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승주

%E6%B4%AA%E6%89%BF%E7%95%B4.jpg
洪承疇 (Hong Chengchou)
1593~1665

명나라 말기의 장군[1], 계료총독[2], 병부상서[3]

1 개요

복건 천주(福建 泉州府 南安縣) 사람으로, 자는 언연(彥演), 호는 형구(亨九)이다. 만력 21년(1593년)에 태어났다.

명말청초의 인물로, 명나라 말기의 장수로서 농민반란 진압과 북방의 만주군대와 수차례 전투를 벌였으나, 송산-금주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로잡힌 이후[4] 청나라의 충성스러운 신하로서 여생을 보낸다.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원숭환이 죽은 이후 오삼계와 더불어 명나라 군대의 원투펀치로 활약하였으나, 두 사람에 비해서는 존재감이 많이 묻힌다. 비장미에서는 원숭환에 밀리고, 배신의 이미지에서는 오삼계에 밀리고(...) 나중에 배신한 오삼계는 후에 삼번의 난이라는 대륙일대의 혼란을 일으키니..

2 등장과 간단한 연혁

만력 43년(1615년), 23세의 나이로 향시에 합격하였으며, 그 다음해에는 회시에 합격하였다. 그는 형부강서청리사주사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원외랑, 랑중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형부에서 6년의 세월을 몸담았고 천계 2년에는 절강제학첨사로 임명되었다. 뛰어난 식견으로 여러 인재를 발굴하였고 조정에서 많은 칭찬을 들었다. 이후에도 량절승선포정좌참의로 승진하였고, 더해서 섬서도독참의가 되었다.

3 농민군 진압

당시 명나라암군의 연속적인 등장과 환관의 전횡등으로 정치상황은 문란하였을 뿐 아니라 이갑제의 붕괴에 더해 유례없는 대기근으로 명나라 곳곳의 백성들에게는 지옥도가 펼쳐졌으며 섬서와 산동지방에서는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등, 인간세상에서 볼 수 있는 최악의 사태들이 벌어지고 있었다.

그가 섬서포정사[5]참의[6]가 되었던 1627년(천계7년)에는 혼란한 정치상황과 파탄난 농촌경제가 원인이 되어 각지에서는 농민에 의한 반란이 일어났는데, 홍승주가 부임한 섬서지방은 본디 가난한 지역이었으며, 연이은 재해등으로 흉년이 들고 쌀값이 폭등하여 더욱더 상황이 암울하였다.

급기야 1628년(숭정원년) 7월에는 왕가윤, 양륙을 비롯하여 여러 도적의 무리들이 일어나자, 섬서의 전 지방이 이에 호응하였다. 1628년~1630년에는 고영상, 장헌충, 이자성등이 앞다투어 준동하였으며, 기타 여러 우두머리들의 세력까지 합한다면 섬서지방에서 일어난 반란세력은 두자리수를 넘게 되었다. 또한 명나라 말기의 암울한 상황의 영향을 받고 적지않은 관군들도 이들 농민반란군에 가담하게 되었는데, 이들은 반란군의 핵심 전력이 되어 명나라를 내부에서 붕괴시키고 있었다.

1629년, 왕좌괘를 위시한 반군이 한성을 공격하였는데, 당시 아직 참정의 벼슬에 있던 홍승주는 구원군으로 참가하여 전투에서 승리하고, 수백의 농민군을 죽이며 한성을 지켜내어 능력을 보이게 된다.

1630년, 연수순무로 부임하며 양학[7]의 수하에서 활동하였다. 당시 반군에 대한 명나라의 대전략은 양학이 제시한 초무정책이었다고 한다. 초무(招撫). 불러서 어루만지다. 즉, 저항하였던 반란군에게 자비와 선처를 베풀어 용서하는 일종의 유화책이었는데, 이름은 양학인데 홍승주는 이 초무책에 반대하여 적극적으로 토벌하고 진압할 것을 주장하였을 뿐 아니라 항복한 자들까지 모조리 죽여야한다고 아뢰었다.[8]

1631년에는 반란을 진압하지 못한 책임을 묻고 총독 양학이 파직되었는데, 그 공석을 메우기 위하여 조정은 홍승주를 총독으로 임명한다. 총독에 자리에 오른 홍승주는 양학이 세웠던 '자비를 베풂으로써, 만방에 자비를 보여 반란군을 회유한다'는 대전략을 버리고, '철저하게 반란군을 짓밟음으로써, 군대의 위엄과 강력함을 보여주고, 그것으로 감히 반란을 저지를 생각을 하지못하게 한다', '토벌한 연후에, 잔당들을 회유한다'선 토벌 후 회유 라는 전략을 세웠다. 그리고 그는 곧 자신이 세운 전략에 따라 대규모의 병력을 집중, 당시 반군의 온상이었던 섬서지역을 공격하였다.


1632년에는 홍승주 이하의 명나라 군대의 거센 공격을 버티지 못하고 붕괴된 반란군의 일부가 공세를 피해 경양지방으로 도망쳤는데, 홍승주는 끈질기게 쫓아와 경양에서도 전투를 지휘하였다. 명군과 반군은 서오지역에서 수차례의 전투를 치뤘고, 반란군은 큰 피해를 입고 우두머리인 두삼, 양노시가 목숨을 잃게 되었다. 이 전투로 홍승주는 조정에 크나큰 명성을 떨치게 되었고, 사람들이 그 전투에 대해 말하기를 '서오대첩'이라 칭하였다.

작성 중
  1. 단, 그는 태생이 진사출신 정통 문관이나 행적을 감안하면 문무를 겸비했다고 본다. 전근대시대엔 군인과 정치인, 관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고 관례적으로 문관이 군대의 최고위직에서 전쟁을 지휘하고 장군들이 보좌했으니..
  2. 홍승주가 투항하기전 최종적으로 올랐던 직책으로, 허베이성 북부지역과 요동 전역의 행정,군정을 총괄하는 직책, 그러니까 명나라의 대청 전쟁에서 홍승주는 총사령관에 해당되었다.
  3. 명.청 시대의 관직들을 보면 관례적, 비상시국으로 겸직사례가 참 많다.. 병부상서도 또한, 지방의 광역 행정/군사 수뇌였던 총독의 겸직벼슬(+ 도찰원 우도어사 =검찰청 검찰 부총장/감사원 부원장)로도 보직됐던 것이 여러 기록에서 보인다. 보통은 비상시국에 겸직된다. 겸직목적은 해당인물의 권위에 황제가 힘을 실어주는 것으로 그의 권한행사에 일종의 전권을 부여한 것과 같다. 물론 기존의 비겸직자는 그대로 본연의 직무를 수행하되 겸직자의 영역에선 관련된 하급자들이 전적으로 겸직자를 따른다고 볼수있다.
  4. 어떻게 보면 원숭환 이상으로 대단했던 인물이 투항해서 숭정제를 위시한 명나라의 잔존 지도층은 한동안 멘붕에 빠졌다. 특히 숭정제는 처음엔 그가 전사한줄 알고 그를 위한 제사를 주관했다고 한다. 이후 사실을 알고 슬그머니 중지한다....
  5. 포정사는 조선의 관찰사와 비슷한 관직으로 1개성의 민정을 총괄책임진다. 사법과 군정은 각각 안찰사와 도지휘사가 담당했다.
  6. 오늘날로 따지면 광역자치단체 산하 주요 부서의 부국장급 공무원
  7. 당시 섬서총독이었다.
  8. 당시 농민 반란군들은 사세가 위급하면 우선 조정관군에 투항하였다가 그들을 타이르기위해 내렸던 식량을 모으고 세를 보아 다시금 준동하기를 반복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거짓항복도 판을 쳤을 뿐 아니라, 명나라 말기에는 대기근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반란군들에게 양곡을 베풀수 없었기에 양곡의 지원이 끊기면 이들은 곧장 다시금 반란을 일으켰다.