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리 혜성

(핼리혜성에서 넘어옴)

Halley's Comet[1]

공식명: 1P/Halley (번호가 붙은 주기 혜성 중 1번이다)

관련 항목: 헨리
1P/Halley
(Halley's Comet)
구분단주기 혜성
핼리형 혜성
지름(14.9×8.2)±0.2km
질량2.2×1014 kg
태양기준거리17.834144 AU
원일점35.08231 AU
근일점0.585978 AU
궤도경사각162.2627°[2]
이심률0.967143
공전주기75.32년 (27,509.13일)
자전주기52.8시간
겉보기 등급-0.3 (2061년 근일점 추정)
2.1 (1986년 근일점)
28.2 (2003년)

440px
위의 사진은 1986년에 촬영된 핼리 혜성의 모습.

1 개요

지구에 약 75.3년을 주기로 타원에 가까운 궤도[3]를 그리며 되돌아 오는 해왕성족 주기 혜성이다. 멀어질 때는 태양으로부터 약 35AU 정도까지 멀어지는데, 이는 태양에서 명왕성까지의 평균거리보다 작은 것이다.

일반인 사이에서 가장 유명한 혜성인데, 이는 비교적 주기가 짧은 것 중에서 망원경과 같은 도구 없이 맨눈으로 보이는 유일한 혜성이기 때문이다. 76년이 긴 것처럼 느껴지지만, 혜성 중에는 주기가 몇 천년인 것도 수두룩한 것을 보면 매우 짧은 거다. 또 주기가 짧은 다른 혜성은 어두워 눈에 보이지 않는다.

가장 최근에 근일점[4] 지난 것이 1986년도니까, 다시 핼리 혜성을 보려면 2061년이 되어야 한다. 그때도 우리는 위키질을 하고 있을까? 2061년이면 아무리 2000년생이라도 62살

2 발견

천문학자인 에드먼드 핼리(1656~1742)는 옛날 자료를 살펴본 결과 일정한 시간 간격이 있는 1456년, 1531년, 1607년, 1682년에 나타난 혜성의 궤도가 거의 일치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들 혜성이 동일한 천체이며 다가오는 1758~1759년에 다시 돌아오리라고 예측한다. 물론 당시에도 헛소리하네 무시하는 의견도 많았다.

비록 핼리 자신은 직접 확인하지 못하지만, 후세 사람들은 돌아온 혜성을 확인했다. 이로써, 핼리 혜성의 존재와 주기가 밝혀지게 되었고 1759년 실제로 핼리가 예측한 대로 혜성이 나타나자 그를 기리며 이름까지 핼리 혜성이 된 거였다.

핼리는 천문학자로서 여러 업적을 남겼으나 이 혜성 발견자로만 너무 알려져서 다른 건 묻혀졌다. 참고로 과학자 및 천문학자로 유명한 선배 아이작 뉴턴을 찾아가 여러 과학 연구를 보여줘서 인정받기도 했던 인물이다. 특히 뉴턴의 최대 업적인 프린키피아가 출판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는데, 핼리가 아니었으면 나오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3 역사 속 기록


1066년 혜성은 베이유 태피스트리에 등장했다. 당시 사람들은 이것이 영국 왕 해럴드 2세가 죽고 윌리엄 1세가 영국 왕이 될 것을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1305년에 화가 지오토가 관측한 후 "동방박사의 경배"에 혜성을 등장시켰다.

fig8a.jpg
1456년즈음의 민속화. 1453년의 콘스탄티노플 함락에 이은 1456년의 헝가리령 베오그라드 공성전등으로 기독교측 민심이 흉흉했다.

halley1531.jpg
1531년에 혜성을 관찰한 페트루스 아피아누스의 그림. 혜성의 꼬리가 태양 반대쪽으로만 존재한다는 것을 기록한 첫 예이다.

fs021001b.jpg
1607년에 혜성을 관찰한 요하네스 케플러의 그림. "혜성에 관한 세가지 책"라는 책을 썼다.

PSM_V76_D017_Halley_comet_in_1682.png
1682년. 이 혜성이 위의 두 혜성과 같다고 가정한 핼리는 아래 혜성을 예측하였다.

halley1759_2.jpg
1759년. 영국의 풍경화가 새뮤얼 스콧이 그린 혜성.

500px
1835년


1910년


1986년

75~6년에 한번씩 나오는 게 알려져 있는 혜성이라, 76년씩 역추적 해서 당시 역사 기록에 혜성에 관한 기록을 찾으면 된다. 혜성 항목에서 보면 알겠지만, 예로부터 혜성은 동서고금을 불문하고 불길한 일의 조짐으로 여겼으므로 기록을 남기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는 해도 비슷한 시기에 나타난 다른 혜성일 수도 있으므로 섣불리 판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역사 기록은 제한적이므로, 핼리 혜성임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도 빈약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위에 적어놓은 것 같이 기록에 남아 있는 혜성이 정말 핼리 혜성인지 판단하는 일은 말처럼 쉬운 게 아니다.

앞에서 말했다시피 사서(史書)에는 핼리 혜성도 실제로 불길한 조짐을 가져 온 것처럼 서술되어 있으나 당연히 사실(事實)이 아니다. 우연히 핼리 혜성이 지나간 뒤에 불길한 일이 찾아온 것. 아주 대표적인 인과관계 역전의 오류. 혜성이 불길하게 여겨진 이유는 혜성 항목을 참고하자.
조선시대 때는 특히 반란의 징조로 여겼던 듯 하다. 특히 1456년에 세조계유정난(1453)에 반발한 사육신이 처형되었다. 그 외에도 사도세자의 죽음 등 여러가지 사실(史實)과 관련되어 있다. (1453년의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으로 인한 로마 제국의 멸망과 같이 보자)

또한, '톰 소여의 모험' 등으로 유명한 미국의 문학가 마크 트웨인은 핼리 혜성이 지구에 근접한 지 2주 후에 태어나, 다음 76년 후 핼리혜성이 지구에 제일 근접한 다음 날에 죽었다. 마크 트웨인은 "핼리 혜성과 같이 죽지 못하면 매우 실망스러울 것" 이라고 말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또한 837년 당시 핼리 혜성에 대한 기록을 보면 금성보다 밝고[5] 꼬리의 길이가 60도(적경)[6]에 해당할 정도로 길게 관측되었다. 이를 통해 추정한 결과 당시 핼리 혜성이 지구에서 약 450만km 가까이까지 접근했다고 한다. 이 길이는 불과 0.03 AU에 해당되는 거리니, 얼마나 가까이 온 것인지 체감할 수 있다. 지구접근천체 항목도 참조할 것.

1910년에 지구 공전궤도가 핼리 혜성의 꼬리 부분을 지나는데, 꼬리에 시안이 포함되어 있어 인류 멸망이니 뭐니 하는 해프닝이 벌어진 적이 있다. 물론, 실제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핼리 혜성 꼬리소동 항목 참조.

핼리 혜성이 겉으로 보기에는 저렇게 크게 보여도 핵은 10km도 안되며 코마와 꼬리의 가스 밀도는 엄청나게 낮다. 밀도가 낮은 대신 먼지가 많이 들어 있고 이온입자들이 태양풍과 상호작용을 해서 은근히 진하게 보이는 것이다.

4 관측

1910년에는 핼리 혜성이 지구로부터 상당히 가까이 와서 관측 조건이 좋았다. 하지만 1986년의 관측조건은 상당히 안 좋았는데, 혜성이 태양에 가려져 잘 안 보이게 되는 위치였는 데다가 1910년보다 근일점의 위치가 훨씬 태양과 멀어 가장 밝게 보일 때의 실시 등급이 고작 +2.1 등급 밖에 되지 않았다. 혜성이 태양 근처에 있을 때만 보인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도심에서는 거의 관측이 불가능했다.

1986년 1월호에 창간된 과학동아 창간호 에서 신년특집으로 그 해에 '헬리 혜성 다시 오다'라는 제목으로 발간됐다.영광의 창간호 주인공!! 오오!!

1986년에 지구 근처로 다가온 혜성을 탐사하기 위해 유럽우주국(ESA)에서 '지오토(Giotto)'[7]라는 발사체를 발사했다. 지오토는 혜성에 최대한 다가가서 사진 및 여러 정보를 보낸 다음 지구를 스윙바이하고 1992년 7월 10일 그릭-쉐렐러프 혜성에 접근하고 13일 뒤인 7월 23일 송신이 끊어졌다. 이 정보를 통하여 핼리 혜성은 핵은 그 동안 생각하던 거랑 다르게 꽤 작으며 작은 먼지, 얼음 입자가 긴밀하지 못하게 뭉쳐있고 핵의 모양이 매우 불규칙하다는 것도 알았다. 작은 혜성에도 크레이터, 산 등 있을 건 다 있었다. 그 외에 NASA우주왕복선 프로그램 STS-51-L 미션 역시 핼리 혜성의 꼬리를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으나... 임무계획과 우주선 둘다 완전히 산산조각이 나고 말았다.

1993년 일본의 과학잡지 뉴턴지는 핼리 혜성이 주기에서 사라졌다는 발표를 하기도 했는데[8] 국제적으로 잘못 안 거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그러다 결국 2003년도에 칠레의 파라날(Paranal) 천문대에 있는 3개의 초거대 망원경으로 다시 관측되었다.

다음 접근일은 2061년 7월 28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 때는 지구와 같은 면에 접할 것이므로 훨씬 더 잘 보일거라고 한다. 2061년 접근 때의 최고 실시등급은 -0.3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2061년 관측정보 추가 예정 2061년에 추가바람
  1. 가끔 리 혜성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리 혜성이 맞다. a는 외국어 표기법상 'ㅐ'로 표기된다. 여담으로 70년대만 해도 일본에선 건너온 발음인 하레 살별,또는 하레에 혜성이라고 부르기도 했다.아닌게 아니라 89년에 나온 쿤타맨 표절판에서도 하레에 혜성이라고 나온다... 살별은 혜성을 가리키는 순우리말.
  2. 일부 문서에서는 18도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엄밀히 표기하자면 162도가 맞다. 다시 말하자면 요놈은 역방향 공전을 한다. 태양계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가 지구 공전궤도면 기준 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
  3. 정확히는 태양 근처에서만 타원형 궤도.
  4. 근일점은 궤도에서 지구 등의 행성이 태양계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 가장 가까워졌을 때의 지점을 뜻한다. 혜성은 근일점 부근에서 가장 밝게 보인다.
  5. 금성은 최대 실시등급(겉보기 등급)이 약 -5등급으로,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항성인 시리우스보다도 25배 가량 밝다.
  6. 적경 60도면 쉽게 말해, 태양이 4시간 동안에 가는 각도다. 바꿔 말해, 태양이 4시간 동안 가는 각도에 해당하는 긴 꼬리가 밤하늘에 보였다는 말이다.
  7. 아기 예수 탄생 그림에 핼리 혜성으로 추정되는 천체를 그려넣은 화가 지오토의 이름을 땄다.
  8. 종말론을 소재로 한 한국 만화 '666과 777'(1994년 소년 챔프 연재작으로 그림은 김정수(불문율을 그렸다.)에선 헬리 혜성의 접근 또한 적그리스도 강림의 징조 중 하나로 해석을 했는데, 주인공이 악마의 아들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 헬리 혜성이 사라진 것을, 이 잡지의 기사와 링크해서 결말을 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