만을 연성한다. 분명 기본공임에도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묵조관법을 행주좌와(凌風劍法)에 자연스레 합치하도록 수련하여 누구보다 깊게 연성할 수 있었고, 이러한 깊은 묵조관법의 성취는 하후염이 능풍검법은 물론 천람까지 복원해내는 원동력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진정한 묵조관법의 수련법을 통해 제자들을 길러냈기에 그 제자들도 모두 특출난 실력을 자랑한다.
  • 능풍검법(凌風劍法)
  • 천람(天嵐) : 오랜 세월 절전되었지만, 하후염이 청풍검법(淸風劍法)에서 능풍검법을 찾아내고, 능풍검법에서 천람까지 복원해낸다.
  • 삼절(三絶) : 하후염이 스승인 삼절도인의 대제자인 만큼 스승을 대표하는 세 가지 절기, 적성검식(摘星劍式), 번운신법(飜雲身法), 비선표(飛旋鏢)를 모두 이어받는다. 그러나 하후염은 세상이 뛰어난 절기라 인정하는 이 삼절을 인정하기는커녕 귀찮아하며 깎아내리기만 한다.
  1. 하후염과 불해도인(不解道人), 정무령의 대화 중에서 발췌.
  2. 등무군은 강중삼패(江中三覇)였고, 심호단은 팔악(八惡)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